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ourism Resources Strategy of Royal Tomb: from Seosam-noung's Social Transfiguration and Characteristic Perspectives

서삼릉의 사회적 변용과 특성으로부터 본 왕릉의 관광자원화 방향

  • Published : 2007.10.28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tourism resources strategies of royal tomb from the perspectives of Seosam-noung's social transfigurations and space characteristics. The result show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were no less important than cultural factors for evaluating royal tomb's recreational value. Because a royal tomb needs to be developed as a rest place for citizens, how citizen's rest place and tourism recreation can be coexisted is a significant matter for a space development. In addition, royal tomb's characteristic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environment, man, gardening, and scenery. Therefore, the story research of these gardening, man, space needs to be investigated.

본 연구는 최근 왕릉의 활용논의가 가장 활발히 전개되는 있는 서삼릉을 대상으로 그의 사회적 변용과 이용 및 공간적 특성을 통해 왕릉의 관광자원화 방향을 검토한 것이다. 연구결과, 왕릉의 관광레크레이션적 가치는 왕릉이라는 문화적 요인 못지않게 주변지역의 특성적인 환경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왕릉의 개발수요는 기본적으로 관광개발에 앞서 시민휴식공간으로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바, 시민휴식공간과 관광레크레이션을 어떻게 양립시켜 나갈 것인가가 공간개발의 중요한 문제가 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왕릉의 특성은 문화적 요인, 환경적 요인과 더불어, 왕릉을 구성하는 인물적 특성과 왕릉을 둘러싼 식생 또는 경관학적 특성에도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러한 공간, 식생, 인물 구성에 대한 스토리 연구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