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ication of Prediction Rate Curves to Estimation of Prediction Probability in GIS-based Mineral Potential Mapping

GIS 기반 광물자원 분포도 작성에서 예측 확률 추정을 위한 예측비율곡선의 응용

  • Park, No-Wook (Geoscience Information Center,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Chi, Kwang-Hoon (Geoscience Information Center,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박노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자원정보센터) ;
  • 지광훈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자원정보센터)
  • Published : 2007.08.30

Abstract

A mineral potential map showing the distributions of potential areas for exploration of undiscovered mineral deposits is a kind of predictive thematic maps. For any predictive thematic maps to show reasonably significant prediction results, validation information on prediction capability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to spatial locations of high potential area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pply prediction rate curves to the estimation of prediction probability of future discovery. A case study for Au-Ag mineral potential mapping using geochemical data sets is carried out to illustrate procedures for estimating prediction probability and for an interpretation. Through the case study, quantitative information including prediction rates and probability obtained by prediction rate curves was found to be very important for the interpretation of prediction results. It is expected that such quantitative validation information would be effectively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cost analysis of exploration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광물자원 분포도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광상의 부존 가능성을 공간적 분포로 나타내는 일종의 예측 주제도에 해당된다. 이러한 예측 주제도는 예측 가능성이 높은 지역의 공간적 위치뿐만 아니라 예측 능력에 대한 검증 정보가 함께 제시되어야 주제도의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의 광상 발견과 관련된 예측 확률을 추정하기 위해 교차 검증을 통해 얻어지는 예측비율곡선을 응용하는데 있다. 지화학 자료를 이용한 열수 맥상 형태의 Au-Ag 광상을 예측도 작성 사례 연구를 통해, 예측 확률 추정 과정과 결과의 해석을 예시하였다. 사례연구 수행 결과, 예측 주제도의 해석을 위해서는 검증을 통한 정량적 근거가 함께 제시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지는 정량적 검증 자료는 추후 광상 개발 관련비용 분석과 환경 영향 추정에도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복철 외, 2006. 해외 광물자원 협력 및 기술정보 구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NP2006-001-2006(1)
  2. 박노욱, 오석훈, 2006. 광상부존가능성 예측에 대한 공간자료의 불확실성의 영향 추정을 위한 지구통계학적 시뮬레이션의 적용,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43(3): 213-223
  3. 오현주, 이사로, 민경덕, 2006. 지리정보시스템(GIS) 및 인공신경망 기법을 이용한 강릉지역의 열수 기원의 금-은 광상 부존 가능도 작성 및 검증,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4. 이사로, 오현주, 민경덕, 2005. 확률 및 통계 기법을 이용한 퇴적 광상 부존지 예측 도면 작성, 대한지질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5. 이진수, 서효준, 황인호, 1998. 지화학조사연구 (1:250,000 강릉도폭 광역 지화학도), 한국자원연구소
  6. An, P., W. M. Moon, and A. Rencz, 1991. Application of fuzzy set theory to integrated mineral exploration, Canadian Journal of Exploration Geophysics, 27(1): 1-11
  7. Bonham-Carter, G. F., F. P. Agterberg, and D. F. Wright, 1988. Integration of geological datasets for gold exploration in Nova Scotia,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54(11): 1585-1592
  8. Choi, S., W. M. Moon, and S. G. Choi, 2000. Fuzzy logic fusion of W-Mo exploration data from Seobyeog-ri, Korea, Geosciences Journal, 4(2): 43-52 https://doi.org/10.1007/BF02910126
  9. Chung, C. F., 2006. Using likelihood ratio functions for modeling the conditional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future landslides for risk assessment, Computers & Geosciences, 32: 1052-1068 https://doi.org/10.1016/j.cageo.2006.02.003
  10. Chung, C. F. and A. G. Fabbri, 2003. Validation of spatial prediction models for landslide hazard mapping, Natural Hazards, 30(3): 451-472 https://doi.org/10.1023/B:NHAZ.0000007172.62651.2b
  11. Chung, C. F., A.G. Fabbri, and K.H. Chi, 2002. A strateg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nonrenewable resources using spatial prediction models, In: Fabbri, A. G., G. Gall, and R. B. McCammon (Eds.), Geoenvironmental Deposit Models for Resource Exploitation and Environmental Security, Kluwer, Dordrecht, pp. 101-118
  12. Glade, T., 2006. Quantitative landslide risk analysis: between local field monitoring and spatial modeling, Proc. of IAMG 2006, Liege, Belgium, DVD publication
  13. Lee, K., 1995. Spatial integration of geoscience data and thematic mapping using Landsat TM data for mineral exploration,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4. SpatialModels, 2004. User's guide of spatial prediction modeling system, SpatialModel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