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avelet Transform을 이용한 감조하천 수위자료의 유출성분 추출

Extraction of Runoff Component from Stage in Tidal River Using Wavelet Transform

  • 오창열 (유량조사사업단 품질정책실) ;
  • 이진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
  • 정성원 (유량조사사업단) ;
  • 박성천 (동신대학교 토목공학과)
  • 발행 : 2007.10.31

초록

본 연구는 조석의 영향을 받는 하동2 지점의 수위자료로부터 시간과 주파수 영역에서 유연한 분해능을 갖는 웨이블렛 변환을 적용하여 강우에 의한 유출성분과 조석에 의한 조위성분을 추출하였다. 최종파형 분해단계의 근사성분은 가장 큰 에너지 값은 87.77%를 나타내었으며, 상세성분 중 반일주조형의 주기성(약 12시간)을 갖는 D3의 에너지 값은 10.70%로 나타났다. 또한 D3의 왜도 및 첨도 값은 여수 조위자료와 유사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하동2 지점의 수위자료에 대하여 최종 분해된 최종파형 분해단계의 근사성분(A6)과 D6, D5 상세성분은 유출성분이며, 상세성분 D4, D3, D2는 조석의 영향으로 수위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조위성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applied to Wavelet transform that have soft resolution time and frequency area for stage of Hadong2 station in order to extract to discharge component by rainfall and tidal level component by tide. Approximation component(A6) of last level for wavelet decomposition displayed the biggest energy value 87.77%, and detail component(D3) energy value was 10.70% with periodicity of semidiurnal tide type(about 12 hours). Also skewness, kurtosis values of D3 have similar to tidal level of Yeosu. Approximation component(A6), Detail component(D6, D5) for Hadong2 stage was runoff component, and detail component(D4, D3, D2) was tide component according to effect of tide.

키워드

참고문헌

  1. 곽필정, 오창열, 진영훈, 박성천 (2006). '웨이블렛 변환과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일 TOC 자료의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물환경학회지, 제22권, 제5호, 한국물환경 학회, pp. 952-957
  2. 권현한, 문영일 (2005). 'Wavelet Transform 을 이용한 수문시계열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8권, 제6호, 한국수자원학회, pp. 439-448 https://doi.org/10.3741/JKWRA.2005.38.6.439
  3. 국립해양조사원, http://www.nori.go.kr
  4. 박진수, 김신도 (2004). '웨이브릿 기법을 이용한 오존 특성분석 및 AR모델을 이용한 예측.' 대한환경공학회지, 제26권, 제8호, 대한환경공학회, pp. 844-852
  5. 영산강홍수통제소, http://www.hrfco.go.kr/youngsan/
  6. 유량조사사업단 (2007). 2006 년도 유량조사보고서 VI. 영산강유량측정. 건설교통부, pp. 115-119
  7. 진영훈, 박성천, 이연길 (2007). '수문시계의 장, 단기 성분 추출을 위한 웨이블렛 변환의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5권, 제6B호, 대한토목학회, pp. 493-499
  8. 진영훈, 박성천 (2006)'.수문기상자료의 웨이블렛 변환 에 의한 비선형 동역학적 성분의 추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6권, 제5B호, 대한토목학회, pp. 439-446
  9.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2001). 항만변천사. pp. 274-276
  10. Chen, B.F., Wang, R.D., Chu, C.C. (2007). 'Wavelet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alyses of tide forecasting and supplement of tides around Taiwan and South China Sea.' Ocean Engineering, In pressing https://doi.org/10.1016/j.oceaneng.2007.04.003
  11. Daubechies, I. (1992). 'Ten lectures on wavelets.' Soc. for Ind. and Applied :Math., Philadelphia, PA
  12. Drago, A.F. & Boxall, S.R. (2002). ''Use of the wavelet transform on hydro-meteorological data.' Physics and Ozemistry of the Earth, 27, pp. 1387-1399 https://doi.org/10.1016/S1474-7065(02)00076-1
  13. Kaplan, D, & Glass, L. (1997). 'Understanding Nonlinear Dynamics.Springer, pp.280-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