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Fabrics of King Muryeong's Tomb at the Baekje(百濟) Period

백제 무령왕릉 출토 직물 연구

  • Cho, Hyo-So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Kyung Won University) ;
  • Lee, Eun-Jin (Dept. of Costume Design, Dong Shin University) ;
  • Jeon, Hyun-Sil (Dept. of Clothing & Textiles, the Catholic Univ. of Korea)
  • 조효숙 (경원대학교 의상학과) ;
  • 이은진 (동신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 전현실 (가톨릭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7.09.28

Abstract

This study is considered about the fabrics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at the Baekje(百濟) Period. First, there were silk fabrics such as compound woven silk(錦), twill damask(綾), complex gause(羅) and plain weaved silk(平絹). All of compound woven silk(錦) are the warp-faced compound tabby(經錦) of plain weave and the density is various from high to low one. The twill damask(綾) was a variation of twill damask weaved with a six strand warp thread. The complex gause(羅) made patterns as a set of 2 strand, 4 strand, 6 strand and 8 strand warp threads are weaved alternately with the weft. There were three kinds of plain weaved silk(平絹). The first was weaved densely without space between strands. The second was weaved with a small space between strands. And the third was weaved with a two strand warp thread, having a space between the threads. On the other hand, several pieces of well preserved ramie cloth were excavated. Of the, the densest one has the density of 125 strand/inch for the warp and the weft. In addition, strings made of flax thread were found. This suggests that flax fabrics may be found additionally if the hardened lumps of fabrics are resolved and analyzed. Other materials discovered include knits, knotted strings, embroideries, threads and floss. Pieces considered knits and knotted strings occupy a large part of fabrics excavated from King Muryeong's Tomb, and in particular knotted strings show various knotting methods. In addition, embroideries such as chain stitch and button hole stitch are clearly observed. What is more, there are silk threads and hemp threads, which are presumed to have been used for dangling ornaments such as Yeongrak(瓔珞) and beads or for sewing. Besides, floss was found between fabrics.

Keywords

References

  1. 권영숙, 조현혹, 장현주, 김종오 (2000). 신라시대 천마 총 출토 직물의 유형과 특성. 服飾, 50(7)
  2. 박윤미 (2002). 加耶古境의 銹着織物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권영숙, 신경철, 장현주 (2001). 한국 고대 羅직물의 유형과 특성: 흥덕왕 복식금제에 나타난 羅직물을 중심으로. 服飾, 51(1)
  4. 권영숙, 장현주, 이용희 (2003). 한국 고대 羅직물의 유형과 특성 II: 석가탑 복장 羅직물을 중심으로. 服飾, 53(3)
  5. 장현주, 권영축, 원희정 (2006). 한국 고대 능직물의 유형과 특성. 석가탑 복장 능직물을 중심으로. 服節, 56(9)
  6. 충청남도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1973). 百濟 武寧王陸. 공주: 공주대학교
  7. 國立技餘文化財硏究所, 技餘那 (1998). 陸山里. 技餘: 國立技餘文化財硏究所
  8. 국립공주박물관 편 (2005). 직물의 종류와 제직 특성, 武寧王陸: 출토 유물 분석 보고서 ( I ). 공주. 국립공주박물관, pp. 128-167
  9. 조효숙, 이은진, 전현실 (2007). 백제 무령왕릉 출토 金鋼題 수착 직물 연구. 服節, 57(1), pp. 93-104
  10. 奈良縣立橿原考古學硏究所 (1995), 藤ノ木古境 第二.三次調査報告書: 分析と技術篇. 奈良: 斑鳩町敎育委員會, p.170
  11. 奈良縣立橿原考古學硏究所 (1995), 藤ノ木古境 第二.三次調査報告書: 分析と技術篇. 奈良: 斑鳩町敎育委員會, p.165
  12. 박윤미 (2002). 加耶古境의 銹着織物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09, 112, 116, 117
  13. 권영숙, 조현혹, 장현주, 김종오(2000). 신라시대 천마총 출토 직물의 유형과 특성. 服飾, 50(7) p.133
  14. 박윤미 (2002). 加耶古境의 銹着織物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12, 117
  15. 권영숙, 조현혹, 장현주, 김종오 (2000). 신라시대 천마총 출토 직물의 유형과 특성. 服飾, 50(7). p.133
  16.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76). 경주 황남동 제98호 고분 발굴보고서 문화재 관리국. 문화재관리국, p. 239
  17. 권영숙, 조현혹, 장현주, 김종오 (2000). 신라시대 천마총 출토 직물의 유형과 특성. 服飾, 50(7). p.138
  18. 陳維種 主編 (1984), 中國紡織科學絲網技術史. 北京: 科學出板社, pp. 91-94
  19. 奈良縣立橿原考古學硏究所 (1995), 藤ノ木古境 第二.三次調査報告書: 分析と技術篇. 奈良: 斑鳩町敎育委員會, p.177
  20. 박윤미 (2002). 加耶古境의 銹着織物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16
  21. 布目順郞 (1992) 目で見る 織維の考古學 京都. 染織 の生活社. p. 85
  22. 국립공주박물관 편 (2005). 직물의 종류와 제직 특성, 武寧王陸: 출토 유물 분석 보고서 ( I ). 공주. 국립공주박물관, pp.163
  23. 국립공주박물관 편 (2005). 직물의 종류와 제직 특성, 武寧王陸: 출토 유물 분석 보고서 ( I ). 공주. 국립공주박물관, pp. 164
  24. 국립공주박물관 편 (2005). 직물의 종류와 제직 특성, 武寧王陸: 출토 유물 분석 보고서 ( I ). 공주. 국립공주박물관, pp. 159
  25. 국립공주박물관 편 (2005). 직물의 종류와 제직 특성, 武寧王陸: 출토 유물 분석 보고서 ( I ). 공주. 국립공주박물관, pp.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