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presentation of Time within Film Narrative -Focusing on -

영화 내러티브에서의 시간성 표현 -영화 (사랑니)를 중심으로-

  • 이지행 (한남대학교 멀티미디어학부)
  • Published : 2007.08.28

Abstract

While films today offer spectacle to the viewers due to the advanced technique, the "Modern Cinema"-a term named by Deleuze- offers spectator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what they observe and to have various filmic experiences through the shifting of time image within the film narrative, which has been rather neglected as it is just a form in the realm of classic narrative. Originally the shifted time image was a result of thinking about the identity of a film. But it has self-reproduced over and over, and now it has turned into one of cliches that narrative films take. In this sense, a Korean Melodrama "Sarang-ni" is discriminated from other films which take twisted time image as a convention. The film "Sarang-ni", instead of adopting established shifted time image, put us to the confused time arrangement and then it amazingly arouses emotional effect which it initially meant to convey. This journal analyzes how the time representation of operates in the film's narration, and consequently how the form affects the storytelling.

현대에 등장한 영화들은 발전된 기술력으로 인해 스펙터클한 화면을 관객에게 선사하는 한편, 들뢰즈에 의해 이른바 '현대 영화'라고 불린 영화들은 고전적 내러티브에서 형식의 한 측면으로 여겨져 다소 소외되어 왔던 '시간'에 관한 통찰과 비틀기를 통해 다양한 영화적 경험과 사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애초에 사유의 결과물로 시도된 영화 속 시간성의 표현은 이후 끊임없는 자가복제를 거쳐 상투적으로 변모한지 오래다. '첫사랑의 기억'이라는 모티브를 가진 멜로영화 <사랑니>에서의 시간성 표현은 기존 영화들과 비교했을 때 독보적인 지점이 발견된다. 관습적인 시간성 표현의 원칙들을 답습하는 대신 혼란스런 시간 배열 속으로 관객을 인도한 후 결국 스토리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발현시킨다. 본고는 <사랑니>의 시간성 표현이 영화의 내러티브에 어떻게 작용하며 결과적으로 그러한 형식이 스토리를 전달하는 데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