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호스피스 병동 입원 환자와 가족의 요구도

Need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 Hospice Care Unit

  • 김형철 (용욱 실비노인전문요양원) ;
  • 김은숙 (광주광역시 북구 보건소) ;
  • 박광희 (광산구 신동보건진료소)
  • 발행 : 2007.09.01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입원 환자와 가족의 간호요구를 파악하고,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켜주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2004년 5월부터 10월 말까지 일 호스피스 병동에서 퇴원한 환자 76명과 가족 7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SPSS 10.0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연령은 70세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초기 진단명은 폐암이 가장 많았다. 호스피스 입원환자가 경험하는 신체적 증상은 통증, 기운 없음, 식욕부진, 오심구토, 호흡곤란의 순이었고, 정서적 증상은 불안, 우울, 분노 순이었으며, 영적 증상은 신에게 의지하고 싶어함, 원목실, 성직자가 방문하여 종교의식을 원함 순이었다. 입원 환자의 요구도는 통증 조절, 통증 이외의 증상(구토, 호흡곤란, 복수 등)조절, 정서적 문제의 해결, 영적 문제의 해결 순으로 높았으며, 환자의 관심사는 본인의 건강관련문제, 혼자 남을 배우자에 대한 관심, 자녀의 장래문제 순이었다. 가족의 간호 요구도는 "환자의 상태 및 처치/간호에 대한 정보"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가족의 역할 알려주기", "영적 지지", "정서적 지지" 순이었다. 문항별로는 "환자의 예후에 대해 알려주는 것", "환자에게 행해지고 있는 각각의 간호가 왜 필요한지 알려 주는 것" 순으로 높았다. 가족들은 환자의 편안한 임종을 가장 높게 기대하였고, 서비스의 만족도는 자원봉사자 서비스가 가장 높았으며, 통증 조절, 간호사 서비스 순이었다. 결론: 의료인들은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의 실제적인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여 개별적인 대상자들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하는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할 때 환자와 가족 모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ssess the needs of the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provide basic data to meet with their needs. Methods: This is a descriptive study using questionnaire method.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by mail from 76 discharged patients from a hospice ward from May until the end of October, 2004, an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0.0. Results: Admitted patients had needs of pain control (85.5%), non-pain symptoms (63.2%) such as vomiting, dyspnea, ascites, etc, and emotional and spiritual problem solving (28.9%, 14.5%). Interests of patients were health care of himself/herself (65.8%), concern for their spouses left alone (32.9%), and future of their children (15.8%). In families' needs of care of 5 areas, "information on patient's status and treatment/nursing care" was shown most high score ($3.48{\pm}0.62$). In detailed questions, they request most 'to inform the prognosis of patients' and the next is 'to inform the reasons that nursing care was required'. The next highest score was to 'inform family roles' ($3.39{\pm}0.64$), and next was spiritual support ($3.11{\pm}0.79$), and emotional support ($3.08{\pm}0.72$). Expectations of family on the treatment were comfortable dying (73.4%) scored the highest. Patients' families were satisfied with volunteer service most in service area (97.4%). The next was pain control (89.5%) and nursing service (77.6%). Conclusion: Health care staff should identify the actual needs of families caring cancer patients and they should operate realistic programme which can give continuous and assistance by reflecting individual needs and characteristics. With these srategies,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and families can be improved. And then the intervention programme should be developed to measure subjective nursing care need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