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Excavated Costumes of Yeon-An Kim Clan, a Wife of Mong-Nam ($1534{\sim}1574$), who Belongs to Nam-yang Hong clan

16세기 여성 복식에 관한 연구 - 남양홍씨 몽남(夢男: $1534{\sim}1574$) 배위 연안김씨 묘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

  • 송미경 (경기도 박물관 학예연구팀)
  • Published : 2007.09.28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excavated female shroud while moving the graveyard of Nam-yang Hong clan in Yang-pyeong, Gyeonggi Province to other place. It is acquired as Yeon-An Kim clan who is a wife of one of Nam-yang Hong clan and history is estimated to 16th Century. Significance of this excavated female costumes is, 1) a Dan-ryeong, which is typical costumes during 16C. for woman is excavated. It is embroidered with peacocks shaped badge in fore and backside on a clothes, which is understood as the symbol of highest status but it is considered as much higher than actual status of her husband. from this, we can assume that burial costumes and regulation for actual clothes by the status are not exactly matched. 2) Various form of Chima and Jegori also found in the grave along with a Buddhist banner(幡) printed with Darani(多羅尼) which is unusual in Chosun dynasty, under confucian influence. 3) An embroidered design pillow was collected first time, which make us enable to understand the in-house life style of 16C.

Keywords

References

  1. 박성실 (2006). 출토복식을 통해 보는 임진왜란 이전 남녀복식의 조형적 특징. 한국복식, 24, pp. 99-132
  2. 송미경 외 (2005). 연안김씨 묘 출토복식. 수원: 경기도박물관
  3. 송미경 외 (2005). 연안김씨 묘 출토복식. 수원. 경기 도박물관. pp.16-17
  4. 조효숙 (2005). 연안김씨 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연안김씨 묘 출토복식. 수원: 경기도박물관. p. 187
  5. 송미경 (2002). 조선시대 여성단령에 관한 연구. 복식 52(8), pp. 151-160
  6. 박성실 (2005). 임진왜란 전후 출토단령의 실증적 고찰. 금선단 치마 입고 어디 다녀 오셨을까. 서울: 민속원. pp. 256-287
  7. 이미식 외 (2006). 인천 석남동 회곽묘 출토복식. 인천: 인천광역시립박물관, pp. 113-116
  8. 이은주 외 (2001). 포항 내단리 장기 정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안동: 안동대 학교박물관, pp. 33-38
  9. 이강칠 외 (2003). 역사인물초상화 대사전. 서울: 현암사, p. 85
  10. 박성실 외 (2003). 城平尹民 母子 미라 종합 연구 논문집 2. 서울: 고려대학교 박물관. pp. 21-28
  11. 박성실 외 (2003). 城平尹民 母子 미라 종합 연구 논 문집 2. 서울: 고려대학교 박물관. pp. 123
  12. 이은주 외 (2000). 안동 정상동 일선 문씨와 이응태묘 발굴조사 보고서. 안동: 안동대학교박물관. p. 199
  13. 박성실 외 (2006).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 편 문화재대관. 대전: 문화재청, pp. 304-305
  14. 박성실 외 (2003).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 편 문화재대관, 대전: 문화재청, pp. 37-59
  15. 박성실 외 (2003).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 편 문화재대관, 대전: 문화재청, pp. 196-201
  16. 이은주 외 (2000). 안동 정상동 일선 문씨와 이응태묘 발굴조사 보고서. 안동: 안동대학교박물관. p. 42-48
  17. 송미경 외 (2007).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수원: 경기도박물관. pp. 236-260
  18. 고부자 (2007). 大田 出土 江陵 金氏(女, 朝鮮 前期) 遺物. 한국복식, 25, p. 56
  19. 박성실 외 (2003).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 편 문화재대관, 대전: 문화재청, pp. 64-68
  20. 박성실 외 (2005).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 편 문화재대관, 대전: 문화재청, pp.164
  21. 송미경 (2003). 비무장지대 한산이씨 묘 출토복식 고찰. 비무장지대 도라산유적. 서울: 경기도박물관.세종대학교박물관, pp. 317-351
  22. 박상국 (1998). 파주 금릉리 慶州 鄭氏 墳墓에서 出土된 服飾에 찍힌 院羅尼와 佛敎符籍. 한국복식, 16, p. 3
  23. 梁誠之, 訥齋集, 卷四, 四十九
  24. 송미경 외 (2006). 진주류씨 합장묘 출토복식 수원: 경기도박물관. pp. 144-148
  25. 박성실 외 (2003).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 편 문화재대관, 대전: 문화재청, pp. 83-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