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제체재료로서 국내 하상토의 현장다짐특성

Field Compaction Characteristics of Domestic Bed Sediment as Levee Fill Material

  • 김진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방재.환경연구실) ;
  • 김경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방재.환경연구실) ;
  • 최봉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방재.환경연구실) ;
  • 이대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방재.환경연구실)
  • Kim, Jin-Man (Geotechnical Disaster &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KICT) ;
  • Kim, Kyung-Min (Geotechnical Disaster &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KICT) ;
  • Choi, Bong-Hyuck (Geotechnical Disaster &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KICT) ;
  • Lee, Dae-Yeong (Geotechnical Disaster &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KICT)
  • 발행 : 2008.10.31

초록

하천제방 축조를 위한 많은 양질의 성토재료는 시공헌장에서 쉽게 구하기 어려우며, 하천제방의 경제성 및 안정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하천제방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하상재료를 이용한 제방축조기술의 연구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하상재료에 대하여 현장시험을 통한 설계 및 시공방법, 공학적 특성 분석이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 현풍천의 하상토(SP)를 대상으로 원재료 및 양질토인 화강풍화토(SW)와의 혼합에 따른 현장 다짐에 따른 공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현장 혼합방법을 제시하였다.

It is difficult to acquire good-quality fill material for levee in field and i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levee construction technology to use the bed sediment for the safe and economic construction. So, it is necessary to evaluate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bed sediment,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 through field application tests. In this study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Hyunpoong bed sediment (SP) in Daegu were analyzed, and laboratory/field compaction test for mixing granite weathered soil (SW) was performed. And field mixing method was sugges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진만, 최봉혁, 김경민 (2006), 하상재료를 이용한 하천제방의 공학적 특성, 한국지반공학회 댐제방기술위원회 학술발표회, pp.41-55
  2. 한국수자원학회 (2005), 하천설계기준.해설
  3. 石狩川開發建設部公務課第1 改修係(2004), 混合土活用マニュアル(案)
  4. Ali Maher (2005), Palmyra Cove Demonstration Project Beneficial Use of Dredged Sediment, CAIT,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Piscataway
  5. Braja M. Das (1999), 토질역학(제3판), 신은철역, 구미서관, pp.121-129
  6. SEDNET (2004), 'Sediment and Dredged Material Treatment', Journal of Soils & Sediment, 4(4) pp.225-232 https://doi.org/10.1007/BF0299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