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stume expressed in the American New Cinema - focused on -

아메리칸 뉴 시네마에 나타난 의상에 관한 연구 - <이지라이더(1969)>를 중심으로 -

  • Kim, Hye-Jeong (Dept. of Clothing Industry,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Ji-Hoon (Dept. of Film, Seoul Institute of the Arts)
  • 김혜정 (한경대학교 의류산업학과) ;
  • 박지훈 (서울예술대학 영화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Fashion style in movies delivers their image the atmosphere and becomes the means for containing the personality, spiritual world and inner thinking the characters in the movies and including its plot. When the American new cinema emerged in late 1960's and early 1970's in the American movie history, the new left wing which wants to overturn adult generation and the hippie culture which wants to escape from an existing system also emerg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ashion style in the movie 'Easy Rider (1969)', i.e. the representative new American movie which showed the isolation from adult generation and negative realities of the American society. From the movie, we can understand the young generation after the Vietnam war, i.e. baby boom generation, pursued the hippie culture as their young culture. With their strong self-consciousness, they formed their own lifestyle and valu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adult generation, and we can understand clothes were used as a tool to express their value system.

Keywords

References

  1. 남후선.김순영(2005), 영화로 보는 복식사, 경춘사, p.6
  2. Ralph Stephenson(1996), The Cinema as Art, 송도익 (역), 열화당 미술선서, pp.166-167
  3. Lurii Tynianov外 3인(2001), 영화의 형식과 기호, 오종우 (역), 열린책들, p.249
  4. 박지훈(2006), 영화제작 매스터북, 책과 길 미디어, p.150
  5. John Belton(2003), 미국영화 미국문화, 이형식 (역), 경문사, p.136
  6. 간문자.박명희(1996), "저항 패션이 모패션으로 전이된 현상에 관한 연구", 복식 28 호, p.240
  7. 채금석(1995), 현대복식미학, 경춘사, p.157
  8. 정흥숙(1998), 서양복식문화사, 교문사, p.389
  9. 유송옥.이은영.황선진(1996), 복식문화, 교문사, P.232
  10. 김형숙(1992), "포스트모더니즘 미술비평론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p.39
  11. John Belton(2003), 미국영화 미국문화, 이형식 (역), 경문사, pp.320-323
  12. John Belton(2003), 미국영화 미국문화, 이형식 (역), 경문사, pp.318-319
  13. Thomas Schatz(1996), 할리우드 장르의 구조, 한창호.허문영(역), 한나래, p.420
  14. Susan Hayward (1998), 영화사전, 이영기(역), 한나래, p.405 참조
  15. Susan Hayward (1998), 영화사전, 이영기(역), 한나래, p.79
  16. 이형식(2001), 영화의 이해, 건국대학교 출판부, p.285
  17. John Belton(2003), 미국영화 미국문화, 이형식 (역), 경문사, p.326
  18. 민원경(2002), "현대 메이크업에 나타난 문화스타일 연구",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6
  19. 강은선(1995), "청소년 하위문화패션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2
  20. 조규화.이희승(2006), 패션미학, 수학사, p.512
  21. 심규희.조규화(2007), "앙드레 쿠레주 디자인에 관한 연구", 패션비즈니스 11(4), p.56
  22. Andrew Tucker(2005), 패션의 유혹, 김은옥(역), 서울:예담, p.39
  23. 조규화.이희승(2006), 패션미학, 수학사, p.153
  24. 조규화.이희승(2006), 패션미학, 수학사, p.517
  25. Amy de la Haye(1996), "Surfers Soulies Skinheads & Skaters", London: Victoria & Albert Museum
  26. Andrew Tucker(2005), 패션의 유혹, 김은옥 (역), 예담, p.77
  27. Andrew Tucker(2005), 패션의 유혹, 김은옥 (역), 예담, pp.100-101
  28. The fashion shop,(2001) NY: Phaidon, p.171
  29. Andrew Tucker(2005), 패션의 유혹, 김은옥 (역), 예담, pp. 88-89
  30. 조규화.이희승(2004), 패션미학, 수학사, pp.221-222
  31. The fashion shop,(2001) NY: Phaidon,p.382
  32. Andrew Tucker(2005), 패션의 유혹, 김은옥 (역), 예담, p.27
  33. The fashion shop,(2001) NY: Phaidon, p.88
  34. 간문자(1996), "1960년대 저항 패션이 민속풍패션에 미친 영향", 복식, 30, p.154
  35. 조규화.이희승(2004), 패션미학, 수학사, pp.51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