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Geomorphic Landscape and Its Usage of 'Oreurn' on Jeju-Island

제주 '오름'의 지형경관 특성과 활용방안

  • Suh, Joo-Hwan (Environmental and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Kyung Hee University) ;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Kim, Sang-Beom (Landscape Information and Aesthetic Science Program, Kyung Hee University)
  • 서주환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 ;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김상범 (경희대학교 경관정보 및 미과학 연구실)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As a basic element of Jeju landscape, Oreum offers a beautiful and aesthetic view. Considering topographical and geological research achievements, however, an effort to discover implicit value in terms of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value has been ignored. This paper has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landscape by Oreum focusing on Jeju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eco-touristic value and discussed a scheme to maximize the values. Under a theme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RIO Declaration, tour industry has recently changed its focus from eco-tourism to gee-tourism. Fortunately, Jeju Oreum has very distinctive and unique landscape with depressed crater at a crest. Nevertheless, it's very difficult to see a true aspect of Oreum from the street or over the car window. Therefore, it's urgent to begin a research on how to make advantage of and preserve Oreum landscape in order to maximize its landscape values and improve its potential as a tourist attraction. Through diverse programs such as sky leisure sports(ex: light airplane and helicopter riding, paragliding), sky watching, and mountain hiking, in particular, a possibility that Oreum can succeed as LBD(Learning by Doing)-based tour program with volcanic features needs to be examined. Besides, it's also a good idea to develop Oreum tour program or Oreum Museum as an alternative plan. Above all, however, it's most urgent to protect the existing Oreum and restore ecological and landscape beauty of Oreum through proper land use.

Keywords

References

  1. 강대균(2004) 안변도의 해안지형과 경관: 서쪽 해안을 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11(3): 75-84
  2. 강만익(1998) 제주도의 화산지형. 탐라지리교육연구. 1: 13-26
  3. 강상배(1970) 제주도 지형에 대한 소고-화산지형과 해안지형을 중심으로,제주교육대학교 논문집 1: 29-43
  4. 강영조(1995) 낚시 전문가에 의한 해안지형경관 분류와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59(3): 66-79
  5. 강영조. 김현정(1997) 지형호칭에 의한 하천 미세형경관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3): 111-123
  6. 강정효(2003) 한라산 오름의 왕국.생태계의 보고. 돌베게. pp. 34-79
  7. 고광종(1995) 관광자의 생태관광 인식도에 관한 연구(제주도를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고동희(1987) 제주도 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와 이미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고은경(2003) 제주도 오름 생태관광 해설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고의장(1984) 제주도와 울릉도의 지형경관에 관한 비교연구. 지리학연구 9: 481-506
  11. 고의장(2001) 한려해상 국립공원의 자연경관에 대한 지형학적 특성. 지리학연구 35(2): 127-138
  12. 고의장(2003)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자연경관에 대한 지형학적 특성. 지리학연구 37(3) : 295-305
  13. 국립공원 관리공단(1999) 국립공원 자연학습 프로그램 및 자연해설기법(자연학습탐방로 조성 중심으로). 국립공원 관리공단. pp. 15-18
  14. 권동희(1997a) 문화유산으로 보전해야 할 우리나라 지형경관. 자연보존 12(3): 20-25
  15. 권동희(1997b) 제2차 자연환경 전국기초조사에서의 지형경관 조사방법과 활용. 사진지리 6: 35-45
  16. 권동희(2000) 덕유산 국립공원 일대의 지형경관 특성과 활용방안. 지리학연구 34(2): 73-85
  17. 권동희(2001) 발왕산 지역의 지형경관특성과 활용방안. 지리학연구 35(3): 249-261
  18. 권동희(2002) 가평지역의 지형경관특성과 활용방안. 지리학연구 36(3): 217-226
  19. 권동희(2003a) 강릉 석병산 지역의 지형경관특성과 활용방안. 지리학 연구 37(2): 127-137
  20. 권동희(2003b) 지형경관과 관련된 천연기념물 지정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대안. 사진지리 12: 69-78
  21. 권동희(2004a) 포천.동두천 일대의 지형경관 특성과 활용방안. 한국지형학회지 11(4):11-19
  22. 권동희(2004b) 화천 사병산 일대의 지형경관 특성과 활용방안. 지리학연구 38(2): 115-125
  23. 권동희(2006) 횡성.홍천 지역의 지형경관 특성과 활용방안,한국지형학회지 13(4): 1-7
  24. 기근도, 김영래(2007) 불암산의 지형 경관과 기후지형학적 특색,한국지형학회지 14(1): 87-103
  25. 김상범(2001) 지역경관자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경관정보체계의 구축과 활용.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김상범(2005) 제주도 [오름]의 경관 선호성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김상범, 심우경, 노재현(2007) 오름의 형태와 시각량 분석을 통한 경관 선호성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5(1): 48-58
  28. 김종철(1994) 오름나그네 1.2.3. 높은오름: 7-9. 11-14. 7
  29. 김창환(1999) GIS기법을 이용한 동강 유역의 지형 경관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6(1):1-10
  30. 김태호(2000) 화산지형. 한국자연지리연구회편. 자연환경과 인간. pp. 441-466
  31. 김태호(2001a) 제주도경관생태,한국경관생태연구회 pp. 255-277
  32. 김태호(2001b) 제주도의 화산지형과 보전.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 114: 1-7
  33. 김태호(2002) 한라산의 지형경관.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지 15(1) : 15
  34. 노재현, 신상섭, 김상범, 조찬문(2007) 영주십경의 형식구조와 의미내용을 통해 본 제주의 경승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47-58
  35. 박승필(1985a) 제주도 측화산에 관한 연구-지형과 분포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논문집 자연과학 편, pp 23-25
  36. 박승필(1985b) 제주도 측화산에 관한 연구. 전남대 논문집 30: 159-166
  37. 박승필(1986) 제주도 기생화산에 관한 연구. 제주도연구 3: 373-378
  38. 박의준, 구자용(2003) 위성영상을 이용한 해안습지 지형경관 변화 분석의 효율성 평가. 대한지리학회지 38(5): 822-834
  39. 박의준, 김성환, 윤광성(2005) 우리나라 대하천 상류 하천습지의 지형경관: 영산강 상류 하천습지를 사례로. 지리학연구 39(4): 469-478
  40. 박희두(2003) 서대산 지역의 지형경관 특성, 한국지형학회지 10(1): 11-18
  41. 박희두(2004) 천태산과 마니산의 지형경관 특성 비교, 사진지리 13: 48-58
  42. 서종철(2005) 환경부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형경관 분야 개편 (안). 한국지형학회지 12(4): 69-78
  43. 성춘자(2004) 중국 장가계지역의 지형경관.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4(4): 47-58
  44. 손인석(1980) 제주도에 분포하는 기생화산의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지구과학과 석사 논문
  45. 오남삼(1986) 화산경관 분출순서 연구. 제주대학교 관광개발연구논문집 3: 21-53
  46. 오정준(2003) 제주도의 지속가능한 관광에 대한 연구-생태 관광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7. 오창명(1998) 제주도 오름과 마을 이름. 제주대출판부
  48. 윤재남(1999) 효율적 경관관리를 위한 경관평가에 관한 연구-제주도 경관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이문원, 손인석(1983) 제주도 화산지형 연구. 대한지질학회지 5(2) : 12-15
  50. 이문원.손인석(1984) 제주도는 어떻게 만들어진 섬일까? 도서출판 춘광. pp. 62-63
  51. 이민부, 한주엽(1999) 산계령 일대의 분수계와 지형 경관 분석, 지리.환경교육 7(1): 375-397
  52. 이종석(1997) 제주도 자연경관의 계절에 따른 색채분석. 대한지질학회.pp 31-34
  53. 정성민, 이민부(2004) 순천만의 히구 지형경관 변화. 한국지형학회지 11(2): 127-139
  54. 제주도(1990) 제주도 지리 정보. 제주도. p. 25
  55. 제주도(1997) 제주도의 오름. 신제주인쇄사. pp. 7-53
  56. 제주도. 제주발전연구원(2000) 제주오름의 보전.관리 방안. 제주도. pp. 11-23
  57. 제주발전연구원(2001) 제주형 생태관광개발의 방향 연구. 제주발전연구원
  58. 허철호, 김성용, 윤성택(2005) 오대산 국립공원의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 조사를 통한 관광지질학적 가치 증진: 지구과학의 대중적 이해. 한국지구과학회지 26(3): 218-231
  59. 허철호, 이재호, 윤성택, 최선규, 김성용(2004) 계룡산 국립공원 지형 경관자원의 유형과 분포. 국토연구 42: 3-15
  60. 허철호, 최상훈(2007) 관광지질학 활성화를 위한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 개발에 관한 연구: 태안해안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8(1): 75-86 https://doi.org/10.5467/JKESS.2007.28.1.075
  61. 홍성조(2000) 지형경관과 삶의 질: 환경문제에 대한 지형학의 역할과 전망. 대한지리학회지 80(2): 351-364
  62. 환경부(2005) 제2차 전국자연환경 조사지침.pp. 11-13
  63. 황상구, 황재하, 김동학, Howells, M. F(1992) 제주도 송악산 응회환. 분석구의 火山 과정. 대한지질학회지 28: 110-120
  64. 條原 修(1982) 新體系土木工學. 59 土木景觀計劃. 日本土木學會. p. 69
  65. Arthur. L. M .. T. C. Daniel and R. S. Boster (1977) Scenic assessment: an overview. Landscape Planning 4: 109-129 https://doi.org/10.1016/0304-3924(77)90014-4
  66. Litton Jr., Burton(1974) Visual Vulnerability. J. of Foresrty(July) pp. 392-397
  67. Sohn, Y. K. (1996) Hydrovolcanic Processes forming basaltic tuff rings and cones on Cheju Island. Korea. Ame
  68. http://www.cha.go.kr/newinfo/sub02/ct-jejudo.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