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econsideration of Kiln for Firing Soft Stoneware in the Yeongnam Province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영남지방 원삼국시대의 토기가마구조에 대한 예찰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Since three has never been any incidence of having investigated kilns for firing soft stoneware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so far, how they structured by reviewing historic literature and material was preconsidered in this study. It is presumed that after both Gimhae Daeseongdong-type and Sacheon Bonggyeri-type kilns for firing earthenware coexist early, through an internal alteration process which is mutually complex and momentous, the floor of plastic room has been flattened or slanted and expanded little by little into the closed-kiln structure. It seems that the structure of kilns for firing soft stoneware was a horizontal combustion type(水平燃燒式) and its plane shape was close to being rectangular in shape unlike that of kilns for firing stoneware found in Honam and Hoseo province in the period of (proto-) three kingdoms. On the other hand, it is likely that the horizontal combustion type structure of kilns for firing stoneware excavated in Samyong-ri, Jincheon preceded the vertical combustion type(垂直燃燒式)that of kilns for firing stonewere found in Sansu-ri. In addition, the term, monumeut for firing earthenware must be changed to kiln for firing earthenware and the terms of Pyeungyo(平窯) and Dyengyo(登窯) can be applied to kilns for firing tiles. Thus, it does not seem likely that the absolute equality that Wajil earthenware(soft stoneware) pottery is Pyeungyo and stoneware pottery is Dyeungyo is applied in all cases.

이 글은 아직 원삼국시대 토기가마의 조사 예가 거의 없는 영남지역을 대상으로 당시의 그것이 어떤 구조형태였는지 시공적인 자료검토를 통해 예찰한 것이다. 영남지방 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 초기의 토기가마는 김해 대성동형 토기가마와 사천 봉계리형 토기가마가 병존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상호 복합적이며 계기적인 내적 변화과정을 통해 소성실 바닥이 편평하거나 또는 경사지고 규모가 조금씩 확대되는 실요(室窯)의 구조로 변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구체적인 형태는 알 수 없으나 비슷한 시기 호남 호서지방의 구조와 유사한 수평연소식(水平燃燒式)이면서 평면형태가 장방형에 가까운 구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진천 삼룡리 토기가마의 수평연소식 구조는 진천 산수리 토기가마군의 수직연소식(垂直燃燒式) 구조보다 선행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는 소성유구(燒成遺構)는 토기가마로 부르는 것이 적절하며, 평요(平窯)와 등요(登窯)의 분류개념은 6세기대 이후 복합적인 구조를 하고 있는 가와가마의 경우에 사용함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와질토기가마는 평요이고 도질토기가마는 등요라는 기존 가설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