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ement of cultural heritage disaster management - The Case of Sungnyemun's Collapse in Fire -

문화재 재난관리의 필요성과 발전방향 - 숭례문 화재사고사례를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8.10.28

Abstract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assert the necessity of cultural property disaster control through analyzing the fire of the Sungnyemu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perty disaster control in the future. For these purposes, we reviewed literature such as research papers and books on cultural property disaster control, and presented problems in current cultural property disaster control and solutions for the problems through case study of the fire of the Sungnyemun. In a word, the fire of the Sungnyemun is a representative case showing difficulty in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for wooden cultural properties. Accordingly, we need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cultural property disaster control and to prepare measures. For this, first, it is essential to reinforce preventive systems against cultural property disasters. Second, early actions should be take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ultural property. Third, for cultural property disaster control, it is important to maintain cooperative relations among the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nd relevant local self.governing bodies. Lastly, standards for cultural property fire protection systems should be tightened by improving related laws, and institutional bases should be intensified through preparing grounds for aggravated punishment for crimes against cultural properties such as arsons.

본 연구는 숭례문 화재사고의 분석을 통해 문화재 재난관리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향후 문화재 재난관리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문화재 재난관리에 관한 기존 논문, 서적 등을 중심으로 문헌분석을 실시하였고, 아울러 숭례문 화재사고 사례분석을 통하여 문화재 재난관리의 문제점과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한마디로, 이번 숭례문 화재는 목조문화재에 대한 방재활동의 어려움을 보여준 사례였다. 따라서 향후 문화재 재난관리의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대책마련을 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문화재 재난관리의 사전 예방체계 강화가 필수적일 것이다. 둘째, 문화재별 특성을 고려한 초기 재난대응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문화재 재난관리의 경우 문화재청과 소방방재청 및 관할 자치단체가 협력적 관계 유지가 중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관계법령을 정비하여 문화재 소방시설 기준을 강화하고 문화재 방화 등 훼손범죄에 대한 가중처벌 근거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는 것이 필수적일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충북대학교법학연구소.문화재청. "한국문화재보호법의 발전과정과 정비방향", 2002.
  2. 김창규. "문화재보호법해설-지정문화재의 보호와 관리를 중심으로". 문화재관리자교육-문화재청. 2002.
  3. 한국법제연구원. "문화재보호법 재정비방안연구". 2002.
  4. J. G. Fichte. "Die Grundzuge des gegenwartigen Zeitalters". 1806.
  5. 행정자치부. "국가기반체계보호담당기관 업무설명회 자료". 2007.
  6. http://www.merdeka.itviewpoint.com/entry
  7. 문화재청. "숭례문 화재피해현황 및 수습보고서". 2008.
  8. 윤홍로. "숭례문 화재의 전말과 복구대책".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회 자료. 2008.
  9. 윤명오. "문화재 화재의 특성과 방재대책의 방향".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회 자료. 2008.
  10. 문화재청. "목조문화재 종합방재대책". 2008.
  11. 문화재청. "중요목조문화재 방재시스템구축연구보고서". 2006.
  12. 오명석. "문화재 재난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목원대 산업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3. 박인균. "한국문화재 보호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연세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