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종연간 집경당(緝敬當)의 운용과 궁중(宮中) 서화수장(書畵收藏)

The Collection of Paintiongs and Calligraphy at Jipgyeong-dang Hall during King Gojong's Reign(1897~1907)

  • 황정연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공예연구실)
  • 발행 : 2007.12.30

초록

본 논문은 경복궁 집경당의 운용과 수장품의 내역을 통해 고종연간 궁중 서화수장의 추이를 살펴본 것이다. 그동안 집경당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채 건립시기는 경복궁 중건공사가 이루어진 1867년 이후이며 주로 내외신 접견처로 활용된 것으로 알려졌었다. 그러나 이글에서는 집경당과 한 건물로 배치된 함화당의 상향문과 기타 관찬사료의 기록을 통해 집경당이 1890년경에 건립되었으며, 그 운용에 있어서도 국왕의 접견처보다는 주로 고종의 강학(講學) 공간이자 풍부한 서책과 서화를 보관한 궁중 도서관, 서화수장처로서 기능을 하였음을 조명하였다. 서책을 보관한 장서각이 궁궐의 특정 영역과 관계없이 분포했던 반면, 서화작품을 수장한 수장처는 조선후기 이후 연침(燕寢) 영역에 위치하기 시작했다. 고종과 비빈들의 침전 영역에 속한 집경당이 서화수장처로 이용된 것은 이러한 배경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특히 고종연간에는 건청궁과 집옥재를 중심으로 국가의 문화적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 정책으로 인해 경복궁 연침영역에 궁중 도서관이 밀집해 있었다. 당시에는 헌종에 의해 발전한 19세기 전반의 궁중 서화수장에 힘입어 각 궁궐마다 선왕선후의 초상, 그들의 어필, 조선왕실 서책, 그밖에 국내외 서화가들의 작품이 다량으로 소장되어 있었다. 한편, 고종의 적극적인 외국서적 수입정책과 개항기라는 시대상황과 맞물려 궁중으로 유입된 서화자료의 내역은 크게 달라져 있었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1800연대를 전후로 간행된 중국 청대 서화, 화보(畵譜), 총서류 및 일본화보, 서양지도가 상당량 유입된 정황이 파악됨에 따라 조선 고유의 작품을 위주로 했던 전통적인 수장 성격에서 벗어났다는 점이다. 이러한 집경당 소장 서화의 외래적인 성격은 19세기 서화단에 있어 김정희 일파를 중심으로 한 청대 첩학(帖學) 비학파(碑學派) 서풍(書風)의 수용, 그리고 장승업 조석진 안중식 등이 청대 산수 인물화풍을 적극 수용하여 중국화풍의 대대적인 유행을 가져온 경향과도 상통한 맥락이었다고 하겠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oyal collec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during King Gojong's (高宗) reign (1897~1907) based on the function of the Jipgyeong-dang Hall (緝敬堂), situated at "sleeping realm (寢殿)," Gyeongbok Palace. Using the surviving palace records and art works this study argues that the date of building the hall is approximately confined to the year of 1890. Not being matched with the general opinion that the Jipgyeong-dang Hall was used for the official meeting with envoys, this hall functioned as the main place for royal audience and the storehouse for archives. The role of Gojong as collector and patron was essential not only to the maintenance of the collection but also to the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just before the Japanese annexation in 1910. The specific titles of the collection at this hall can be verified through the Catalogue of the Books, Paintings, and Calligraphy Exposed to the Sun at Jipgyeong-dang Hall (緝敬堂曝曬書目) dating to the nineteenth century. The records of the catalogue inform us that more than 1,000 paintings and pieces of calligraphy, inkrubbings from old steles, manuals for painting, and encyclopedia concerning art theories from Korea, China, and Japan were preserved there. The collection of Jipgyeong-dang Hall resulted from Gojong's policy to foster the collection of contemporary Chinese and Japanese art works and various catalogues. Standing behind the Gyeongbok Palace, the Jibok-jae Hall (集玉齋) also preserved the diverse sources of practical learning, as did the Jipgyong-dang Hall for Gojong. The enormous royal collections by Gojong might have been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royal artistic taste and the artistic milieu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surviving royal catalogues confirm this assumption as documentary eviden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