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of the Moisture Maximizing Rate based on the Moisture Inflow Direction : A Case Study of Typhoon Rusa in Gangneung Region

수분유입방향을 고려한 강릉지역 태풍 루사의 수분최대화비 산정

  • Kim, Moon-Hyun (Climate Research Lab.,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
  • Jung, Il-Won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rg., Sejong Univ.) ;
  • Im, Eun-Soon (Climate Research Lab.,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
  • Kwon, Won-Tae (Climate Research Lab.,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PMP(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and its transition in case of the typhoon Rusa which happened the biggest damage of all typhoons in the Korea. Specially, we analysed the moisture maximizing rate under the consideration of meteorological condition based on the orographic property when it hits in Gangneung region. The PMP is calculated by the rate of the maximum persisting 12 hours 1000 hPa dew points and representative persisting 12 hours 1000 hPa dew point. The former is influenced by the moisture inflow regions. These regions are determined by the surface wind direction, 850 hPa moisture flux and streamline, which are the critically different aspects compared to that of previous study. The latter is calculated using statistics program (FARD2002) provided by NIDP(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In this program, the dew point is calculated by reappearance period 50-year frequency analysis from 5% of the level of significant when probability distribution type is applied extreme type I (Gumbel distribution) and parameter estimation method is used the Moment method. So this study indicated for small basin$(3.76km^2)$ the difference the PMP through new method and through existing result of established storm transposition and DAD(Depth-Area-Duration). Consequently, the moisture maximizing rate is calculated in the moisture inflow regions determined by meteorological fields is higher $0.20{\sim}0.40$ range than that of previous study. And the precipitation is increased $16{\sim}31%$ when this rate is applied for calculation.

본 연구에서는 2002년 강릉지역에 큰 피해를 일으킨 태풍 루사(Rusa) 호우 사례에 대하여 PMP(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의 산정 및 전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PMP산정을 위해서는 2가지 이슬점온도 산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 대표 12시간 지속 이슬점온도를 지상일기도, 지표 풍향, 850 hPa 수분속, 유선장 뿐만 아니라 강릉 지역의 지형적 특성까지 고려하여 수분 유입 지역을 결정한 후 계산하였다. 또한 최대 12시간 지속 이슬점은 과거 42년간(1961년${\sim}$2002년)의 강릉지역 이슬점 온도 자료를 통해 방재연구소에서 제공하는 FARD2002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이 프로그램에서 확률분포형으로는 Extreme Type I (Gumbel distribution)을 선정하였고 매개변수 추정방법으로 모멘트법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5%에서 재현기간 50년 빈도 분석을 통해 이슬점 온도를 계산하였으며, 계산 방법을 3가지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 결과 기존의 연구에서는 대표 및 최대 12시간 지속 이슬점의 차가 $2.98^{\circ}C$였으나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4.55^{\circ}C$(I방법) ${\sim}6.05^{\circ}C$(III방법)로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정들을 통해 수분최대화비를 산정한 결과 기존에 비해 $0.20{\sim}0.40$ 정도 크게 산정되었으며, 이 수분최대화비를 기존 무명천 유역(면적 $3.76km^2$)의 호우전이비 및 DAD(Depth-Area-Duration)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전이한 결과에서도 $16{\sim}31%$ 정도 강수량이 크게 계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전류 변동 제어에서 노이즈 지수가 증가하면 CTDIvol과 DLP가 감소하였으나 노이즈는 증가하였다. 생식부위를 포함하는 하지 정맥조영술에서 Z-축 자동 관전류 변동 제어 방법이 고정 관전류 기법에 비해 선량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되었다. ICRU 38의 권고에 따른 방광선량은 ICRU 치료계획 및 CTV 치료계획에서 각각 $90.1{\pm}21.3%,\;68.7{\pm}26.6%$이었고(p=0.001), 직장선량은 $86.4{\pm}18.3%,\;76.9{\pm}15.6%$이었다(p=0.08). 방광 및 직장선량의 최대 점선량 또한 ICRU 치료계획과 CTV계획에서 각각 $137.2{\pm}50.1%$ vs $107.6{\pm}47.9%$, (p=0.008), $101.1{\pm}41.8%$ vs $86.9{\pm}30.8%$ (p=0.045) 로서 CTV 치료계획에서 정상조직에 조사되는 선량이 더 적게 나타났다. 그러나 잔류종양이 4cm 이상인 환자에서는 CTV 치료계획에서 정상조직 선량이 권고 선량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방광 및 직장의 용적선량에서는 투여선량의 80% 이상을 받는 직장용적선량(V80rec)은 ICRU 치료계획 및 CTV 치료계획에서 각각 $1.8{\pm}2.4cm^3,\;0.7{\pm}1.0cm^3$(p=0.02), 방광용적선량(V80bla)은 $12.2{\pm}8.9cm^3,\;3.5{\pm}4.1cm^3$로서 역시 CTV 치료계획에서 적게 조사되었다(p=0.005). 기존의 ICRU 치료계획은 잔류종양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불필요하게 정상조직에 많은 선량이 투여되기 때문에 CT를 이용한 CTV 치료계획을 적용하여 정상조직에 대한 피폭을 현저히 낮추고 잔류종양에 목표한 선량을 조사할 수

Keywords

References

  1. 강원지방기상청 (2002). 제 15호 태풍 루사(Rusa) 종합분석, 119 pp
  2. 강원도 (2003). 2002 강원 수해백서. pp. 3.1-3.67
  3. 건설교통부 (2000). 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 보고서 제2권 한국 가능최대강수량 추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 김남원, 원유승 (2004). '최근의 기상변동과 PMP의 변화.' 2004년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203-1207
  5. 노재식, 이원환, 이길춘 (1986). '우리나라의 최대가강수량 빈도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19권, 제3호, pp. 249-257
  6. 이상진, 최현, 신희범, 방상길 (2004). '수공구조물 설계를 위한 PMF 및 임계지속시간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9호, pp. 707-718
  7. 이순탁, 박정규 (1986). '하천유역의 설계 홍수량 결정을 위한 P.M.P의 산정 및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19권, 제1호, pp. 75-86
  8. 한국수자원학회 (2002). 2002년 홍수피해 종합조사 보고서
  9. Miller, J.F. (1963).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and Rairifall- Frequency Data for Alaska Technical Paper No. 47, Weather Bureau, US Department of Commerce, Washington, DC, 66 pp
  10. Miller, J.F., Hansen, E.M, Fenn, D.D., Schreiner, L.C., and Jensen, D.T. (1988)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estimates- United States between the continental divide and the 103rd meridian, Hydrorneteorological Rep., 55A, Silver Spring, MD., 259 pp
  11. Rezacova, D., Sokol, Z., and Pesice, P. (2002) 'Improvement of quantitative PMP estimation by including radar precipitation and NWP model outputs', QPF Conference 2002 Proceedings, pp. 23
  12. Smith, D.I. (1989). 'A dam disaster waiting to break', New Scientist, 11, November, pp. 42-46
  13. US Weather Bureau (1960). Generalized Estimates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West of the 105th Meridian. Technical Paper No. 38, US Department of Commerce, Washington, DC, pp. 22-25
  14. WMO(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1973). Manual for estimu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Operational Hydrology Rep. No.1, WMO-No. 332, Geneva, Switzerland, 190 pp
  15. WMO(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1986). Manual for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Second Edition, Operational Hydrology Rep. No.1, WMO-No. 332, Geneva, Switzerland, 269 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