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요로 결석 : 단일 기관 연구

Urinary Lithiasis in Children : A Single Center Study

  • 이현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성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한경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범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최현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하일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최용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정해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Lee, Hyun-Kyung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 Lee, Sung-Ha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 Han, Kyoung-Hee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 Lee, Beom-Hee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 Choi, Hyun-Jin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 Ha, Il-Soo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 Choi, Yong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 Cheong, Hae-Il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발행 : 2007.10.31

초록

목 적 : 요로 결석은 소아에서 흔하지 않은 질환이나 요로 결석의 반복과 진행은 신 기능 저하를 초래하여 결국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 될 수 있는 질환이다. 또한 성인과 달리 대부분 정확한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으나 요로 감염, 비뇨 생식기계의 해부학적 이상, 대사성 장애 등이 요로 결석 형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방 법 : 1998년 9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에서 요로결석으로 진단받은 73명(남:여=42:31, 평균 연령 $6.6{\pm}5.3$세)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소아 요로 결석의 주 증상은 육안적 혈뇨가 18명(25%)으로 가장 많았으며, 측복부 동통 또는 복통이 13명(18%), 두 증상이 동반된 환자 10명(14%) 순이었다. 결석의 위치는 상부 요로(신 및 요관) 결석이 48명(66%), 하부 요로(방광 및 요도) 결석의 경우는 18명 (24%)이었고, 상부 및 하부 요로 모두에 결석이 있는 경우는 2명(3%)이었다. 요 정체로 요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구조적인 요인이 동반된 경우는 모두 30명(41%)이었으며, 요로 결석 형성과 관련된 대사 이상은 23명(32%)에서 발견되었다. 특별한 유발 인자가 없는 경우는 17명(23%)이었다. 결석 성분 분석상 감염석이 24명(67%)으로 가정 많았으며, 칼슘석 8명(22%), 요석 3명(8%), 시스틴석 1명(3%) 순이었다. 수술적 요로 결석 제거술은 34명(46%)에서 시행되었으며 자연 배출된 환자는 13명(18%)이었다. 총 6명(8%)에서 요로 결석이 재발하였는데, 척수 수막류로 방광 확장 성형술을 시행 받은 후 신경성 방광을 보이는 환자 4명, 시스틴뇨증 환자 1명, 특별한 유발 인자가 없는 환자 1명으로 구성되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소아 요로 결석은 요 정체로 요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구조적인 요인이 동반된 경우와 과칼슘뇨증을 포함하는 대사 이상을 보이는 경우가 주된 원인이었다. 따라서 소아 요로 결석 환자에서는 구조적 이상 및 대사 이상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요로 결석의 치료에서는 증상, 결석의 위치, 성분 및 원인을 고려하여 최소한의 침습적인 치료 방법을 선택하여야겠다.

Purpose : Urinary lithiasis is uncommon in children, however, it may lead to chronic renal insufficiency and even end stage renal disease. The etiology of stone formation in children is largely unknown; although the most common causes are known to be associated with congenital anomalies of the genito-urinary(G-U) tract, urinary tract infections(UTI), and metabolic diseases. Methods : A total of 73 children(male:female=42:31, mean age $6.6{\pm}5.3$ years) presented with urinary lithiasis between Sep. 1998 and Jul. 2007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The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s were gross hematuria(28/73, 38%) and flank or abdominal pain(23/73, 32%). The stones were located in the upper urinary tract in 48 patients(66%), in the bladder in 18(24%), and in both the bladder and upper urinary tract in 2 (3%). Congenital anomalies of the G-U tract with/without UTI were detected in 30 children (41%), hypercalciuria with/without hypercalcemia in 15(20%), and other metabolic diseases in 8(11%). In 17 patients(23%), no underlying cause of stone formation was detected. The majority of stones were infected stones(24/36, 67%), which were followed by calcium stones(8/36, 22%), uric acid stones(3/36, 8%). and cystine stones(1/36, 3%). Thirty-four patients(46%) underwent surgical procedures and/or extracorporeal shockwave lithotripsy for stone removal, and 13(18%) passed stones spontaneously with/without medical management. Stones recurred in 6 patients(8%): 4 with neurogenic bladder augmented by ileocystoplasty, 1 with cystinuria, and 1 with unknown etiology. Conclusion : The common causes of urinary lithiasis in children were congenital anomalies of the G-U tract with/without UTI and metabolic disorders including hypercalciuria/hypercalcemia. For the management of stones, minimally invasive procedures should be chosen on the basis of accompanying symptoms and the composition, locations and etiology of ston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