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ubsurface Geology in Central Busan Megacity

부산광역시 도심부 수리지질 특성과 지하지질 발달상태의 관련성

  • Ryu, Sang-Hun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Pusan National University) ;
  • Hamm, Se-Yeong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Pusan National University) ;
  • Cha, Yong-Hoon (GeoGreen21 Co., Ltd.) ;
  • Jang, Seong (Gyeongsangnam-Do office,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
  • Jeong, Jae-Hyeong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Son, Moon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Ki-Seok (Heesong Geotek Co., Ltd.)
  • 류상훈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 함세영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 차용훈 ((주)지오그린21) ;
  • 장성 (한국농촌공사 경남본부) ;
  • 정재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공학연구부) ;
  • 손문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 김기석 ((주)희송지오텍)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evaluate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subsurface geology data obtained from borehole, groundwater level, borehole flowmeter test, and field hydraulic tests. The regression equation of groundwater level (Y) versus ground elevation (X) is expressed by Y=0.75X-7.00 with quit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of 0.78. Relationship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thickness of landfill, alluvium, and weathered zone results in higher correlation of groundwater level (Y) versus natural log value of weathered tone (A) than other correlations, with the regression equation Y= exp(9.974A)-14.155. The result of groundwater flow measurement in the boreholes indicates that groundwater flows towards between south and southwest, and this approximately agree with regional distribution of groundwater levels.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도심지역인 부산진구 양정동에서 동구 수정동까지의 주로 경부고속철도 터널 통과 예정지역 지반조사로부터 얻어진 시추공 자료, 지하수위 자료, 공내 유향 유속 자료 그리고 현장수리시험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천부지층과 수리지질 특성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지하수위(Y)와 지형고도(X)의 관계식은 Y=0.75X-7.00 이며, 상관계수는 0.75로서 비교적 높은 편이다. 매립층, 충적층, 풍화대의 두께와 지하수위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풍화대의 두께(A)의 자연로그값과 지하수위(Y)의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회귀식은 Y=exp(9.974A)-14.155과 같다. 지하수 유향 유속 결과, 지하수 유향은 대체적으로 남쪽-남서쪽으로 향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적인 지하수위 분포와 대체로 일치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3, 부산지역 지하수 기초조사 보고서, 10-23
  2. 성익환, 조병욱, 이병대, 지세정, 류충렬, 김통권, 윤욱, 이봉주, 임현철, 이종철, 이병태, 김경구, 성기성, 이인호, 추창오, 김정숙, 김문수, 최경국, 함세영, 최광선, 김인수, 조명희, 심형수, 원지훈, 정상용, 박희영, 강동환, 심병완, 김병우, 1999, 지하수 오염방지 및 음용화 기술연구(부산지역), 한국자원연구소, 541p
  3. 손문, 이선갑, 김종선, 김인수, 이건, 2007, 부산시 도심지의 지하 지질구조와 단층손상과 관련된 지질위험도 분석, 자원환경지질, 40(1), 87-101
  4. 손문, 함세영, 김인수, 이융희, 정훈, 류춘길, 송원경, 2002, 부산시 금정산 일원의 지하수 유동 해석을 위한 단열계 분석, 지질공학, 12(3), 305-317
  5. 손치무, 이상만, 김영기, 김상욱, 김형식, 1978, 한국지질도 동래.월래도폭 (1:50,000) 및 설명서, 자원개발연 구소, 27p
  6. 오건환, 1988, 부산항의 매몰지형.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논문집. 16, 169-185
  7. 장태우, 강필종, 박석환, 황상구, 이동우, 1983, 한국지질도 부산.가덕도폭 (1:50,000) 및 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22p
  8. 조병욱, 2001, 부산지역의 지하수자원의 수리지질학적 특징,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이학박사 학위논문, 164p
  9. 함세영, 조명희, 성익환, 김정숙, 이병대, 조병욱, 한석종, 1999, 부산 북서부 화강암 지역 지하수의 화학적 특성, 수처리기술, 7(2), 57-68
  10. 함세영, 차용훈, 정재열, 2005, 부산 도심지역 미고결층과 기반암의 수리지질 특성, 지질공학, 15(4), 407- 421
  11. Boman, G.K., Moltz, F.J., and Boone, K.D., 1997, Borehole flowmeter application in fluvial sediments: Methodology, results, and assessment, Ground Water, 35(3), 443-450 https://doi.org/10.1111/j.1745-6584.1997.tb00104.x
  12. Fetter. C.W., 2001, Applied Hydrogeology, 4th ed, University of Wisconsin- Oshkosh, 598p
  13. Hanson, R.T. and Nishikawa, T., 1996, Conbined use of flowmeter and time-drawdown data to estimate hydraulic conductivities in layered aquifer systems, Ground Water, 34(1), 84-94 https://doi.org/10.1111/j.1745-6584.1996.tb01868.x
  14. Hess, A.E., 1986, Identifying hydraulically conductive fractures with a slow-velocity borehole flowmeter, Can. Geotech. J., 23, 69-78 https://doi.org/10.1139/t86-008
  15. Kerfoot, W.B., 1982, Comparison of 2-D and 3-D groundwater flowmeter probes in fully-penetrating monitoring wells, Proceeding of the second national symposium on aquifer restoration and ground water monitoring, May 26-28, 1982, Columbus
  16. Kim, H.S., Kim, J.S., and Kim, H.M., 1979, Orbicular Gabbroic Rocks from the Hwangryeong Mountain District, Pusan, Korea. Jour. Geol. Soc. Korea, 15(4), 295-313
  17. Miyakawa, K., Tanaka, K., Hirata Y., Kanauchi, M., 2000, Detection of hydraulic pathways in fractured rock masses and estimation of conductivity by a newly developed TV equipped flowmeter, Eng. Geol., 56, 19-27 https://doi.org/10.1016/S0013-7952(99)00131-3
  18. Morin, R.H., Hess, A.E., Paullet, F.L., 1988,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of hydraulic conductivity in a fractured limestone aquifer by simultaneous injection and geophysical logging, Water Resour. Res., 26, 587-595
  19. Williams, T.A. and Willimson A.K., 1989, Estimating water-table altitudes for regional ground-water flow modeling, U.S. Gulf Coast, Ground Water, 27(3), 333-340 https://doi.org/10.1111/j.1745-6584.1989.tb0045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