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asic Study on the Koreanness of Contemporary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한국 현대 조경의 한국성 논의를 위한 기초 연구

  • Choi, Jung-M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The University of Seoul) ;
  • Choi, Key-S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University of Seoul)
  • 최정민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최기수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te a basic foundation for the discourse of Koreanness of contemporary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by way of searching the conceptual definitions of Koreanness through analysis of Koreanness discourses. The results are that discourses of Koreanness are to be classified in aesthetics type, spatial-temporal type, and cultural type. Aesthetics type is understood as style in terms of formal and design representation planning principles of spatial composition and immanence in terms of philosophy. Spatial-temporal type is understood as contemporaneity. This is classified as the concept of connoting of tradition, and separating and keeping a distance from tradition. Cultural type is prescribed as cultural identity. This is classified as unity, generality and individuality. The intension of Koreanness of these types is represented as an aspect changing and shifting from one regulation to another regulation. First, in the concerns of substantial archetypes like Korean original form, decorative element, spatial composition aesthetic perception and philosophy, Koreanness shifts to the point of view of contemporaniety which is created and defined in history. Second, Koreanness as contemporaniety shows a trend of shifting the point of view which is to be found through the reconsideration on modem history and modernism. Third, Koreanness defined as cultural identity shows a trend to emphasize the differences in other cultures and includes all the modem cultural agents. The number of views understood as individuality and denial are small but provide important points. Programmatic definition of Koreanness is not suitable. This basic study uses a stipulative or operational definition of Koreanness in many ways such as spatial and regional identity. Koreanness study for Korea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requires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modernity and colonization relating to identity. Also, it is needed to elaborate on the discourse to divide the meaning of a concept of identity.

Keywords

References

  1. 강혁(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2. 장혁(1997) 토론, 한국건축의 미적차원-현상과 관계. 플러스 9705
  3. 강학(1999)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한국성담론의 비판적 분석. 플러스 9907
  4. 건축과 환경(1988) 특집: 한국성의 재규명. 건축과 환경 8806
  5. 고주석(1998) 작정기: 21C 한국적 도시공원의 추구. 환경과조경 9804 pp. 30-39
  6. 공간(1987a) 한국성의 재발견. 공간 8706
  7. 공간(1987b)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8. 공간(1988) 좌담, 한국성 개념과 방법론. 공간 8807
  9. 공일곤(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10. 구성회(1988)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11. 구영일(2004) 한국현대조경작품에 나타난 한국성에 관한 연구. 상명대 박사학위논문
  12. 국무조정실 주한미군대책기획단(2005) 용산기지 공원화 구상 연구
  13. 권영걸(2001) 공간디자인 16강. 서울: 국제출판사
  14. 권태문(1987) 현대건축과 한국 건축성. 꾸밈 8706
  15. 김경수(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16. 김경재(1999) 한국현대건축에 표현된 한국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21: 3-9
  17. 김광억(1997) 한국문화는 있는 것인가?(플러스 편, '한국건축,재구성을 위한 서설(1)') . 플러스 9701
  18. 김광현(1988) 한국현대건축의 전통적 표현과 그 파생개념 비판. 건축과 환경 8806
  19. 김기석(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20. 김동찬(1993) 도시공원의 새로운 시도(환경과조경 편, '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 ) 환경과조경 9304
  21. 김동현(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22. 김문환(1997) 한국적인 것의 모색방안(플러스 편, '한국건축,재구성을 위한 서설(1)'). 플러스 9701
  23. 김민수(2001) 한.일 그래픽 디자이너 게놈 분석(김민수,김성복 편. 디자인문화비평 05),서울. 안그라픽스. pp. 20-63
  24. 김병종(1988) 좌담,한국성의 개념과 방법론,공간 8807
  25. 김복영(1988) 좌담. 한국성의 개념과 방법론,공간 8807
  26. 김봉렬(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27. 김봉렬(1993) 한국성을 다시 생각한다. 건축가 9312
  28. 김봉렬(1997) 실천적 이론창출을 위한 전제조건. 플러스 9705
  29. 김봉렬(1998) 韓國性: 굴레인가,축복인가? 아크포럼 9810
  30. 김성복(2001) 오리엔탈리즘의 족쇄: 한국 패션 정체성의 딜레마(김민수,김성복 편,디자인문화비평 05) 서울: 안그라픽스. pp. 64-90
  31. 김성완(2001) 한국적 게임을 찾아서(김민수,김성복 편. 디자인문화비평 05). 서울: 안그라픽스.pp. 156-171
  32. 김성우(1987) 동양건축에서의 집과 사람-하나의 동양적 관정으로서의 한국성. 공간 8706
  33. 김성우(1989) 90년대의 전통논의를 생각하며. 공간 8912
  34. 김영준(1998) 韓國性: 굴레인가, 축복인가? 아크포럼 1988
  35. 김영호(1999) 서구미술에 나타난 모방과 차용의 역사 논리. 현대미술학회 논문집 2: 47-78
  36. 김우옥(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37. 김원룡(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38. 김인철(1998) 韓國性: 굴레인가 축복인가? 아크포럼 9810
  39. 김정신(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40. 김정철(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41. 김정희(1999) 토속성을 통해서 표현된 '한국성'. 현대미술학회 논문집 제 2호 : 177-212
  42. 김종균(2007) 독재정권기의 민족주의와 디자인에서의 '한국성'. 한국 디자인학회 디자인 연구 11월호
  43. 김준성(1998) 韓國性: 굴레인가. 축복인가? 아크포럼 9810
  44. 김진애(1998) 韓國生: 굴레인가,축복인가? 아크포럼 9810
  45. 김철순(1997) 무엇이 한국적인가? 조형예술에 있어서 한국적인 것. 공간 9710
  46. 김태원(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47. 김한배(1993) 공원인가, 제3의 공간유형인가?(환경과조경 편,'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 환경과조경 9305
  48. 김한배(1997) 한국조경의 전통과 설계적 상상력. 환경과조경 9706. pp 98-103
  49. 김한배(1999) 한국,오늘의 조경정신. 환경과조경 9901. pp. 114-117
  50. 김홍식(1987) 민족건축론. 서울: 한길사
  51. 김희대(1995) 토론. 한국근대미술의 한국성(윤범모 편. '한국근대미술의 한국성') 서울: 가나아트 pp. 89-165
  52. 김희춘(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공간 8709
  53. 동정근(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54. 류춘수(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55. 리즈스코프(2001) 패션-국가: 일본의 세계화 경험과 홍콩의 딜레마 (김민수,김성복 편. 디자인문화비평 05) 서울: 안그라픽스 pp. 310-338
  56. 문석기(1993) 자연성이 내재된 '公苑' 으로 명명하는 것은 어떨지? 환경과조경 9306
  57. 민현식(1987a)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58. 민현식(1987b) 한국성표현의 실제2. 공간사옥. 공간 8711
  59. 박길룡(1997) 한국건축의 미적차원-현상과 관계. 플러스 9705
  60. 박신의(2001) 한국 비엔날레에 떠도는 아시아 정체성의 유령(김민수,김성복 편. 디자인문화비평 05). 서울: 안그라픽스. pp. 92-107
  61. 박인배(1997) 가장한국적인 것은 무엇인가? 플러스 9701
  62. 박재철(1993) 한국적인 분위기가 있는 공원의 사례. 환경과조경 9305. pp 84-87
  63. 배정한(2007) 조경의 시대,조경을 넘어. 서울: 도서출판 조경
  64. 소흥렬(1987) 한국성 모색을 위한 철학적 고려. 공간 8706
  65. 송민구(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66. 신상섭(1997) 문화인식으로 본 현대 한국조경 경향에 대한 비평. 환경과조경 9707
  67. 심광현(1988) 좌담. 한국성의 개념과 방법론. 공간 8807
  68. 아크포럼(1998) 韓國性: 굴레인가, 축복인가?.(http://www.archforurn.com/main/korea/cyber/Professional/proforurn -9810)
  69. 안영배(1988) 한국전통건축의 공간특성과 구성수법. 건축과 환경 8806
  70. 오광수(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71. 오기수(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72. 우경국(1997) 토론,한국건축의 미적차원-현상과 관계. 플러스. 9705
  73. 유지나(2001) 쿼바디스 한국영화의 정체성(김민수,김성복 편,디자인 문화비평 05). 서울: 안그라픽스. pp. 144-154
  74. 윤범모 연(1995) 토론,한국근대미술의 한국성. 서울. 가나아트
  75. 윤범모(1995) 한국 근대미술의 한국성을 모색하며,가나아트(윤범모편 '한국근대미술의 한국성'). 서울: 가나아트. pp. 7-14
  76. 윤승중(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77. 이강헌(1997) 토론,한국건축의 미적차원-현상과 관계. 플러스 9705
  78. 이강헌(1997) 한국건축의 미적차원-현상과 관계 토론회. 플러스 9705
  79. 이광로(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80. 이규목(1987) 한국건축의 한국성에 대한 하나의 가정: 상보적 이원구조. 공간 8712
  81. 이규목(1992) 한국현대조경작품의 경향과 과제(한국조경학회 편, '현대한국조경작품집'). 서울: 도서출판 조경 pp. 8-9
  82. 이규목(1998) 해방후 한국의 도시경관 변천 및 그 요인 연구: 서울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6(2): 1-14
  83. 이규목(2002) 한국의 도시경관. 서울: 열화당
  84. 이기형(2005) 탈지역적으로 수용되는 대중문화의 부상과 '한류현상'을 둘러싼 문화정치. 언론과 사회 13(2): 189-213
  85. 이범재(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86. 이상해(1988) 전통과 건축문화: 그와 상관되는 보편적인 문제점들. 건축과 환경 8806
  87. 이상헌(2001) 현대사회에서의 건축과 삶. 그리고 한국건축의 정체성. 계간 과학사상 여름호
  88. 이선희(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89. 이용우(1999) 문화정체성 담론의 제 영역과 문제들. 현대미술학회 논문집 2: 133-158
  90. 이정근(1997) 우리 것을 찾는 이유. 플러스 9701
  91. 이정우(2004) 개념 뿌리들. 서울: 철학아카데미
  92. 이종상(1988) 좌담. 한국성의 개념과 방법론. 공간 8807
  93. 이종호(1997) 왜 이 시대 속에서 한국성인가? 플러스 9705
  94. 이종호(2005) 확실치 않은 언어들 IX_한국성. c3korea 0509
  95. 이준복(1993) 한국형 도시공원 조성에 따른 제도적 문제점(환경과 조경 편,'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 환경과조경 9304
  96. 이현재(2005) '정체성(Identity)' 개념 분석: 자율적 주체를 위한 시론. 철학연구 71집
  97. 임두빈(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98. 임승빈(2002) 한국 현대 조경 30년의 반성과 미래의 전망. 환경과조경 0203. pp 160-162
  99. 임창복(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100. 임창복(1997) 한국건축의 미적차원-현상과 관계 토론회. 플러스 9705
  101. 장석원(1990) 현대의 한국성과 예술혼에 관하여. 아트월드 70호
  102. 장순용(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103. 전봉희(1998) 韓國性: 굴레인가, 축복인가? 아크포럼 9810
  104. 정기용(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105. 정영훈(2001) 한민족공동체와 민족정체성 문제(한국정신문화연구원편,'새천년한국인의 정체성'). 서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06. 조경진(1999) 학문으로서의 조경: 변천과 전망. 환경과조경 9901. pp. 118-121
  107. 조광석(1999) 한국적 미니멀에서 나타난 한국성. 현대미술학회 논문집 2: 159-176
  108. 조광석,김영호,박일호,윤긱영,이용우 편(1999) 한국 현대미술과 정체성. 현대미술학회 논문집 제2호
  109. 조성룡(1987a)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110. 조성룡(1987b) 한국성 표현의 실제3. 극립현대미술관.공간 8711
  111. 조세환(1993) 한국형 도시공원이 갖춰야 할 필요충분조건(환경과조경 편,'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 환경과조경 9306
  112. 조한혜정(1994)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 읽기와 삶 읽기 2. 서울:또 하나의 문화
  113. 진중권(2002) 폭력과 상스러움. 서울: 푸른숲
  114. 최관영(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115. 최병식(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116. 최봉영(1997) 한국문화의 이해,한국건축(플러스 편,'한국건축,재구성을 위한 서설(1)'). 플러스 9701
  117. 최상헌(2001) 전통성,한국성 그리고 한국 현대 실내디자인. 건축 0102: 19-22
  118. 최석태(1995) 토론,한국근대미술의 한국성(윤범모 편. '한국근대미술의 한국성'). 서울: 가나아트. pp. 89-165
  119. 최정민(1994) 옴스테드 양식이 한국현대조경 작품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0. 최정민(2006) 신자유주의 시대의 조경(조경비평 봄,'봄. 조경 사회 디자인'). 서울: 도서출판 조경 pp. 34-61
  121. 최창규(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122. 탁석산(2000) 한국의 정체성. 서울: 책세상
  123. 탁석산(2001) 한국문화의 정체성(김민수,김성복 편,디자인문화비평 05). 서울: 안그라픽스. pp. 200-213
  124. 플러스(1997) 이 시대 왜 다시 한국성인가. 플러스 9705
  125. 한재수(1987) 건축의 한국적 원형과 본질을 생각하기 위한 몇가지 관점에 대한 소고. 공간 8706
  126. 홍가이(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127. 환경과조경(1993) 특별기획 '한국형 도시공원의 개발 모색'. 환경과 조경 9303-9307
  128. 환경과조경(1997a) 특별기획 '전통조경의 계승과 현대화계획'. 환경과 조경 9706
  129. 환경과조경(1997b) 특별기획 '한국조경. 과연 철학이 깃들어 있는 가?'. 환경과조경 9707
  130. 황일인(198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공간 8709
  131. Boulesteix, F.(2001) 이향,김정연(역). 착한미개인 동양의 현자. 서울: 청년사
  132. Copi, I., Cohen. C.(2000) Introduction to logic. 박만준,박준건,류시열(역), 논리학입문. 서울: 經文社. 2000. pp. 123-132
  133. Foucault, M.(1971) (L)Ordre du discours. 이정우(역) 담론의 질서.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8
  134. Hall, S.(1994) 'Cultural Identity and Diaspora', in Williams, P. & Chrisman, L. eds. Colonial Discourse & Postcolonial Theory: A Reader. N.Y: Columbia Univ Pr. pp. 392-403
  135. Hobsbawm. E.(1983) The Invention of Tradition. 박지향. 장문석(역) 만들어진 전통. 서울: 휴머니스트. 2004
  136. Kevin. R.(1997) Global Times: What in the World's going on?. ed: P. Gay, Production of culture/Culture of Production, London, Sage
  137.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 of Man. 김성기, 이한우(역),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서울: 민음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