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영재아와 일반아의 기질 및 시험불안과의 관계

The Temperament and Test-Anxiety of Scienc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 강현아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과학영재교육원) ;
  • 조규성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과학영재교육원) ;
  • 김자홍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과학영재교육원) ;
  • 이국행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과학영재교육원) ;
  • 이정원 (서남대학교 교직과) ;
  • 강금자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과학영재교육원) ;
  • 정덕호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과학영재교육원)
  • Kang, Hyun-A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o, Kyu-Seong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Ja-Hong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Kuk-Haeng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Jeong-Won (Department of the Teaching Profession, Seonam University) ;
  • Kang, Geum-Ja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ong, Dok-Ho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7.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아의 기질특성을 분석하고 이 기질 특성이 시험불안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에서 교육받고 있는 92명의 중학생 과학영재아들과 97명의 전주시내에 소재한 중학교 1학년 일반아들이다. 측정도구는 개정판기질차원척도(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 DOTS-R)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아는 일반아에 비하여 집중성, 지속성 및 접근성 기질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일반집단은 활동성, 융통성, 긍정성 기질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영재아와 일반아의 우세기질에 대한 검증 결과 기질 특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과학영재집단은 지속성 기질이, 일반집단은 융통성 기질이 우세기질로 나타났다. 과학영재아와 일반아의 기질 특성과 시험불안의 상관관계분석에서 과학영재아는 접근성, 지속성이 부적상관을 보였고, 일반집단은 집중성이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활동성은 두 집단 모두에서 정적상관을 보였다. 즉 활동성 기질은 시험불안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과학영재아를 판별하기 위한 목적보다는 그들의 기질적 특성을 최대한 파악하여 과학영재의 기질특성에 맞는 학습활동을 제공하는데 활용되어져야 할 것이며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하여 대상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mperament of the science gifted and to identify a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test-anxiety of th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92 middle school the science gifted who had been educated for the gifted in science educational institution of university and 97 general students in their first-year of middle school. A 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 (DOTS-R)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cience gifted displayed higher concentricity, persistence, and approach-temperament than those of general students. On the other hand, general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science gifted at activity, flexibility and positive mood. In the analysis of superior temperament, the science gifted were superior to general students in persistence, while general students were superior to the science gifted in flexibility. The Results of correlation with temperament and test-anxiety was as following. There was close correlation between approach-temperament and test-anxiety of the science gifted. Persistence was the same. While general students were not close correlation between concentricity and test-anxiety. Also scienc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was close correlation between activity and test-anxiety. This mean that activity brings about a disturbing factor of test-anx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perior temperament frequency analysis, persistence is superior temperament of the science gifted. While flexibility was superior temperament of general students. This study expects to making the use of providing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the science gif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문주, 김재은, 1990, 시험불안도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에 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4(1), 91-110
  2. 김선희, 김기연, 이종희, 2005, 중학교 수학영재와 과학영재 및 일반학생의 인지적.정의적.정서적 특성 비교. 한국수학교육학회지, 44(1), 113-124
  3. 박주용, 오현숙, 2003, 기질 및 성격의 측정법을 통해 본과학/수학 영재의 특성. 한국교육심리학회, 17(4), 1-18
  4. 박성옥, 이진숙, 2003, 영재와 일반아동의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 비교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3), 225-245
  5. 박수경, 김광휘, 2005, 과학영재학생의 사고양식 유형과 학업성취 및 과학개념과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5(2), 307-320
  6. 배미란, 2002, 5요인 인성 모형에 기초한 과학연재들의 성격 연구. 연세교육연구, 15(1), 55-75
  7. 송숙희, 김재은, 정현지, 1991, 시험불안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지, 2(1), 11-23
  8. 여상인, 강호감, 2002, 과학영재교육센터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비교.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4, 1-25
  9. 염시창, 박현주, 2005, 일반계 여고생의 완벽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시험불안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2(1), 19-35
  10. 윤여홍, 윤초의, 김홍원, 2003, 지적으로 우수한 초등 영재아의 심리사회학적 적응. 한국심리학회지, 17(2), 177-196
  11. 이명숙, 1994, 기질 및 또래지기가 청소년의 자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심리학박사학위논문, 173 p
  12. 임해숙, 1997, 영재아동의 행동특성에 관한 일 연구, 교육심리연구, 11(3), 183-204
  13. 조석희, 박경숙, 김홍원, 김명숙, 윤지숙, 1996, 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국교육개발원, 서울, 280 p
  14. 황경렬, 1997, 행동적, 인지적, 인지-행동 혼합적 시험불안 감소 훈련의 효과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9(1), 57-80
  15. Brandwein, P., 1981, Science talent: the elusive gif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83, 654-664 https://doi.org/10.1111/j.1949-8594.1983.tb10155.x
  16. Buss, A. and Plomin, R., 1975, A Temperament Theory of Personality. Wiley-Interscience, New York, USA, 256 p
  17. Blurton, C. and Staley, E, 1982, Science and the gifted young child. Teaching Pre K-8, 12 (8), 28-56
  18. Comerford and Creed, 1981,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a teachers' guide. Publications and Information Branch, Melbourne, USA, 88-93
  19. McNeil, T.F., Persson-Blennow I, 1988, Stability of Rating vs Perceptions of Temperament from Early Infancy to 1-3 Year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8, 342-345
  20. Renzulli, J.S., 1977, The Enrichment Triad Model: A guide for developing defensible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Creative Learning Press, Connecticut, USA, 88 p
  21. Silverman, L.K., 1993, The Gifted Individual. In Silverman, L.K. (Ed.), Counseling the gifted and talented. Love Publishing Company, Colorado, USA, 372 p
  22. Spielberger, CD., 1980, Test Anxiety Inventory, Preliminary Professional Manual for the Tes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23. Schuler, Patricia Ann., 1997,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perfectionism in gifted adolescents in a rural school environ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onnecticut, Storrs, 285 p
  24. Tobias S., 1979, Anxiety research in educational psychology, Journal of Educational Pshchology, 573-582
  25. Turtle, Frederick B, Becker, 1980,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143 p
  26. Wallach, MA. and Kogan N., 1965, Modes of thinking in young children: A study of the creativity intelligence distinction, New York, USA, 357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