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eriment on Transform of Cadastral Control Points to the New Korea Geodetic Datum for Connecting with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국가 GIS와 연계를 위한 지적기준점의 세계측지계 변환 실험

  • 송동섭 (성균관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
  • 홍진상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 윤홍식 (성균관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Cadastral control points in Korea are refered to various origins, for example an early separated small triangulation, a separated small triangulation, a separated control surveying origin and an unified origin. Cadastral map with early separated small triangulation origin have difficulties to connect with national GIS data by refered an unified origin. We determined transformation parameters from old origin to unified origin using 2D conformal transformation method. To evaluate of transformation accuracy, we compared with GPS field surveying results. And we experiment on coordinate transformations with unified results between the local geodetic datum and the new Korea geodetic datum.

우리나라의 지적기준점은 구소삼각원점, 특별소삼각원점, 특별도근측량원점 및 통일원점 등 다양한 원점체계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원점체계를 가진 수치지적도는 통일원점을 기준으로 하는 국가 GIS 데이터와의 연계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소삼각원점에 기준한 지적기준점 성과를 통일원점을 기준한 성과로 변환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변환 방법은 2차원 등각변환에 의한 변환 매개변수를 산출하고 이를 적용하여 간접변환한 성과를 GPS로 측량한 성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통일원점 기준의 지적기준점 성과를 세계측지계 기준의 성과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합 실험을 실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준, 최종봉, 곽재학 최현 (2002), 위성측량을 이용한 지적기준점의 정확도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제20권 제1호, pp. 39-46
  2. 강준묵, 김홍진 (1996), GPS에 의한 지적측량기준점의 위치해석, 한국측량학회지, 제14권, 제2호, pp. 209-218
  3. 국토연구원 (2003), 최적화 설계 기법에 의한 차세대 국가측지 기준점 체계 구축방안 연구
  4. 국토지리정보원 (1998), 지형.지적정보의 연계활용 연구
  5. 국토지리정보원 (2003), 측랑 및 지형공간 정보 백서
  6. 국토지리정보원 (2005), 1/1,000 수치지형도 좌표변환에 관한 연구
  7. 대한지적공사 (1998), 구소삼각 및 특별소삼각지역의 성과 점검 및 통일원점좌표산출을 위한 연구
  8. 유복모 김갑진 (2000), 지형 및 지적자료의 통합체계 구축, 한국 측량학회지, 제18권, 제2호, pp. 143-155
  9. 임일식, 이민석, 이석배, 김병국 (2003), 세계측지계 도입에 따른 지적측량 기준점의 지역좌표 변환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제19권, 제2호 pp. 159-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