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osal of stability standards for slopes reclaimed by soils mixed with stone dust

석분슬러지 혼합토 매립사면에 대한 안정성 기준 제안

  • Song, Young-Suk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Kim, Kyeng-Su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송영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산사태재해연구팀) ;
  • 김경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산사태재해연구팀)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In this paper, the stability standards of slopes reclaimed by soils mixed with stone dust were proposed to manage the stone dust as recovery soils. First of all, the mixed ratio between stone dust and natural soil is classified into 5 groups, and a series of soil test was performed in each group. As the results of tests, the shear strength and the maximum dry unit weight were increased in decrease of the mixed ratio of stone dust. On the basis of the investigation to the safety factor standards of embankment slopes in and outside the country, a slope stability rank of slopes reclaimed by mixed soils were divided into 3 stages such as unstable stage, attention stage and stable stage. The slope angle, the slope height and the mixed ratio with stone dust were proposed by the result of stability analysis of slopes reclaimed by mixed soils. As the result of slope stability analysis, the slope angle of 1 : 1.8 at the reclaimed slope should be constructed in case of the slope height of 10 m. Also, the slope angle of 1 : 1.8 and the mixed ratio of stone dust less than 50% should be constructed in case of the slope height of 15 m. The analysis result of reclaimed slope constructed inside the quarry is similar to that of reclaimed slope constructed on the open ground in same conditions of the slope angle, the slope height and the mixed ratio with stone dust. The proposed stability standards of slopes reclaimed by soils mixed with stone dust can be used practically at the quarrying site.

본 연구에서는 석분슬러지 혼합토를 복구토로 활용할 경우 조성되는 매립사면의 안정성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석분슬러지와 원지반토의 혼합비율을 5가지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한 토질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석분슬러지의 혼합비율이 감소할수록 전단강도 및 최대건조단위중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성토사면에 대한 국내외의 사면안전율 기준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석분슬러지 혼합토 매립사면의 사면안정등급을 불안정, 주의 및 안정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석분슬러지 혼합토 매립사면에 대한 사면안정해석을 실시하여 안전한 사면높이, 사면경사 및 석분슬러지 혼합비율을 제안하였다. 매립사면에 대한 사면안정해석결과 석분슬러지 혼합토 성토사면의 사면높이를 10 m로 할 경우 사면경사는 1 : 1.8 이상 되도록 매립하여야 안정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면높이를 15 m로 할 경우 석분슬러지 함유율이 50%이하로 하고 사면경사는 1 : 1.8 이상 되도록 매립하여야 안정함을 알 수 있다. 사면경사, 사면높이 및 석분슬러지 함유율이 동일한 조건일 경우 채석현장 내부의 절취암반에 접하여 매립된 사면과 평지에 성토하여 매립된 사면의 사면안정해석결과는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석분슬러지 혼합토 매립사면의 안정성 기준은 채석현장에서 실무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1997, 구조물기초 설계기준, 기술경영사
  2. 김경수, 송영석, 2007, 도로 보조기층재로서 채석장 석분토의 재활용가능성 분석, 지질공학, 17(2), 279-288
  3. 산업자원부, 2000, 석분토 활용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13-14
  4. 서영찬, 박광현, 남영국, 이성희, 1995, 석분 Screenings 기층의 아스팔트포장 상대강도계수 결정 연구, 대한 토목학회논문집, 15(5), 1233-1239
  5. 폐기물관리법, 2003, 제1장 제2조
  6. 한국도로공사, 1976, 도로설계요령, 제2권 토공 및 배수
  7. 한국도로공사, 1996, 도로설계실무편람 - 토질 및 기초 -
  8. 한국도로공사, 1998, 전주-함양간 고속도로 건설공사 실시설계 사면안정해석 기준 (안)
  9. 홍원표, 송영석, 2006, 활동억지시스템으로 보강된 사면의 안정해석 프로그램 개발, 지질공학, 16(1), 45-58
  10. Bishop, A.W., 1955, 'The use of the slip circle in the stability analysis of slopes', Geotechnique, 5, 7-17 https://doi.org/10.1680/geot.1955.5.1.7
  11. Fellenius, W., 1936, 'Calculation of the stability of earth dams' Transactions Seond Congress on Large Dam, Int. Com. on Large Dams of the World Power Conference, 4, 445-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