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s of the Elderly held by Non-Elderly

비노인층이 갖는 노인 이미지 연구

  • Published : 2007.08.25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images of the elderly held by non-elderly. Unlike previous studies on the topic, it considers various dimensions of the images including health, personality, intelligence, and economic ability. The study also attempt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the images by age groups of non-elderly as well as the dimensions above. The data come from a nationwide survey on the Korean Elderly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2004. Analysis of the samples aged 20-64 reveals that the overall image of the elderly are negative across four dimensions. Nonetheless, differences by dimensions are also observed. Young people in their 20s are more likely than other age groups to have negative views on elderly's health. In the meanwhile, the middle aged are more likely to have negative views on elderly's economic ability. Multivariate analysis based on legit regression model shows that the images of the elderly are affected by age, place of residence, co-residence with older persons, attitude toward life in old ag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ontain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lderly's images in rapidly aging society.

본 연구는 20대 이상 65세 미만 비노인층이 갖는 노인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 함으로써 향후 노인 이미지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의 가구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0-64세의 7,767면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노인의 건강, 정서, 지적능력과 경제력에 대한 이미지를 부정적 이미지와 긍정적 이미지로 양분하여 로짓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비노인층은 노인의 건강과 정서, 지적능력과 경제력에 대해 긍정적 이미지보다는 부정적 이미지를 갖고 있으며, 특히 청년층은 4가지 영역 중 노인의 건강에 대해 부정적 이미지를 강하게 갖고 있는 반면, 중 장년층은 경제력에 대해 부정적 이미지를 강하게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이미지 영역별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연령, 노인과의 동거여부, 노후에 대한 가치관, 거주지역 변수가 노인 이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과 거주하는 사람이 그리고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이 노인에 대해 부정적 이미지를 갖고 있으며, 또한 자녀와의 관계에서 정서적인 밀접성을 중요시하는 가치관을 가진 사람이 노인에 대해 긍정적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노인 이미지 향상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필선 (1989) '노인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광숙 (1987) '청소년의 노인관계에 대한 조사연구-서울시내 중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미혜 (2003) '인터넷 신문에 나타난 노인 이미지 분석: 오마이뉴스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3(1): 13-30
  4. 김연수 (1993) '부모-조부모 관계와 손자녀-조부모 친밀도가 청소년의 노인과 노화에 대한 사실인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영숙 (2002) '중고등학생의 노인 이미지에 대한 도시와 농촌의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 21(3): 75-89
  6. 김정한 (2005) <중고령자 고용안정 실태조사> 한국노동연구원
  7. 김지형 . 장윤옥 (2001)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이 노인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1-17
  8. 김혜경 (1997)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조부모와의 세대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65-79
  9. 대한민국정부 (2006)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새로마지 플랜 2010)>
  10. 동아출판사 (2006) <동아 새국어사전>
  11. 박경란 . 이영숙 (2001) '대학생이 갖고 있는 노인에 대한 고정관념 분석' <한국노년학> 21(2): 71-83
  12. 서병숙, 김수현 (1999)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이미지 연구' <한국노년학> 19(2): 97-111
  13. 신귀연 (1996) '이동과 청소년이 지각한 노인 이미지'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안옥희 외 (2002) '고령화 사회에서의 노인의 이미지에 관한 조사' <한국생활 과학지> 11(4): 347-355
  15. 옥은진 (1990) '노인문제에 대한 세대간의 인식차 연구' 상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원영희 (2004) '노인편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4(1): 187-206
  17. 윤성혜 (1990) '청년, 중년, 노년층의 노인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성신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윤진 . 조성미 (1982) '경산노화사실인지 척도의 구성연구' <한국노년학> 2: 5-15
  19. 이금룡 (2004) '연령별 노인에 대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전략적 방안모색' <노인복지연구> 26: 143-164
  20. 이선자 (1989) '전 연령 노인태도 연구: 연령군별 노인태도에 영향 미치는 인구사회적 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이시형 외 (1999) '노인에 대한 청소년의 태도 및 부양의식' <삼성생명 사회 정신건강연구소>
  22. 이신숙 . Sonia (2005) '한 . 미 대학생의 노인과 노화에 대한 지식 및 태도비교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3): 195-218
  23. 이영숙, 박경란 (2002) '노년학 교육이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1(3): 29-41
  24. 이은미 (1999) '중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이미지에 관한 연구: 텔레비전의 드라마와 코메디물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이인수 (2000) '농촌지역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인식도 연구' <한국노년학> 20(2): 123-135
  26. 임인혜 (1987) '한국 청소년의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은기수 (2001) '현대 한국사회의 가족가치관: 결혼에 대한 태도의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24(4): 241-258
  28. 정경희 외 (2005) '2004년도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정경희 외 (2007) <고령친화적 지역개발을 위한 지역사회발전방안 연구>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30. 조명희 (1987)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사회심리적 태도분석' <지역환경> 5: 73-87
  31. 조명희 (1974) '노인에 대한 고등학생의 태도 분석'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조성혜 (1990) '대학생 태도 분석에 따른 노인복지대책'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3. 차용은 (1980) '노인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연구: 전북지방을 중심으로' <전주 대학논문집>
  34. 최연실 (1995) '청소년 자녀기 가족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최춘혁 (1992) '노인과 노인문제 해결방안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연구: 서울시 남녀 중학생을 대상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Anderson-Hanley, C. (1999) 'Experiential Activities for Teaching Psychology of Aging' Educational Gerontology 25: 449-456 https://doi.org/10.1080/036012799267701
  37. Kogan, N. (1961) 'Attitude toward Old People: The Development of a Scale and an Examination of Correlates'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2: 44-54 https://doi.org/10.1037/h0048053
  38. Nuessel. F. H. (1982) 'The Language of Ageism' The Gerontologist 22(3): 273-275 https://doi.org/10.1093/geront/22.3.273
  39. OECD (2005) Expanding Opportunities
  40. Rowe, J., and R Kahn (1998) Successful Aging New York: Pantheon Books
  41. Schwartz, L., and J. P. Simmons (2001) 'Contact Quality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Educational Gerontology 27: 127-137 https://doi.org/10.1080/03601270151075525
  42. Seefeldt, C. R, R K. Jantz, A. Galpur and K. Serock (1977)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Educational Implications' Educational Gerontology 2: 301-310 https://doi.org/10.1080/0360127770020308
  43. Steitz, J. A. and B. S. Verner (1987) 'What Adolescents Knows about Aging' Educational Gerontology 13(5): 357-368 https://doi.org/10.1080/0360127870130406
  44. Troxler, A. J. (1971)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Old People' The Gerontologist 11(34): 11-34
  45. Tuckman, J. and I. Lorge (1952) 'Attitudes toward Old Worker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6: 149-153
  46. Ward, C. R, M. E. Duquin and H. Steetman (1999) 'Effects of Intergenerational Message on Future Caregiviers: Attitude toward Aging, the Elderly and Caring for the Elderly' Educational Gerontology 25(3): 3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