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n Make-up Behavior of Women

성인여성의 인구통계적 변인과 심리적 특성이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 최수경 (마산대학 뷰티케어학부)
  • Published : 2007.09.28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in personal intention and show-off of make-up behavior. For the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f 436 women in between their twenties to fifties residing in the Kyeongnam region. Obtained data were analyz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influence on personal intention and show-off of make-up behavior can be described into 4 factors that are included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personal intention and show-off, in other words,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the body cathexis, the need and the clothing valu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marriage status, the occupation status and the media contact had a direct influence on personal intention,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 had a direct influence on show-off. The body cathexis did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any subordinate factors of personal intention and show-off, but had indirect influence having the need as a parameter or had no influence having the clothing value as a parameter.

Keywords

References

  1. Jones, E. E. & David, K. E. (1965), From Acts to Disposition: The Attribution Process in Person Perception. In L. H. Berkowitz (eds.). Advances in Expermental Social Psychology. New York: Academy Press, pp. 40-45
  2. Ryan, M. S. (1966). Clothing: A Study in Human Behavior.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Inc, pp, 63-69
  3. Wendall, W. (1947). Psychology in Living. New York: Mac Millan Co, p. 378
  4. Maslow, A. H. (1954).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 Bros, pp. 35-58
  5. Willians. R. M. (1952). American Society. New York: Harper & Row, pp. 374-375
  6. Hurlock, E. B. (1976). The Psychology of Dress. New York: ARNO Press, p. 156
  7. Peter, J. P. & Olson, J. C. (1987). Consumer Behavior: Marketing Strategy Perspectives. Homewood, AL: Irwin
  8. Ryan, M. S. (1966). Clothing: A Study in Human Behavior.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Inc, pp. 63-69
  9. 강경자 (1987). 패션선도자와 추종자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선택행동.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이미정 (2000). 우리나라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과 화장품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채정숙 (2001).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 구매 및 사용행동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9 (11). pp. 107-127
  12. 홍성순, 오은정 (2001).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색조화 장 표현도와 색조화장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 (7). pp. 85-99
  13. 김현정 (Z003). 여대샘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 및 사용행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안소연 (2003) 여대생의 추구의복이미지에 따른 화장품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선정희, 유태순 (2003). 대형할인점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구매행동. 한국복식학회지, 53(6), pp. 75-86
  16. 문정혜 (2004). 직장여성과 여대샘의 화장품선호도 및 구매행동에 관한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전연숙 (2000). 여성의 화장에 대한 의식행태와 관련 요인. 경산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권현숙 (2001). 여성의 화장이 심리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산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백경진, 김미경 (2004). 화장행동과 영향변인 연구-의복관여도, 연령. 얼굴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7), pp. 892-903
  20. 윤미숙 (2005). 여대샘의 색조화장품 색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연희 (2001). 색채화장이 얼굴 이미지지각에 미치는 영향-유행예측색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윤소영 (2001).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한명숙, 선정희 (2001). 웨딩메이크업의 이미지 유형과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 한국미용학회지, 7(2), ,pp 73-85
  24. 이화순 (2002). 화장의 사회, 심리적 기대효과에 따른 화장이미지와 자의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박연희 (2002). 메이크업의 색채와 이미지의 상황적 연출과 표현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오인영, 김인숙 (2006).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 유형에 따른 TV뉴스 여자 앵커의 인상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0(11), pp. 1636-1647
  27. 박은아 (2003). 화장의 심리사회적 의미: 보여주기의 미학. 한국심리학회지 : 소비자광고, 4(2), ,pp 105-127
  28. 이화순 (2002). 화장의 사회심리적 효용과 생활양식과의 관계. 한국미용학회지, 8(3), pp. 9-17
  29. 김기범, 차영란 (2006). 여성의 화장을 통한 미와 자기개념의 사회문화적 의미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11(10), pp. 107-123
  30. 임미연 (2005). 화장행동과 헤어칼라 및 자의식이 사회심리적기대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6(2), .pp 121-136
  31. 박수진, 박길순, 김서연 (2006). 여대생의 메이크업에 대한 행동 및 의식조사 연구-대전,충남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패션뷰티학회, 4(4), pp. 87-99
  32. 배정숙, 류현혜 (2004). 성인여성의 메이크업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메이크업 표현과 사용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2), pp. 332-343
  33. 김현희, 유태순 (2002). 여고생의 화장행동과 화장품 구매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2), pp. 251-262
  34. 백경진, 김미경 (2004). 화장에 관한 기존연구 유형의 분석. 복식문화연구, 12(1), .pp 182-198
  35. Cundiff, E. W., Still, R. R., & Norman A. P. (1980). Foundamentals of Modem Marketing (3rd ed.) Now York: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Inc., p. 128
  36. 소규만 (1997). 여성의 화장품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연희, 양취경 (2002).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부분 색채화장 이미지지각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3/4), pp. 515-526
  38. 현정희, 추태귀 (2005). 쇼핑성향과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초저가 화장품의 구매행동. 한국의류산업학회지, 7(6), pp. 624-632
  39. 한덕희, 박길순 (2006). 미백화장품의 구매실태 및 만족도 분석. 한국패션뷰티학회지, 4(4), pp. 42-55
  40. 구양숙, 권현주, 이승민 (2000). 남자 대학생의 의복 관여도에 따른 화장품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 연구, 8(2), pp. 183-196
  41. 김숙례 (2001). 성인여성의 화장품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경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지영 (1999), 여대샘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화장품 소비행동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Secord, P. F. & Jourard, S. M. (1953). The Appraisal of Body-cathexis: Body-cathexis and the Self.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17, pp. 343-347 https://doi.org/10.1037/h0060689
  44. 전영신, 한명숙 (1998). 여고생의 자아이미지와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7(5), pp. 80-92
  45. 조선명, 고애란 (2001).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이미지가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청소년기 여학생의 연령 집단별 차이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25 (7), PP. 1227 -1238
  46. 김아날리아, 이수경, 고애란 (2006). 남녀 프리틴 세대의 외모관련행동 영향요인-미디어관여, 신체만족,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0(11), pp. 1538-1549
  47. 정지영, 신혜원 (2007). 남녀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외모관심도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및 의복추구혜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4), pp. 13-23
  48. 이은희 (2007)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 외모와 의복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학회지, 10(1), pp. 49-58
  49. 이명희 (2003). 청소년의 외모관련행동과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9/10), pp.1101-1111
  50. Rodgers, C. R. (1951). Client-Centered Therapy. New York: Houghton Mifflin Co, p. 487
  51. Maslow, A. H. (1954).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 Bros, pp. 35-58
  52. Hersey, P. & Blanchard, K. H. (1972).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Behavior (2nd ed.). New Zezsey:Prentice- Hall Inc.,cited by 神山進 (1985). 被服心理學. 東京. 光生館, p. 171
  53. 강경자 (1994), 의복의 정숙성. 심미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II )-기본욕구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18(2), pp.180-188
  54. 전경란 (2002). 여성의 욕구, 자마존중감과 성형 및 의복태도의 관련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55. 박혜정, 김혜정 (2004). 패션산업의 문화가치와 소비 가치-마케팅과 의류학의 패션시스템에 대한 거시적 관점의 통합적 접근-. 한국의류학회지, 28(1), ,pp 1-11
  56. 임경복 (2001) . 소비자의 가치체계가 의복관여도와 쇼핑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7), pp. 1321-1331
  57. 이경아, 유태순 (1997), 물질적 가치 수준에 따른 의복의미와 의복가치관의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21 (3), pp. 524-535
  58. 이유선 (1998). 남녀 고등학샘의 사회적 가치관과 의 복행동에 관한 연구-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전용민, 이명희 (2005). 청소년의 사회적 가치와 의복 및 신체태도와의 관계. 한국의류학회지, 29(9/10), pp.1219-1229
  60. 박광희 (2000). 소비자의 가치와 의복쇼핑성향과의 관계 연구. 소비자학연구, 11 (1), pp. 49-58
  61. 박혜원, 김현, 임숙자 (2005). 남녀 대학생의 가치관에 따른 의복행동 및 의복구매행동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1), pp. 103-113
  62. Secord, P. F. & Jourard, S. M. (1953). The Appraisal of Body-cathexis: Body-cathexis and the Self.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17, pp. 343-347 https://doi.org/10.1037/h0060689
  63. Mahoney E. R. & Finch M. D. (1976). The Dimensionality of Body-cathexis. Journal of Psychology. 92(2), pp, 277-279 https://doi.org/10.1080/00223980.1976.9921367
  64. Shim S ., Kotsiopulus A. & Knoll D. S. (1991). Body Cathexis. Clothing Attitude, and their Relations to Clothing and Shopping among Male Consumers.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9(3), pp. 42-44
  65. Maslow, A. H. (1954).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 Bros, pp. 35-58
  66. Creekmore A. M. (1963). Clothing Behavior & Their Relationship to General Values & to the Striving for Basic Ne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p. 2-15, 200-210
  67. 강경자 (1994), 의복의 정숙성. 심미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II )-기본욕구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18(2), pp.180-188
  68. Creekmore. A. M. (1966). Methods of Measuring Clothing Variables. Michigan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Project. Michigan State University, pp.96-101
  69. 이인자 (1978). 주부들의 의상가치관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연구보고. 2. ,pp 63-94
  70. 정명선 (1984). 남녀대학생의 의복에 대한 정숙성과 의복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8(1), pp. 85-93
  71. 강경자 (1989). Maslow의 기본욕구가 의복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13(1), pp. 1-12
  72. 고애란, 김양진 (1996). 청소년의 의복행동에 대한 자아중심성, 자의식, 신체만족도의 영향 연구. 한국의류학회. 20(4), p. 667
  73. 박선희 (2001) . 현대여성의 화장행위와 성격유형과의 관계성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8-71
  74. 박정혜 (2002). 추구의복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른 색 조화장행동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5
  75. 백경진, 김미경 (2004). 화장에 관한 기존연구 유형의 분석. 복식문화연구, 12(1), .pp 182-198
  76. 장남경, 고은주 (2004).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특성에 따른 의복행동, 구매평가기준, 정보원에 대한 연구. 복식. 54(7), p. 20
  77. 이명희 (2004). 여성의 자아개념이 화장품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복식문화연구. 12(4). pp. 614-627
  78. Jackson L. A., Sullivan L. A., & Rostler R. (1988). Gender, gender role, and Body Image. Sex Roles. 19(7/8), pp. 429-443 https://doi.org/10.1007/BF00289717
  79. Creekmore, A. M. (1963). Clothing Behavior & their Relationship to General Values & to the Striving for Basic Nee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80. Graham J. A. & Jouhar A. J. (1981). The Effect of Cosmetics on Person Percep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3, pp. 208-210
  81. Craig, T. H. (1973). Clothing-a Comprehensive Study. New York: J. B. Lippincott Co, pp, 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