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Buying Experiences of the Fashion Brands on the PPL(Product Placement) Communication Effect

패션 브랜드 구매경험이 PPL(Product Placement)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

  • Shin, Su-Yun (Dept. of Clothing Science, Seoul Women's University) ;
  • Hong, Jung-Min (Dept. of Clothing Science, Seoul Women's University)
  • 신수연 (서울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홍정민 (서울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This study measured the PPL communication effect whether the respondents had purchased the PPL products in the movie or not. The experiment of this study was held to females in their twenties(mostly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students), and they answered the questionaries after being exposed to the 15-minute-edited movi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cognitive dimens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the recognition and the recall between two groups. In emotional and behavioral dimensions, the group with the purchase experiences of the PPL brands in the movie showed the more positive brand attitude and the higher purchase intention. The implications based on th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o strengthen the brand image, the brand identity has to be established systematically. Second, the fashion marketers should constantly implement CRM(Customers Relationship Management) to the customers who purchased the brand products to make them loyal customers.

Keywords

References

  1. 강석보. (1998). 영화 속 제품배치의 광고 효과 연구. 중앙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권미경.(2003). PPL 광고 모델이 의류 브랜드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권숙희. (2005). 안터넷 쇼핑몰의 추정 요인이 e-loyalty 에 미치는 영향. 대구카톨릭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기령 (2003). 패션 상품의 제품배치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기현. (2002). 노출회수와 배치 형태에 따른 제품배치 효과 연구. 한양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도균. (1999). 영화 속 제품배치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양 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태우. (2006). 기업 광고가 이미지와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태현. (1995). 수입 브랜드 정장의류 구매경험 유무에 따른 여성 소비자의 구매행동 비교.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9. 문영미. (1995). 마케팅 PR 효과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문인정. (2004). 영화 속 제품배치 및 브랜드배치 효과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성충모. (2000). 간접광고 효과의 측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손진기. (2002). PPL의 사용 형태와 광고 형태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의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 원석사학위논문
  13. 송민영. (2002). 마케팅 PR 전략인 제품배치의 효과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신의철. (1999). 영화 속 제품배치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5. 양윤,성충모. (2001). 영화에서의 PPL 광고 효과 측정. 광고연구, 53,135-154
  16. 영화 말아톤 협찬신발 불티. (2005,3. 4). 매일경제신문, p.18
  17. 오인환. (2002) 현대광고론. 경기도: 나남출판사
  18. 이강희. (2001). 영화속 PPL의 연구.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이경아. (1999). 고등학생의 수입캐쥬얼의류 태도에 따른 상표 분별 능력과 구매행동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미현. (2001). 의류 제품의 가격,상표명,취급상점이 품질 지각,가치지각,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배화논총,20,235-251
  21. 이성수. (2001). 영화 속 PPL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이승미. (2004). 대학생 소비자의 명풍 브랜드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이지선. (2003). PPL의 배치 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이혜원. (2003). 국내 영화 속 제품 배치 실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임성준,이혜원. (2003). 영화 속 제품 배치에 관한 연구. 경영학론집, 30(1),67-105
  26. 정민정. (2003). 영화 속에 삽입된 PPL 효과에 관한 질증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차동필. (2001). 제품 배치가 상표 회상과 상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연구, 16(1), 45-68
  28. 채경아. (1998). 기업 이미지 구성요소와 구매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최우진. (2004). 제품 배치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와 태도 변화에 소비자 특성이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크리스찬라끄르와옴므. (2005,3. 7). 어패럴뉴스,p.6
  31. 하오선. (2004). 의류 브랜드 자산평가.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해이엔코 피기 파자마 히트. (2004, 7. 5). 어패럴뉴스,p.6
  33. 홍정민.(2006). 국내 영화에 냐타난 패션제품의 PPL 커뮤티 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34. Babin, L. A. & Carder, S. T. (1996). Viewers' recognition of brands placed within a film. International of Marketing, 15, 140-151
  35. Balasubramanian, S. K. (1994). Beyoud advertising and publicity: Hybird message and public policy issues. Journal of Advertising, 23(4), 29-46 https://doi.org/10.1080/00913367.1943.10673457
  36. Clark, K. R. (1991, 7. 10). Group goes after brand-name film props. Chicago Tribune, p. B3
  37. Gupta, P. B. & Gould, S. J. (1997). Consumers' perceptions of the ethics and acceptability of product placements in movies: Product category and individual differences. Journal of Current Issues and Research in Advertising, 19(1), 37-50 https://doi.org/10.1080/10641734.1997.10505056
  38. Gupta, P. B. & Kennth, R. L. (1998), Poduct placement in movies: The effect of prominence and mode audience recall. Journal of Current Issues Research Advertising, 20(1), 47-59 https://doi.org/10.1080/10641734.1998.10505076
  39. Steortz, E. (1987). The cost efficiency and communication effects associated with brand name exposure within motion picture. Master's thesis, West Virginia University, Morgantown
  40. Karrh, J. A. (1994). Effect of brand placements in motion pictures. In C. S. Madden (Ed.), Proceedings of the 1994 conference of American Academy of Advertising, 182-188
  41. Vollmer, S. & Mizerski, R. (1994). A review and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iveness of product placement in film. In K. W. King (Ed.), Proceedings of the 1994 conference of American Academy of Advertising, 97-102

Cited by

  1. The Study on Cultural Communication and Shopping Benefit in Fashion Cultural Complex Space vol.23, pp.2, 2014, https://doi.org/10.5934/kjhe.2014.23.2.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