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experience based menstrual education program on menstrual attitude and menstrual discomfort among female elementary students

체험위주 월경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월경태도 및 월경불편감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perience based menstrual education program on menstrual attitude and menstrual discomfort among female elementary students. Method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utilized for the study.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22 female elementary students in P city. They were assigned into 2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of 62 and the control group of 60. The experience based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5 sessions with 40 minute length. For control group, no treatment was provided during the period. Post-tests were conducted just after the following menstrual period for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12.0 program. The t-tests were us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strual attitude and menstrual discomfort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reported more positive attitude to the menstruation and less discomfort during menstrual period than the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Conclusions: Experience based educ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enstrual attitude and menstrual discomfort among female elementary students. Furth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would be beneficial for the female elementary students. Future research to standardize the program to the broader population is warranted.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심. 초.중학교 여학생들의 월경특성에 따른 월경태도 차이 [석사학위논문] . 대전: 충남대학교대학원, 2004
  2. 강인선, 조결자. 온요법이 여고생의 월경곤란증 경감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1;12(3):773-784
  3. 곽미영. 초등학교 여학생의 월경에 대한 태도 성역할 정체감 [석사학위논문] . 대전:충남대학교대학원, 2001
  4. 권인숙. 여자고등학교 학생의 여성 정체감과 월경전 증후군.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96;9(2):223-237
  5. 김미영, 정문숙, 정귀애. 여고생이 호소하는 월경곤란증 정도 및 대처방안. 여성건강학회지 2000;16(3):413-426
  6. 김정은. triangulation 방법을 이용한 월경전후기 불편감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서울 대학교 대학원, 1995
  7. 김정희, 정연강, 김경희, 정혜경. 초등학생의 월경경험에 관한 주관성 연구- 5, 6학년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99;12(2):2003. 263-280
  8. 김혜자. 간호학생의 월경에 대한 태도, 월경증상 및 대처방법에 대한 조사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05;11(4):288-295
  9. 노미정. 성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성지식 및 성태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 공주: 공주대학교대학원, 2003
  10. 노숙현. 초등학생의 월경에 대한 지식, 태도, 대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11. 노지은. 월경경험과 문화적 금기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12. 민명선. 활동중심 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성태도 및 성역할 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 공주: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4
  13. 민애경. 월경전 증후군의 자기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신일전문대학논문집 1993;10:337-346
  14. 박경은, 이성은.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과 월경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01;7(3):359-372
  15. 박영주. 여성의 연령과 월경 전후기 증상 정도 및 유형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 1999;5(2):145-156
  16. 박은경.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월경에 대한 태도와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17. 배미란. 초등학교 성교육 운영 실태 조사연구 [석사학위논문].서울: 연세대학교대학원, 2002
  18. 백선화. 우리나라 초.중.고 여학생의 초경 실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경희대학교대학원, 2004
  19. 백지혜. 초등학교 여학생의 초경에 관한 체험연구 [석사학위논문] . 서울: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2000
  20. 석경옥. 초등학교 5,6학년 여학생의 월경에 대한 태도와 성역할 정체감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전:대전대학교보건스포츠대학원, 2004
  21. 심지영. 초등학교 여학생의 월경태도와 월경전 증상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 대전:충남대학교대학원, 2004
  22. 윤재희. 초등학교의 월경교육현황에 따른 여학생들의 월경지식과 태도 [석사학위논문] . 서울: 서울대학교대학원, 2006
  23. 이판순, 이정숙. 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성 관련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004;17(1):25-39
  24. 이옥선, 박태진. 초 중등 여학생의 초경지식 및 초경 경험에 대한 연구. 연구논문집 1998;5:141-165
  25. 이인실. 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성지식 및 성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 강원대학교대학원, 2003
  26. 이인숙. 뜸요법이 생리통과 월경곤란증 및 일상생활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4;18(1):39-49
  27. 이정선, 이성수, 안규동, 이병국.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성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성에 관한 지식 및 태도변화. 순천향산업의학 2001;7(1): 67-79
  28. 이혜진 외 9명. 아로마 오일과 일반오일을 이용한 복 부마사지가 간호사의 월경곤란증과 생리통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2006;11(2):121-133
  29. 오혜련. 부모-자녀 관계 및 부모와 자녀의 성의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 중앙대학교대학원, 2003
  30. 정향미, 김이순. 청소년의 월경곤란증과 영향 요인. 아동간호학회지 2004;10(2):196-204
  31.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여학생의 생리와 학교생활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 보도자료. 서울:전교조 여성위원회. 2004
  32. 조소은. 아로마요법의 자가적용이 여성의 월경통과 월경불편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 서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33. 조영자. 복부경락마사지가 직장여성의 생리통 및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부 산: 부산대학교대학원, 2004
  34. 최명옥. 일 여고생의 초경지식, 초경정서, 월경곤란 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 서울: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1992
  35. 한선희, 노유자, 허명행. 아로마테라피가 여대생의 생리통 및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01;13(3):420-430
  36. 홍선심. 중 고등학교 여학생의 월경 특성과 월경곤란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7. 홍연란. 고려수지요법이 여고생의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효과. 아동간호학회지 2005;11(1):109-116
  38. 황운영. 여성의 월경시 불편감과 대처방법 [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39. Costas D, Ackerman R, Paradis L. Recollections of menarche. Conununication between mothers and daughters regarding menstruation. Sex Roles 2002;46:49-59 https://doi.org/10.1023/A:1016037618567
  40. Marvan ML, Escobedo C. Premenstrual Symptomatology. Role of Prior Knowledge about premenstrual syndrome. Psychosome Med 1999;61(2):163-167 https://doi.org/10.1097/00006842-199903000-00007
  41. Seidman RY. Effect of a premenstrual syndrome education program on premenstrual Symptomatology.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1999;11;491-501 https://doi.org/10.1080/07399339009515917
  42. Wolf LL, Schumann L. Dysmenorrhea.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oners 1999;11(3):125-130 https://doi.org/10.1111/j.1745-7599.1999.tb0054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