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about Hospice in Korea ($1991{\sim}2004$)

국내 호스피스 논문 분석($1991{\sim}2004$)

  • Published : 2007.09.0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centering on the theses to hospice released in Korea. Methods: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academic degrees and theses published on the book of the academic society from 1991 to 2004, and examined 110 domestic papers of hospice. Results: 1) The number of articles increased 3 years after 1997, 52 (47%) theses were published in $2000{\sim}2002$. 97 (88%) articles were quantitative studies, and 13 (12%) were qualitative studies. 2) As for the subject, the results were: patients with end stage 44 (40%), nurse 18 (16%), hospice care system, facilities, and literature review 12 (10%). 3) As for main concepts of correlational studies 15 (13%), the results were: quality of life, activities of volunteers, suffering experience of nurse, and so on. 4) The subjects and contents of survey, the results were: pain control and need for nursing care in patients, need for spiritual and physical care in family, and so on. 5) The treatment of experimental research, the results were: hospice nursing, educational program, informational support, spiritual nursing,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home hospice care, information services for control of cancer pain, and so on. 6) In the theme of the qualitative studies, the results were: experience of dying patients, perceive of hospice care and death, experience of family of terminal ill patients, meaning of dying in Korean. 7) In the instrument in studies, the results were: MQOL, EQOL, QOL, NIC, Need Scale, Spiritual Well-being Scale, Spiritual Perspective Scale, Coping for Grief Scale, K-CPAT, VAS, BPI, Depression Scale, Strait-anxiety Scale, Care-giver Burden Inventory, Burnout Inventory, Mental quality. Conclusion: More research needs to be encouraged in experimental and qualitative research fields.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basis of practical and theoretical framework and hospice polices.

목적: 본 연구는 약 15년간의 우리나라 호스피스 연구의 총체적인 주제와 경향을 확인함으로써 추후 호스피스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1991년 1월부터 2004년 7월까지의 우리나라 박사학위논문 7편, 석사학위논문 44편과 호스피스와 관련된 논문이 주로 수록되는 분야별 간호학회지, 의학회지, 호스피스 학회지, 호스피스 협회 학술지, 호스피스 연구소 논문집의 논문에서 호스피스와 관련된 개념이 제시된 논문 59편으로 총 110편을 목록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연구 발표년도, 연구설계, 연구대상, 상관관계 연구, 조사연구, 실험연구, 질적 연구, 측정도구 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2000년 이후의 논문이 52편으로 2000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호스피스 논문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학회지에 발표한 논문으로는 한국 호스피스 완화 의료학회지가 16편으로 가장 많았고, 질적 연구는 13편으로 다소 적은 편수였다. 연구대상별로 살펴보면,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98편으로 가장 많았고, 이 중 말기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44편으로 나타났다. 결론: 분석 결과 향후에는 호스피스 간호이론의 기초 정립을 위한 양적방법론에 근거한 서술적 연구와 질적 연구가 더욱 많이 행해져야 할 것이며, 호스피스 간호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는 실험연구를 통하여 간호중재의 효율성을 입증하는 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