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dolescents' Consumer Knowledge and Consumption Behavior and Related Variables

청소년의 소비자지식과 소비 행태 및 관련변인

  • Jung, Mi-Jung (Home Econom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
  • Lee, Yon-Suk (Dept. of Home Economies Education. Korea University)
  • 정미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 이연숙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adolescents' consumer knowledge and consumption behavior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m. The sample of this study is 640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kyunggi province. The data a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hird grade students and the female students get higher scores in the consumer knowledge compared with the first grade and the male students. Other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consumer knowledge are occupation of parents, education level of mother, household income and GPA. Second, the consumption behavior of students is moderately resonable and affected by sex and grade of students, education level of mother, household income, and GPA. Third, the adolescent's consumer knowledge affects their consumption behavior.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4% to 9% of variances of sub categories of the consumption behavior are explained by the level of consumer knowledge. Since the consumer knowledge learned at schools is rarely transferred to the reasonable consumption behavior, the systematic and relevant consumer education considering the development stages of adolescents is requir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청소년의 소비자지식 수준과 소비행태를 조사하고 두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고자 경기도 소재 중학교 학생 64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하였다. 청소년의 소비자교육내용을 5개의 범주(일반경제지식, 금전관리, 구매, 컨슈머리즘, 자원의 활용)로 유형화하고, 이에 기준하여 소비자 지식과 소비행태를 측정하였다. 소비자지식 수준을 분석한 결과, 1학년에 비해 3학년이,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의 소비자지식 수준이 높았으며 부모의 직업, 모의 학력, 가계소득, 학업성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비행태를 살펴보면 청소년들은 비교적 합리적이지 못한 소비생활을 하고 있었고, 용돈기입장을 작성하지 않거나 환경보전을 위한 소비노력을 하지 않는 측면도 나타났다. 청소년의 소비자지식 수준은 소비행태와 각 하위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나 설명력이 $4{\sim}9%$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소비자교육에서는 소비자지식을 소비행동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소비자능력을 배양하고 실효성을 극대화시키는 교육적 노력이 필요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