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isual Image Evaluation for the Dot Pattern Size and the Variation of Coloration in the Achromatic Color

무채색 물방울무늬의 크기와 배색변화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 평가

  • Kim, Sun-Mi (Dept. of Silk Fashion, International University of Korea) ;
  • Jeong, Su-Jin (Dept. of Silk Fashion, International University of Korea)
  • 김선미 (한국국제대학교 실크패션학과) ;
  • 정수진 (한국국제대학교 실크패션학과)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ot Pattern Size(0.8, 1.8, 2.5, 5, 8), color combination(W/Bk, Bk/Gr, Gr/W), Area-Ratio(Background/Dot, Dot/Background) on wearing dot-printed dresses image. Sets of stimulus and response scales(7 point semantic) were used as experimental materials. The stimuli were 30 color pictures manipulated with the combination of Dot Pattern Size, color combination, and Area-Ratio using computer simulation. The subjects were 180 female undergraduates living in Gyeongnam-do.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Analyzing methods were ANOVA and LSD test. Image factor of the stimulus was composed of 5 different components, visibility, chastity, attractiveness, cuteness and feminity. Among them, the visibility and chastity were important. Each dimensional image was affected by dot pattern size, color combination and Area-Ratio. In the visibility image, color combination(W/Bk is the most effective) is more influential, the larger size is effective pattern. In the cuteness and feminity image, area ratio(low-brightness dot pattern is the more effective) is more effective than color combination or dot pattern size. Even the same dot pattern size and area was recognized as different image depending on the area ratio.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dot pattern size, color combination and area-ratio,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images for a dress wearer were expressed diversely, were shown differently in image dimensions, and could be produced to different images.

Keywords

References

  1. 김윤경 . 이경희 (2000). "의복무늬의 시각적 감 성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6), pp.861-872
  2. 谷田閣次, 石山彰 (1969), 服飾美學 服飾意匠學, 東京: 光生舘, p.62
  3. Hollander, Anne (1993), Seeing Through Clothes. L.A.: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365
  4. 김영인 . 문영애 . 한소원 (2000), "한국 성인 남녀의 의복 선호색". 한국의류학회지, 24(7), pp. 964-975
  5. 김미영 (2002), "일반색.의복색 선호도와 의복색 소유도의 특성 및 차이". 한국의류학회지, 24(7), pp.964-975
  6. Winakor, G., . Navarro, R. (1987), "Effect of achromatic value of stimulus on response to women's clothing styles". Clothing & Textiles Research Journal, 5(2), pp.40-48 https://doi.org/10.1177/0887302X8700500207
  7. Francois, S. K., . Evans, P. K (1987), "Effect of hue, value and style of garment and personal coloring of model on person perception". Perception & Motor Skills, 64 (2), pp.383-390
  8. 이윤주 (1992), "복식에 있어서의 색채 이미지 에 관한 연구-아르데코 시대를 중심으로-", 연 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88
  9. 이미정 . 김준범 . 이인자 (1997), "의복디자인 요소 변화에 의한 착시현상이 얼굴지각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8), pp. 1287-1296
  10. 이정옥 . 권미정 . 박영실 (1995), "한국도시여 성의 얼굴색과 의복색과의 배색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2), pp.168-180
  11. 최수경. 강경자 (2004), "무채색 톤과 스커트 폭.길이가 원피스드레스 착용자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색채학회지, 18(2), pp.55-65
  12. 팽숙경 . 강경자 (2006), "체형과 무채색 톤조합 에 따른 의복 착용자의 인상평가", 한국생활과 학회지, 15(4), pp.631-646
  13. 유송옥 (1985), 복식의장학. 수학사, p.169
  14. 고을한 . 김동욱 (1999), 디자인을 위한 색채계 획, 미진사, p.67
  15. 박길순 (1981), "직물문양의 기호와 내향성-외 향성 성격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재인용. 문영보(1992), "의복 및 얼굴변인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7
  16. 이미강 . 이인자(1985), "성인여성의 의복디자인 선호도와 자아개념과의 관련성 연구", 한국의류 학회지, 9(1), pp.9-16
  17. 정삼호 . 강혜원 (1991), "성인여성의 체형과 연 령에 따른 의복디자인 선호연구(2) -색채 및 직 물문양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5(3), pp.297-308
  18. 문영보 (1992), "의복 및 얼굴변인이 인상형성 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pp.34-42
  19. 유송옥 (2006), 패션디자인, 수학사 p.197
  20. 壁谷久代, 加藤雪技, 椙山藤子 (1980), "被服に おける 色彩と 圖形の 知覺に 闗する 硏究", 纖 維製品所費科學志, 21(8), pp.35-42
  21. 문삼련 . 이경희 (1994), "의복형태와 물방울무 늬 공간변화에 따른 이미지의 시각적 평가", 한 국의류학회지, 18(1). pp.3-14
  22. 小管啓子 . 小林茂雄 (1990), "ストライフ柄の イメーヅに 闗する 基本的 考察", 纖維製品消費 科學志, 31(1). pp.42-49
  23. 이유진 (2003), "물방울무늬에 대한 한국학생들 의 시각적 평가",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9(1), pp.49-60
  24. 이유진 (2006), "텍스타일디자인(색과 문양)이 피복의 시각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2) -한, 일 학생의 비교-", 한국색채학회지, 20(1), pp.67-76
  25.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자료 (2004)", 사이즈코리 아, 자료검색일 2006, 1, 30, 자료출처 http:// sizekorea.ats.go.kr
  26. 이경희 (1991), "의복형태 이미지의 시각적 평가 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웅휘 . 강경자 (1997), "원피스드레스의 소매 와 스커트 폭.길이변화가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 향", 한국의류학회지, 21(8), pp.1060-1071
  28. 강경자 . 임지영 (1996), 넥타이 색과 무늬가 남 성복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2(3), pp.312-320
  29. 이유진 (2005), "텍스타일디자인 (색과 문양)이 피복의 시각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1)-일본인 을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지, 19(1), pp.37-46
  30. 加藤雪技 . 椙山藤子 (1980), 衣服に おける配色 效果の 硏究(弟1報), Blouse と Skirt の 配色の 感情效果. 日本家庭學會誌 31(1), pp.29-35
  31. 차미승 (1992), "의복형태와 색채이미지의 시각 적 평가와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19
  32. 김윤경 . 강경자 (2003), "의복스타일과 색상.톤 조합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지, 27(3/4), pp.395-406
  33. 유금화 (2002), "여성정정의 2색 배색에 의한 이미지지각",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31-35
  34. 최수경 . 강경자 (2004), "원피스드레스의 색상 과 톤, 스커트 길이.폭의 변화가 인상형성에 미 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1(4). pp.459-473
  35. 유금화 (2002), "여성정정의 2색 배색에 의한 이미지지각",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7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