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마을계획과 실행의 차이 분석 - 충남 서천군 이색체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Gap Between Rural Villag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 Focused on Unique Experience Village, Seochon -

  • 정휘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조경학) ;
  • 김혜민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Jung, Hui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Hye-Min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NIAST RDA)
  • 발행 : 2007.09.30

초록

Recently the number of rural development plans are increased and projects supported by government are various. These makes rural plans important. But there are many gaps between proposed plan and implementation. These gaps were wasteful in terms of resource management.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s between plan and implementation and the reasons why they are occurred. For this purpose, we did a case study which is focused on the four-year implementation of 2004-2006 "Unique Experience Village Master Plan" of Seochon, Chungbuk. As a result, we verified facts of gaps and causes, and two major causes were detected : one is the absence of operating and managing body(such as promoter of project, village leader, residences), and the other is inadequate master plan.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06, 살기 좋은 지역만들기, 제이플러스 애드
  2. 김명수, 2005, 제2차 포럼. 국토군형발전과 농촌계획 자료집, 국토연구원
  3. 김진범 . 양하백, 2006, 광역권개발계획의 평가와 진단, 국토연구, 48 : 55-70
  4. 농어촌연구원, 2004, 문화마을조성사업 사후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
  5. 농촌생활연구소, 2003, 농촌자원 활용과 녹색관광
  6.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4, 주민참여계획모델에 의한 농촌어메니티 자원발굴 및 설계기술 현장적용연구, 농림부
  7.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 2006, 농촌계획의 이론과 실제, 보성각
  8. 류선무, 1998, 농촌관광개발론, 백산출판사
  9. 박시현, 박주영, 2004,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모니터링 추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0. 박진도 엮음, 2006, 농촌개발정책의 재구성, 한울아카데미
  11. 박창석, 1999, '농촌정주공간의 이용특성과 개선필요도 평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2. 박호균 외 2인, 2002, 경로분석을 통한 농촌관광사업 평가 척도의 타당성 분석, 농촌사회 12(2) : 75-102
  13. 서진완 . 윤상호, 2007, 정책평가와 정책조정의 변화 : 테마마을 사업 사례,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1(1) : 1-31
  14. 송미령 . 성주인, 2004. 주민참여형 마을개발사업의 평가와 모형정립,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5. 윤원근, 1999, 한국 농촌계획의 개념형성과 정립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1(3) : 53-71
  16. 이상문, 1998, 20세기 후반 한국 농촌마을의 정주기능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7. 이상우 . 장성준, 2004, 문화마을 조성사업의 계획지침의 실현결과에 관한 연구 - 횡성군 우천문화마을의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행논문집, 24(2) : 419-422
  18. 이종호, 2007, 신활력사업계획 수립 및 추진과정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0(2) : 211-222
  19. 임상봉, 2002, 지속가능한 농촌개발 계획수립을 위한 지표 설정방안, 농어촌과환경 12(4) : 75-90
  20. 임형백 . 조중구, 2004, 한국의 농촌개발의 전개와 특징, 지역사회개발연구 29(1) : 195-215
  21. 자연넷, 2004, 서천 이색체험마을 조성계획, 서천이색체험마을 추진위원회
  22. 장택수, 1993, 농촌지역의 생활권에 대응한 시설설치계획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전현곤, 2005, 2005 농촌전통테마마을사업 평가회, 농촌진흥청
  24. 최명규, 1992, 농촌지역시설의 적정규모 및 배치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한경수, 1998, 농촌마을수준의 지역자원평가시스템개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6. 협성대학교, 2004, 농어촌 종합개발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27. 황한철, 2007, 농촌개발사업의 추진실적 평가항목선정 및 가중치 산정에 관한 연구 -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지역개발 시행계획 추진실적 평가를 중심으로-, 농촌계획학회지 13(2) : 17-26
  28. Dave Counsell, Graham Haughton, 2006, Sustainable development in regional planning: The search for new tools and renewed legitimacy, Geoforum (www.elsevier.com/locate/ geoforum에서 online 서비스)
  29. Kun Lai, Yiping Li, Xuegang Feng, 2006, Gap between tourism planning and implementation: A case of China, Tourism Management, In Press, Corrected Proof (www.elsevier.com/locate/tourman에서 online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