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urbid Water Prediction Model for the Imha Dam Watershed using HSPF

HSPF를 활용한 임하댐 유역의 탁수 예측모델 구축

  • Yi, Hye-Suk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Kim, Jeong-Kon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Lee, Sang-Uk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이혜숙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김정곤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이상욱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A watershed model was constructed using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 Fortran) for predicting flow and suspended solid in the Imha dam watershed. The whole watershed was divided into 33 sub-watersheds in the watershed model, which was calibrated for flow using measured data from 2001 to 2007. The accuracy of watershed model prediction was evaluated using statistical coefficients of R$_{eff}$(Nash-Sutcliffe), R$^2$(Correlation coefficient) and graphical comparison. Then, the model was calibrated for suspended solid using field data measured during 3 major rainfall events in July 2006, and then validated against data obtained in 2 rainfall events from July to August in 2007. Overall, the model showed good agreements with the field measurements for flow and suspended solid. The watershed model constructed in this study can provide flow and suspended solid entering the Imha reservoir and will be utilized for turbid water management in linkage with reservoir water quality models.

본 연구에서는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 Fortran)를 임하댐 유역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유출량 및 부유물질 농도 변화를 모의할 수 있는 유역모델을 구축하였다. 먼저, 임하댐 전체 유역에 대하여 총 33개 소유역으로 구분하여 모델을 구성하였으며 현장에서 실측된 7년간의 유출량 및 부유물질 농도 자료로 모델의 보정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모델의 유출량 재현성 평가를 위하여 그래프 비교를 통한 정성적인 분석과 R$_{eff}$, R$^2$의 통계항목을 이용한 정량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부유 물질 농도 보정은 2006년 7월 탁수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시기의 3개 강우사상에 대하여 수행하였으며, 모델의 검증은 2007년도 8$\sim$9월에 발생한 2개 강우사상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모델이 실측된 유출량 및 부유물질 농도를 비교적 잘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HSPF 유역모델을 이용하여 임하호 유입하천의 유출량 및 부유물질 농도를 모의함으로써 저수지로 유입되는 탁수 발생량을 예측할 수 있으며 유역별 탁수 관리방안 수립 및 저수지 모형과 연계를 통한 저수지의 탁수 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수자원공사, 임하댐 탁수 저감 방안수립 최종보고서 (2004a)
  2. 한국수자원공사, 저수지 연계운영을 통한 탁도관리방안 연구(2007)
  3. Albek, M., Ogutveren, U. B., and Albek, E., 'Hydrological modeling of Seydi Suyu watershed(Turkey) with HSPF,' J. Hydrol., 285, 260-271(2004) https://doi.org/10.1016/j.jhydrol.2003.09.002
  4. 박윤식, 김종건, 박준호, 전지홍, 최동혁, 김태동, 최중대, 안재훈, 김기성, 임경재, '임하댐 유역의 유사 거동 모의를 위한 SWAT 모델의 적용성 평가,' 한국물환경학회지, 23(4), 467-473(2007)
  5. 임상준, Kwvin M. Brannan, Saied Mostaghimi, 조재필, 'HSPF와 SWAT 모형을 이용한 산림유역의 유출 및 유사량 추정,' 한국농촌계획학회지, 9(4), 59-64(2003)
  6. 이상욱, 김정곤, 노준우, 고익환, 'CE-QUAL-W2 모델을 이용한 임하호 선택배제시설의 효과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23(2), 228-235(2007)
  7. 정세웅, '성층화된 저수지로 유입하는 탁류의 공간분포 특성 및 연직 2차원모델링,' 대한환경공학회지, 26(9), 970-978(2004)
  8. 김윤희, 김범철, 최광순, 서동일, '2차원 수리 수질모델(CEQUAL-W2)을 이용한 소양호 수온 성층현상과 홍수기 밀도류 이동 현상의 모델링,' 대한상하수도학회지, 15(1), 40-49(2001)
  9. 임상준, Kwvin M. Brannan, Saied Mostaghimi, 조재필, 'HSPF와 SWAT 모형을 이용한 산림유역의 유출 및 유사량 추정,' 한국농촌계획학회지, 9(4), 59-64(2003)
  10. 이혜숙, 정선아, 박상영, 이요상, 'HSPF와 CE-QUAL-W2 모델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용담댐 저수지 탁수현상의 모델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30(1), 69-78(2008)
  11. Newham L. T. H., Letcher R. A., Jakeman A. J., and Kobayashi T., 'A framework for integrated hydrologic, sediment and nutrient export modelling for catchment-scale management,' Ecological modelling, 19, 1029-1038(2004)
  12. Ribarova I., Ninov P., and Cooper D., 'Modeling nutrient pollution during a first flood event using HSPF software: Iskar River case study, Bulgaria,' Ecological modelling, 211, 241-246(2008) https://doi.org/10.1016/j.ecolmodel.2007.09.022
  13. Xu Z., Godrej A. N., and Grizzard T., J., 'The hydrological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a complexly-linked watershed-reservoir model for the Occoquan watershed, Virginia,' J. Hydrol., 345, 167-183(2007) https://doi.org/10.1016/j.jhydrol.2007.07.015
  14. Bicknel, B. R., Imhoff, J. C., Kittle, J. L., Donigian, A. S., Johanson, R. C.,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User's Manual for Release 1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nvironmental Research Laboratory, Athens, GA(1993)
  15.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홈페이지, http://www.wamis.go.kr(2007)
  16. 기상청 홈페이지, http://www.kma.go.kr(2007)
  17. Nash, J. E. and Sutcliffe, J. V.,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 - A discussion of principles,' J. Hydrol., 10(3), 282-290(1970) https://doi.org/10.1016/0022-1694(70)90255-6
  18. Shrestha, S., Babel, M. S., Gupta, A. D., and Kazama, F., 'Evaluation of annualized nonpoint source model for a watershed in the Siwalik Hills of Nepal,'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21(7), 961-975(2006) https://doi.org/10.1016/j.envsoft.2005.04.007
  19. Merritt, W. S., Letcher, R. A., and Jakeman, A. J., 'A review of erosion and sediment transport models,'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18, 761-799(2003) https://doi.org/10.1016/S1364-8152(03)0007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