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혁(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장혁(1997) 토론, 한국건축의 미적차원-현상과 관계. 플러스 9705
- 강학(1999)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한국성담론의 비판적 분석. 플러스 9907
- 건축과 환경(1988) 특집: 한국성의 재규명. 건축과 환경 8806
- 고주석(1998) 작정기: 21C 한국적 도시공원의 추구. 환경과조경 9804 pp. 30-39
- 공간(1987a) 한국성의 재발견. 공간 8706
- 공간(1987b)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공간(1988) 좌담, 한국성 개념과 방법론. 공간 8807
- 공일곤(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구성회(1988)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구영일(2004) 한국현대조경작품에 나타난 한국성에 관한 연구. 상명대 박사학위논문
- 국무조정실 주한미군대책기획단(2005) 용산기지 공원화 구상 연구
- 권영걸(2001) 공간디자인 16강. 서울: 국제출판사
- 권태문(1987) 현대건축과 한국 건축성. 꾸밈 8706
- 김경수(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김경재(1999) 한국현대건축에 표현된 한국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21: 3-9
- 김광억(1997) 한국문화는 있는 것인가?(플러스 편, '한국건축,재구성을 위한 서설(1)') . 플러스 9701
- 김광현(1988) 한국현대건축의 전통적 표현과 그 파생개념 비판. 건축과 환경 8806
- 김기석(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김동찬(1993) 도시공원의 새로운 시도(환경과조경 편, '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 ) 환경과조경 9304
- 김동현(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김문환(1997) 한국적인 것의 모색방안(플러스 편, '한국건축,재구성을 위한 서설(1)'). 플러스 9701
- 김민수(2001) 한.일 그래픽 디자이너 게놈 분석(김민수,김성복 편. 디자인문화비평 05),서울. 안그라픽스. pp. 20-63
- 김병종(1988) 좌담,한국성의 개념과 방법론,공간 8807
- 김복영(1988) 좌담. 한국성의 개념과 방법론,공간 8807
- 김봉렬(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김봉렬(1993) 한국성을 다시 생각한다. 건축가 9312
- 김봉렬(1997) 실천적 이론창출을 위한 전제조건. 플러스 9705
- 김봉렬(1998) 韓國性: 굴레인가,축복인가? 아크포럼 9810
- 김성복(2001) 오리엔탈리즘의 족쇄: 한국 패션 정체성의 딜레마(김민수,김성복 편,디자인문화비평 05) 서울: 안그라픽스. pp. 64-90
- 김성완(2001) 한국적 게임을 찾아서(김민수,김성복 편. 디자인문화비평 05). 서울: 안그라픽스.pp. 156-171
- 김성우(1987) 동양건축에서의 집과 사람-하나의 동양적 관정으로서의 한국성. 공간 8706
- 김성우(1989) 90년대의 전통논의를 생각하며. 공간 8912
- 김영준(1998) 韓國性: 굴레인가, 축복인가? 아크포럼 1988
- 김영호(1999) 서구미술에 나타난 모방과 차용의 역사 논리. 현대미술학회 논문집 2: 47-78
- 김우옥(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김원룡(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김인철(1998) 韓國性: 굴레인가 축복인가? 아크포럼 9810
- 김정신(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김정철(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김정희(1999) 토속성을 통해서 표현된 '한국성'. 현대미술학회 논문집 제 2호 : 177-212
- 김종균(2007) 독재정권기의 민족주의와 디자인에서의 '한국성'. 한국 디자인학회 디자인 연구 11월호
- 김준성(1998) 韓國性: 굴레인가. 축복인가? 아크포럼 9810
- 김진애(1998) 韓國生: 굴레인가,축복인가? 아크포럼 9810
- 김철순(1997) 무엇이 한국적인가? 조형예술에 있어서 한국적인 것. 공간 9710
- 김태원(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김한배(1993) 공원인가, 제3의 공간유형인가?(환경과조경 편,'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 환경과조경 9305
- 김한배(1997) 한국조경의 전통과 설계적 상상력. 환경과조경 9706. pp 98-103
- 김한배(1999) 한국,오늘의 조경정신. 환경과조경 9901. pp. 114-117
- 김홍식(1987) 민족건축론. 서울: 한길사
- 김희대(1995) 토론. 한국근대미술의 한국성(윤범모 편. '한국근대미술의 한국성') 서울: 가나아트 pp. 89-165
- 김희춘(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공간 8709
- 동정근(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류춘수(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리즈스코프(2001) 패션-국가: 일본의 세계화 경험과 홍콩의 딜레마 (김민수,김성복 편. 디자인문화비평 05) 서울: 안그라픽스 pp. 310-338
- 문석기(1993) 자연성이 내재된 '公苑' 으로 명명하는 것은 어떨지? 환경과조경 9306
- 민현식(1987a)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민현식(1987b) 한국성표현의 실제2. 공간사옥. 공간 8711
- 박길룡(1997) 한국건축의 미적차원-현상과 관계. 플러스 9705
- 박신의(2001) 한국 비엔날레에 떠도는 아시아 정체성의 유령(김민수,김성복 편. 디자인문화비평 05). 서울: 안그라픽스. pp. 92-107
- 박인배(1997) 가장한국적인 것은 무엇인가? 플러스 9701
- 박재철(1993) 한국적인 분위기가 있는 공원의 사례. 환경과조경 9305. pp 84-87
- 배정한(2007) 조경의 시대,조경을 넘어. 서울: 도서출판 조경
- 소흥렬(1987) 한국성 모색을 위한 철학적 고려. 공간 8706
- 송민구(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신상섭(1997) 문화인식으로 본 현대 한국조경 경향에 대한 비평. 환경과조경 9707
- 심광현(1988) 좌담. 한국성의 개념과 방법론. 공간 8807
- 아크포럼(1998) 韓國性: 굴레인가, 축복인가?.(http://www.archforurn.com/main/korea/cyber/Professional/proforurn -9810)
- 안영배(1988) 한국전통건축의 공간특성과 구성수법. 건축과 환경 8806
- 오광수(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오기수(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우경국(1997) 토론,한국건축의 미적차원-현상과 관계. 플러스. 9705
- 유지나(2001) 쿼바디스 한국영화의 정체성(김민수,김성복 편,디자인 문화비평 05). 서울: 안그라픽스. pp. 144-154
- 윤범모 연(1995) 토론,한국근대미술의 한국성. 서울. 가나아트
- 윤범모(1995) 한국 근대미술의 한국성을 모색하며,가나아트(윤범모편 '한국근대미술의 한국성'). 서울: 가나아트. pp. 7-14
- 윤승중(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이강헌(1997) 토론,한국건축의 미적차원-현상과 관계. 플러스 9705
- 이강헌(1997) 한국건축의 미적차원-현상과 관계 토론회. 플러스 9705
- 이광로(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이규목(1987) 한국건축의 한국성에 대한 하나의 가정: 상보적 이원구조. 공간 8712
- 이규목(1992) 한국현대조경작품의 경향과 과제(한국조경학회 편, '현대한국조경작품집'). 서울: 도서출판 조경 pp. 8-9
- 이규목(1998) 해방후 한국의 도시경관 변천 및 그 요인 연구: 서울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6(2): 1-14
- 이규목(2002) 한국의 도시경관. 서울: 열화당
- 이기형(2005) 탈지역적으로 수용되는 대중문화의 부상과 '한류현상'을 둘러싼 문화정치. 언론과 사회 13(2): 189-213
- 이범재(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이상해(1988) 전통과 건축문화: 그와 상관되는 보편적인 문제점들. 건축과 환경 8806
- 이상헌(2001) 현대사회에서의 건축과 삶. 그리고 한국건축의 정체성. 계간 과학사상 여름호
- 이선희(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이용우(1999) 문화정체성 담론의 제 영역과 문제들. 현대미술학회 논문집 2: 133-158
- 이정근(1997) 우리 것을 찾는 이유. 플러스 9701
- 이정우(2004) 개념 뿌리들. 서울: 철학아카데미
- 이종상(1988) 좌담. 한국성의 개념과 방법론. 공간 8807
- 이종호(1997) 왜 이 시대 속에서 한국성인가? 플러스 9705
- 이종호(2005) 확실치 않은 언어들 IX_한국성. c3korea 0509
- 이준복(1993) 한국형 도시공원 조성에 따른 제도적 문제점(환경과 조경 편,'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 환경과조경 9304
- 이현재(2005) '정체성(Identity)' 개념 분석: 자율적 주체를 위한 시론. 철학연구 71집
- 임두빈(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임승빈(2002) 한국 현대 조경 30년의 반성과 미래의 전망. 환경과조경 0203. pp 160-162
- 임창복(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임창복(1997) 한국건축의 미적차원-현상과 관계 토론회. 플러스 9705
- 장석원(1990) 현대의 한국성과 예술혼에 관하여. 아트월드 70호
- 장순용(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전봉희(1998) 韓國性: 굴레인가, 축복인가? 아크포럼 9810
- 정기용(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정영훈(2001) 한민족공동체와 민족정체성 문제(한국정신문화연구원편,'새천년한국인의 정체성'). 서울:한국정신문화연구원
- 조경진(1999) 학문으로서의 조경: 변천과 전망. 환경과조경 9901. pp. 118-121
- 조광석(1999) 한국적 미니멀에서 나타난 한국성. 현대미술학회 논문집 2: 159-176
- 조광석,김영호,박일호,윤긱영,이용우 편(1999) 한국 현대미술과 정체성. 현대미술학회 논문집 제2호
- 조성룡(1987a)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조성룡(1987b) 한국성 표현의 실제3. 극립현대미술관.공간 8711
- 조세환(1993) 한국형 도시공원이 갖춰야 할 필요충분조건(환경과조경 편,'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 환경과조경 9306
- 조한혜정(1994)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 읽기와 삶 읽기 2. 서울:또 하나의 문화
- 진중권(2002) 폭력과 상스러움. 서울: 푸른숲
- 최관영(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최병식(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최봉영(1997) 한국문화의 이해,한국건축(플러스 편,'한국건축,재구성을 위한 서설(1)'). 플러스 9701
- 최상헌(2001) 전통성,한국성 그리고 한국 현대 실내디자인. 건축 0102: 19-22
- 최석태(1995) 토론,한국근대미술의 한국성(윤범모 편. '한국근대미술의 한국성'). 서울: 가나아트. pp. 89-165
- 최정민(1994) 옴스테드 양식이 한국현대조경 작품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정민(2006) 신자유주의 시대의 조경(조경비평 봄,'봄. 조경 사회 디자인'). 서울: 도서출판 조경 pp. 34-61
- 최창규(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탁석산(2000) 한국의 정체성. 서울: 책세상
- 탁석산(2001) 한국문화의 정체성(김민수,김성복 편,디자인문화비평 05). 서울: 안그라픽스. pp. 200-213
- 플러스(1997) 이 시대 왜 다시 한국성인가. 플러스 9705
- 한재수(1987) 건축의 한국적 원형과 본질을 생각하기 위한 몇가지 관점에 대한 소고. 공간 8706
- 홍가이(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환경과조경(1993) 특별기획 '한국형 도시공원의 개발 모색'. 환경과 조경 9303-9307
- 환경과조경(1997a) 특별기획 '전통조경의 계승과 현대화계획'. 환경과 조경 9706
- 환경과조경(1997b) 특별기획 '한국조경. 과연 철학이 깃들어 있는 가?'. 환경과조경 9707
- 황일인(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 Boulesteix, F.(2001) 이향,김정연(역). 착한미개인 동양의 현자. 서울: 청년사
- Copi, I., Cohen. C.(2000) Introduction to logic. 박만준,박준건,류시열(역), 논리학입문. 서울: 經文社. 2000. pp. 123-132
- Foucault, M.(1971) (L)Ordre du discours. 이정우(역) 담론의 질서.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8
- Hall, S.(1994) 'Cultural Identity and Diaspora', in Williams, P. & Chrisman, L. eds. Colonial Discourse & Postcolonial Theory: A Reader. N.Y: Columbia Univ Pr. pp. 392-403
- Hobsbawm. E.(1983) The Invention of Tradition. 박지향. 장문석(역) 만들어진 전통. 서울: 휴머니스트. 2004
- Kevin. R.(1997) Global Times: What in the World's going on?. ed: P. Gay, Production of culture/Culture of Production, London, Sage
-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 of Man. 김성기, 이한우(역),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서울: 민음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