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on Kimchi Fermentation

매실농축액이 김치 발효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7.08.30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on the Kimchi fermentation.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Kimchi with the addition of various levels(0, 0.1, 0.3 or 0.5%)of prunus mume extract was measured up to 30 days at $4^{\circ}C$. pH was decreased sharply in control after 2 days . A typical decreasing pattern in pH values was noted in all treatments during the initial 18 days of fermentation followed by a gradual decrease afterwards. Total acidity was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prunus mume extract. Reducing sugar content was reduced to approximately 70% by day 10-12 in prunus mume extract treatments. Total vitamin C content was reached to maximum on 6 days of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in all treatments. Reducing sugar and total vitamin C contents were slightly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prunus mume. Total viable cell number increased to reach peak on day 8 and then slowly decreased during the fermentation. Lactobacillus cell number in control treatment continued to increase to reach peak on day 12, while the numbers in prunus mume treatments reached peak on day 8-12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throughout the ferm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runus mume extract causes to delay the Kimchi fermentation by slowing down pH drop and inhibiting the Lactobacillus cell growth.

본 연구는 매실농축액이 김치의 발효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매실농축액을 0, 0.1, 0.3 및 0.5% 첨가하여 만든 김치를 $4^{\circ}C$에서 한 달 동안 발효시키면서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매실농축액 무첨가구의 pH는 발효 2일째 크게 낮아졌고, 매실 첨가구들은 일시적 증가 현상을 보였다. 그 후 모든 첨가구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다가 18일 부터 pH값은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총산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매실농축액 무첨가구에 비해 첨가구의 총산 함량은 전반적으로 낮게 관찰되었다. 환원당 함량은 발효 10~12일동안 매실농축액 첨가구에서 약 70%정도 감소하였다. 총 비타민 C 함량은 모든 첨가구에서 발효 6일에 최고수준에 도달한 뒤 서서히 감소하였다. 환원당 함량 및 총 비타민 C 함량은 매실농축액 무 첨가구보다 첨가구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매실농축액에 함유된 환원당 및 비타민 C 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모든 첨가구에서 발효가 진행되면서 서서히 증가하여 최대균수를 도달한 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매실농축액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은 매실농축액이 pH의 저하를 지연시키고 미생물 생육을 억제함으로써 김치의 발육 숙성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Miler, G. 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s. Anal. Chem. 31: 426 https://doi.org/10.1021/ac60147a030
  2. 강민영, 정윤화, 은종방. 1999. 매실 과육과 매실 착즙박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1: 1434-1439
  3. 구경형, 강근옥, 김우정. 1988. 김치의 발효과정 중 품질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20: 476-482
  4. 김광훈, 김공환, 전재근. 1982. Pliot Scale 김치 순간 살균장치에서 의 순간 살균 조건이 김치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화학학회지 25: 4-9
  5. 김미혜, 김명철, 박종석, 김종욱, 이종옥. 2001. 다류 원료 식물류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33: 12-18
  6. 김소연, 김광옥. 1989. 소금농도 및 저장기간이 깍두기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21: 370-374
  7. 김선재, 박근형. 1995. 부추 추출물의 김치 발효 지연 및 관련 미생물 증식 억제. 한국식품과학회지 27: 814-819
  8. 김현옥, 이혜수. 1975. 숙성온도에 따른 김치의 비휘발성 유기산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7: 74-79
  9. 민태익, 권태완. 1984. 김치발효에 미치는 온도 및 식염농도의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16: 443-450
  10. 박건영. 1995. 김치의 영양학적 평가와 항돌연변이 및 항암 효과.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4: 169-182
  11. 박상갑. 1990. 매실 엑기스 투여가 여자 배드민턴 선수들의 혈액 성분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8: 40-43
  12. 박희옥, 김유정, 윤선 . 1991. 김치 숙성과정 중의 enzyme system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7: 1-6
  13. 배지현, 김기진, 김성미, 이원재, 이선장. 2000. 매실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개발. 한국식품과학회지 32: 713-719
  14. 배지현, 김기진. 1999. 매실 추출물을 함유한 음료가 식중독 유발균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9: 214-222
  15. 서화중, 이명렬, 정두례. 1990. 매실 추출물이 흰쥐의 위액 분비 및 사염화탄소로 유발시킨 카토의 간장 장애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9: 21-26
  16. 서화중, 고은영, 이명렬. 1987. 매실 추출물이 카토의 alloxam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6: 41-47
  17. 송문섭, 이영조, 조진섭, 김병천. 1989. SAS를 이용한 통계 자료 분석. 자유아카데미. pp. 61-84
  18. 송보현, 최갑성, 김용두.1997. 매실 품종과 수확시기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과 향기 성분의 변화. 한국저온저장학회지 4: 77-85
  19. 이신호, 최우정, 임용숙. 1997. 오미자 추출물이 김치 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25: 229-234
  20. 이인선, 박완수, 구영조, 강숙희. 1994. 품종별 가을배추로 제조한 절임 배추의 저장 중 특성 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26: 239- 245
  21. 이태훈. 1998. 암세포 증식에 미치는 prunus mume(매실) extracts의 영향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2. 이현애, 남은숙, 박신인. 2003. 매실(prunus mume) 착즙액의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 항균 작용.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6: 29-34
  23. 임재웅. 1999. 매실의 항균성 및 생리 활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4. 임재웅, 이규봉. 1999. 매실의 항미생물 활성 연구. 동아시아 식생활 학회지 9: 442-451
  25. 임대관, 최웅, 신동화. 1996. 국내산 약용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검색과 용매 분획물의 비교. 한국식품과학회지 28: 83- 89
  26. 조덕제, 김정숙, 채수규, 공종만. 1994. 식품분석, 지구문화사. pp. 156
  27. 정하숙, 고영태, 임숙자. 1985. 당류가 김치의 발효와 ascorbic acid 의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5: 36-41
  28. 정지훈. 1985. 매실의 시기별 화학적 성분. 전남대학교 농어촌개발연구20: 61-69
  29. 차보숙, 김우정, 변명우, 권중호, 조한옥. 1989. 김치의 저장성 연장을 위한 .gamma선조사. 한국식품과학회지 21: 109-112
  30. 차환수, 박용곤, 박정선, 박미원, 조재선. 1999. 매실의 성숙 중 경도, 무기성분 및 펙틴질의 변화.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6: 488-494
  31. 최무영, 최은정, 이은, 차배천, 박희준, 임태진. 1996. 솔잎즙의 첨가가 김치의 발효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지 25: 899-906
  32. 최흥식. 1995. 한국인의 생명, 김치, 밀알. pp. 206
  33. 한재택, 이상윤, 김경남, 백남인. 2001. 매실(prunus mume)의 항산화활성물질. 한국농화학회지 44: 35-37
  34. 한지숙,신동화, 윤세억, 김문숙. 1994. Listeria monocytogenes의 증식을 억제하는 식용 가능한 식물 추출물의 검색. 한국식품과 학회지 26: 545-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