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 Environments of Li in the Interlayer of Clay Minerals at Room and High Temperatures

상온 및 고온에서 점토광물 층간의 Li 환경

  • Kim, Yeong-Kyoo (Department of Ge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Ji-Eun (Department of Ge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We used $^6Li$ and $^7Li$ MAS NMR to investigate the fate and local environments of Li in the interlayer of clay minerals such as hectorite, Woming-montmorillonite, beidellite, and lepidollite at room and high ($250^{\circ}C$) temperature. Although $^6Li$ NMR spectra show narrower peaks than those of $^7Li$ NMR, S/N ratio is low and there are no obvious differences in chemical shifts suggesting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6Li$ NMR to have information on the local environments of Li in the clay interlayers. $^7Li$ NMR spectra, however, show changes in the peak width and quadrupole pattern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local environments of Li in the interlayer even though changes in the chemical shift are not observed. In montmorillonite, two different local environments of Li are observed; one has a narrow peak with typical quadrupole patterns whereas another has a broad peak without those of the patterns. Changes in the peak width is also observed from broad to narrow in the $^7Li$ NMR spectra for beidellite but not for hectorite at high temperatur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peak width change in the broad peak is attributed to the coordination changes in the water molecules around Li which is tightly bonded on the basal oxygen of Si tetrahedra as inner-sphere complexes. The narrow peak in montmorillnoite can be assigned to the Li bended as outer-sphere complexes.

[ $^6Li$ ]과 $^7Li$ MAS NMR을 이용하여 점토광물 층간에 있는 Li의 환경에 대하여 상온과 고온($250^{\circ}C$)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고 $^6Li$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대상광물로는 헥토라이트, 와이오밍-몬모릴로나이트, 바이델라이트가 사용되었고 레피돌라이트가 추가적으로 사용되었다. 층간에 존재하는 Li의 연구에서 $^6Li$$^7Li$에 비하여 좁은 피크를 보여주나 S/N비가 낮고 화학적 이동에 의한 환경변화를 뚜렷이 보여주지 않았다. 또한 피크의 모양이나 너비의 변화가 크지 않아 이를 이용한 구조해석도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7Li$ NMR 스펙트럼의 경우 역시 화학적 이동의 변화는 크지 않으나 피크의 너비 변화 및 2차 사중극 패턴의 변화를 통하여 층간 내 존재하는 Li의 미시적 환경 및 이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7Li$ NMR의 경우 몬모릴로나이트에서 두 개의 다른 환경을 갖고 있는 Li이 관찰되며 좁은 피크를 갖으며 2차 사중극 패턴이 아주 잘 나타나는 Li과 전체적으로 이러한 특성 없이 넓은 너비를 갖는 피크를 보인다. 고온에서 Li의 변화는 주로 넓은 피크를 갖는 Li에 의해서 주로 일어나며 이는 아마도 물의 결합과 관계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헥토라이트에서는 넓은 피크를 관찰할 수 없었고 바이델라이트에서도 몬모릴로나이트의 스펙트럼에서 보여지는 넓은 피크를 볼 수 있으며 고온에서 역시 피크의 너비가 좁아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두 개의 피크 중 넓은 피크를 갖는 Li은 Si 사면체의 기저면에 상대적으로 강하게 결합하고 있는 내부권 복합체로, 몬모릴로나이트에서 보여지는 좁은 피크의 Li은 Si-사면체에서 비교적 떨어져 있는 외부권 복합체로 해석하였다.ng rainy periods. Generally the concentrations of combined sewage were more polluted during the first flush period than after the first flush during a storm event. 환자들에게 있어 개방식 배농술과 근육이식술, 근육피판을 이용한 최종적인 개방창 폐쇄술까지의 단계적인 접근 방법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만으로 야뇨횟수에 호전을 보이는 초기반응군 경우 2개월째 투약반응이 유의하게 좋았다. 이로써 야뇨증의 치료초기 행동요법에 대한 반응정도는 치료효과를 예측하는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소아의 첫 요로감염시 초음파나 $^{99m}Tc$-DMSA 신장 스캔상에서 양성소견이 있을 경우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으며, 초음파와 $^{99m}Tc$-DMSA 신장 스캔상에서 양성소견이 없을 경우라도 CRP 또는 백혈구 등의 임상자료들을 평가하여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 검사를 시행유무를 결정하는 것이 잔존하는 방광요관역류를 찾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O$로 고칼슘뇨군에서 더 농축된 소변을 보았다(P=0.003). 결론 :고칼슘뇨군의 소변화학검사의 가장 특징적인 소견은 요소 배설과 사구체여과율의 증가로서 이는 고칼슘뇨군이 비고칼슘뇨군에 비하여 고단백식이를 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나트륨과 칼슘은 사구체 여과가 증가함에 따라 원위세뇨관 및 집합관에 도달하는 양도 증가하고 그 곳에서 나트륨의 재흡수 기전이 매우 정교하게 이루어지는데 비하여 칼슘의 그 것은 그렇지 못하여 고칼슘뇨증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다. 향후 고칼슘뇨 환아를 진료함에 있어서 단백질 섭취 등식이 습관의 문진과 함께 식이요법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애, 해리 장애,

Keywords

References

  1. Alvero, R., Alba, M.D., Castro, M.A. and Trillo, J.M. (1994) Reversible migration of lithium in montmorillonites. J. Phys. Chem., 98, 7848-7853 https://doi.org/10.1021/j100083a017
  2. Bank, S., Bank, J.F. and Ellis, P.D. (1989) Solid-state $^{113}Cd$ nuclear magnetic resonance study of exchanged montmorillonites. J. Phys. Chem., 93, 4847-4855 https://doi.org/10.1021/j100349a034
  3. Calvet, R. and Prost, R. (1971) Cation migration into empty octahedral sites and surface properties of clays. Clays Clay Mineral., 19, 175-150 https://doi.org/10.1346/CCMN.1971.0190306
  4. Greathouse, J. and Sposito, G. (1998) Monte Carlo and molecular dynamics studies of interlayer structure in $Li(H_2O)_3$-smectite. J. Phys. Chem. B, 102, 2406-2414 https://doi.org/10.1021/jp980120h
  5. Greene-Kelly, R. (1953) Irreversible dehydration in montmorillonite: II. Clay Min. Bull. 2, 52-56 https://doi.org/10.1180/claymin.1953.002.9.09
  6. Hofmann, U. and Klemen, R. (1950) Verlust der Austauschfahigkeit von Lithiumionen an Bentonit durch Erhitzung. Z. anort. allgem Chem., 262, 95-99
  7. Jaynes, W.F. and Bigham, J.M. (1987) Charge reduction, octahedral charge, and lithium retention in heated, Li-saturated smectites. Clays Clay. Miner., 35, 440-448 https://doi.org/10.1346/CCMN.1987.0350604
  8. Kim, Y., Cygan, R.T. and Kirkpatrick, R.J. (1996a) $^{133}Cd$ NMR and XPS investigation of Cs adsorbed on clay minerals and related phases. Geochim. Cosmochim. Acta. 60, 1041-1052 https://doi.org/10.1016/0016-7037(95)00452-1
  9. Kim, Y. and Kirkpatrick, R.J. (1997) $^{23}Na$ and $^{133}Cs$ NMR study of cation adsorption on mineral surfaces: Local environments, dynamics, and effects of mixed cations. Geochim. Cosmochim. Acta, 61, 5199-5208 https://doi.org/10.1016/S0016-7037(97)00347-5
  10. Kim, Y., Kirkpatrick, R.J. and Cygan, R.T. (1996b) $^{133}Cs$ NMR Study of Cs on the surfaces of kaolinite and illite. Geochim. Cosmochim. Acta, 60, 4059-4074 https://doi.org/10.1016/S0016-7037(96)00257-8
  11. Lambert, J-F., Prost, R. and Smith, M.E. (1992) $^{39}K$ solid-state NMR studies of potassium tecto- and phyllosilicates: The in situ detection of hydratable $K^+$ in smectites. Clays Clay Mineral., 40, 253-261 https://doi.org/10.1346/CCMN.1992.0400301
  12. Laperche, V., Lambert, J.F., Prost, R. and Fripiat, J.J. (1990) High-resolution solid-state NMR of exchangeable cations in the interlayer surface of a swelling mica: $^{23}Na$, $^{111}Cd$, and $^{133}Cs$ vermiculites. J. Phys. Chem., 94, 8821-8831 https://doi.org/10.1021/j100388a015
  13. Luca, V., Cardile, C.M. and Meinhold, R.H. (1989) High-resolution multinuclear NMR study of cation migration in montmorillonite. Clay Mineral., 24, 115-119 https://doi.org/10.1180/claymin.1989.024.1.10
  14. Quirk, J.P. and Theng, B.K.G. (1960) Effect of surface density of charge on the physical swelling of lithium montmorillonite. Nature, 187, 967-968 https://doi.org/10.1038/187967a0
  15. Tettenhorst, R. (1962) Cation migration in montmorillonite. Amer. Mineral., 47, 769-773
  16. Theng, B.K.G., Hayashi, S., Soma, M. and Seyama, H. (1997) Nuclear mganetic resonance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ic investigation of lithium migration in montmorillonite. Clays Clay Mineral., 45, 718-723 https://doi.org/10.1346/CCMN.1997.0450510
  17. Tinet, D., Faugere, A.M. and Prost, R. (1991) $^{111}Cd$ NMR chemical shift tensor analysis of cadmium-exchanged clays and clay gels. J. Phys. Chem. 95, 8804-8807 https://doi.org/10.1021/j100175a070
  18. Weiss, C.A. Jr., Kirkpatrick, R.J. and Altaner, S.P. (1990a) The structural environment of cations adsorbed onto clays: $^{133}Cs$ variable- temperature MAS NMR spectroscopic study of hectorite. Geochim. Cosmochim. Acta, 54, 1655-1669 https://doi.org/10.1016/0016-7037(90)90398-5
  19. Weiss, C.A. Jr., Kirkpatrick, R.J. and Altaner, S.P. (1990b) Variations in interlayer cation sites of clay minerals as studied by $^{133}Cs$ MAS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Am. Mineral., 75, 970-982
  20. Xu, Z. and Stebbins, J.F. (1995) $^6Li$ nuclear magnetic resonance chemical shift, coordination number, and relaxation in crystalline and glassy silicates. Solid State Nucl. Mag. Reson., 5, 103-112 https://doi.org/10.1016/0926-2040(95)00026-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