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Jones, E. E. & David, K. E. (1965), From Acts to Disposition: The Attribution Process in Person Perception. In L. H. Berkowitz (eds.). Advances in Expermental Social Psychology. New York: Academy Press, pp. 40-45
- Ryan, M. S. (1966). Clothing: A Study in Human Behavior.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Inc, pp, 63-69
- Wendall, W. (1947). Psychology in Living. New York: Mac Millan Co, p. 378
- Maslow, A. H. (1954).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 Bros, pp. 35-58
- Willians. R. M. (1952). American Society. New York: Harper & Row, pp. 374-375
- Hurlock, E. B. (1976). The Psychology of Dress. New York: ARNO Press, p. 156
- Peter, J. P. & Olson, J. C. (1987). Consumer Behavior: Marketing Strategy Perspectives. Homewood, AL: Irwin
- Ryan, M. S. (1966). Clothing: A Study in Human Behavior.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Inc, pp. 63-69
- 강경자 (1987). 패션선도자와 추종자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선택행동.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미정 (2000). 우리나라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과 화장품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채정숙 (2001).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 구매 및 사용행동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9 (11). pp. 107-127
- 홍성순, 오은정 (2001).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색조화 장 표현도와 색조화장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 (7). pp. 85-99
- 김현정 (Z003). 여대샘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 및 사용행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안소연 (2003) 여대생의 추구의복이미지에 따른 화장품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선정희, 유태순 (2003). 대형할인점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구매행동. 한국복식학회지, 53(6), pp. 75-86
- 문정혜 (2004). 직장여성과 여대샘의 화장품선호도 및 구매행동에 관한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연숙 (2000). 여성의 화장에 대한 의식행태와 관련 요인. 경산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권현숙 (2001). 여성의 화장이 심리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산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백경진, 김미경 (2004). 화장행동과 영향변인 연구-의복관여도, 연령. 얼굴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7), pp. 892-903
- 윤미숙 (2005). 여대샘의 색조화장품 색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연희 (2001). 색채화장이 얼굴 이미지지각에 미치는 영향-유행예측색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윤소영 (2001).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명숙, 선정희 (2001). 웨딩메이크업의 이미지 유형과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 한국미용학회지, 7(2), ,pp 73-85
- 이화순 (2002). 화장의 사회, 심리적 기대효과에 따른 화장이미지와 자의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연희 (2002). 메이크업의 색채와 이미지의 상황적 연출과 표현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오인영, 김인숙 (2006).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 유형에 따른 TV뉴스 여자 앵커의 인상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0(11), pp. 1636-1647
- 박은아 (2003). 화장의 심리사회적 의미: 보여주기의 미학. 한국심리학회지 : 소비자광고, 4(2), ,pp 105-127
- 이화순 (2002). 화장의 사회심리적 효용과 생활양식과의 관계. 한국미용학회지, 8(3), pp. 9-17
- 김기범, 차영란 (2006). 여성의 화장을 통한 미와 자기개념의 사회문화적 의미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11(10), pp. 107-123
- 임미연 (2005). 화장행동과 헤어칼라 및 자의식이 사회심리적기대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6(2), .pp 121-136
- 박수진, 박길순, 김서연 (2006). 여대생의 메이크업에 대한 행동 및 의식조사 연구-대전,충남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패션뷰티학회, 4(4), pp. 87-99
- 배정숙, 류현혜 (2004). 성인여성의 메이크업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메이크업 표현과 사용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2), pp. 332-343
- 김현희, 유태순 (2002). 여고생의 화장행동과 화장품 구매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2), pp. 251-262
- 백경진, 김미경 (2004). 화장에 관한 기존연구 유형의 분석. 복식문화연구, 12(1), .pp 182-198
- Cundiff, E. W., Still, R. R., & Norman A. P. (1980). Foundamentals of Modem Marketing (3rd ed.) Now York: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Inc., p. 128
- 소규만 (1997). 여성의 화장품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연희, 양취경 (2002).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부분 색채화장 이미지지각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3/4), pp. 515-526
- 현정희, 추태귀 (2005). 쇼핑성향과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초저가 화장품의 구매행동. 한국의류산업학회지, 7(6), pp. 624-632
- 한덕희, 박길순 (2006). 미백화장품의 구매실태 및 만족도 분석. 한국패션뷰티학회지, 4(4), pp. 42-55
- 구양숙, 권현주, 이승민 (2000). 남자 대학생의 의복 관여도에 따른 화장품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 연구, 8(2), pp. 183-196
- 김숙례 (2001). 성인여성의 화장품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경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지영 (1999), 여대샘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화장품 소비행동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Secord, P. F. & Jourard, S. M. (1953). The Appraisal of Body-cathexis: Body-cathexis and the Self.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17, pp. 343-347 https://doi.org/10.1037/h0060689
- 전영신, 한명숙 (1998). 여고생의 자아이미지와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7(5), pp. 80-92
- 조선명, 고애란 (2001).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이미지가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청소년기 여학생의 연령 집단별 차이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25 (7), PP. 1227 -1238
- 김아날리아, 이수경, 고애란 (2006). 남녀 프리틴 세대의 외모관련행동 영향요인-미디어관여, 신체만족,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0(11), pp. 1538-1549
- 정지영, 신혜원 (2007). 남녀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외모관심도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및 의복추구혜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4), pp. 13-23
- 이은희 (2007)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 외모와 의복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학회지, 10(1), pp. 49-58
- 이명희 (2003). 청소년의 외모관련행동과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9/10), pp.1101-1111
- Rodgers, C. R. (1951). Client-Centered Therapy. New York: Houghton Mifflin Co, p. 487
- Maslow, A. H. (1954).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 Bros, pp. 35-58
- Hersey, P. & Blanchard, K. H. (1972).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Behavior (2nd ed.). New Zezsey:Prentice- Hall Inc.,cited by 神山進 (1985). 被服心理學. 東京. 光生館, p. 171
- 강경자 (1994), 의복의 정숙성. 심미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II )-기본욕구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18(2), pp.180-188
- 전경란 (2002). 여성의 욕구, 자마존중감과 성형 및 의복태도의 관련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 박혜정, 김혜정 (2004). 패션산업의 문화가치와 소비 가치-마케팅과 의류학의 패션시스템에 대한 거시적 관점의 통합적 접근-. 한국의류학회지, 28(1), ,pp 1-11
- 임경복 (2001) . 소비자의 가치체계가 의복관여도와 쇼핑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7), pp. 1321-1331
- 이경아, 유태순 (1997), 물질적 가치 수준에 따른 의복의미와 의복가치관의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21 (3), pp. 524-535
- 이유선 (1998). 남녀 고등학샘의 사회적 가치관과 의 복행동에 관한 연구-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용민, 이명희 (2005). 청소년의 사회적 가치와 의복 및 신체태도와의 관계. 한국의류학회지, 29(9/10), pp.1219-1229
- 박광희 (2000). 소비자의 가치와 의복쇼핑성향과의 관계 연구. 소비자학연구, 11 (1), pp. 49-58
- 박혜원, 김현, 임숙자 (2005). 남녀 대학생의 가치관에 따른 의복행동 및 의복구매행동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1), pp. 103-113
- Secord, P. F. & Jourard, S. M. (1953). The Appraisal of Body-cathexis: Body-cathexis and the Self.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17, pp. 343-347 https://doi.org/10.1037/h0060689
- Mahoney E. R. & Finch M. D. (1976). The Dimensionality of Body-cathexis. Journal of Psychology. 92(2), pp, 277-279 https://doi.org/10.1080/00223980.1976.9921367
- Shim S ., Kotsiopulus A. & Knoll D. S. (1991). Body Cathexis. Clothing Attitude, and their Relations to Clothing and Shopping among Male Consumers.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9(3), pp. 42-44
- Maslow, A. H. (1954).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 Bros, pp. 35-58
- Creekmore A. M. (1963). Clothing Behavior & Their Relationship to General Values & to the Striving for Basic Ne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p. 2-15, 200-210
- 강경자 (1994), 의복의 정숙성. 심미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II )-기본욕구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18(2), pp.180-188
- Creekmore. A. M. (1966). Methods of Measuring Clothing Variables. Michigan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Project. Michigan State University, pp.96-101
- 이인자 (1978). 주부들의 의상가치관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연구보고. 2. ,pp 63-94
- 정명선 (1984). 남녀대학생의 의복에 대한 정숙성과 의복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8(1), pp. 85-93
- 강경자 (1989). Maslow의 기본욕구가 의복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13(1), pp. 1-12
- 고애란, 김양진 (1996). 청소년의 의복행동에 대한 자아중심성, 자의식, 신체만족도의 영향 연구. 한국의류학회. 20(4), p. 667
- 박선희 (2001) . 현대여성의 화장행위와 성격유형과의 관계성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8-71
- 박정혜 (2002). 추구의복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른 색 조화장행동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5
- 백경진, 김미경 (2004). 화장에 관한 기존연구 유형의 분석. 복식문화연구, 12(1), .pp 182-198
- 장남경, 고은주 (2004).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특성에 따른 의복행동, 구매평가기준, 정보원에 대한 연구. 복식. 54(7), p. 20
- 이명희 (2004). 여성의 자아개념이 화장품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복식문화연구. 12(4). pp. 614-627
- Jackson L. A., Sullivan L. A., & Rostler R. (1988). Gender, gender role, and Body Image. Sex Roles. 19(7/8), pp. 429-443 https://doi.org/10.1007/BF00289717
- Creekmore, A. M. (1963). Clothing Behavior & their Relationship to General Values & to the Striving for Basic Nee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 Graham J. A. & Jouhar A. J. (1981). The Effect of Cosmetics on Person Percep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3, pp. 208-210
- Craig, T. H. (1973). Clothing-a Comprehensive Study. New York: J. B. Lippincott Co, pp, 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