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마케팅과학연구)
- Volume 17 Issue 3
- /
- Pages.133-151
- /
- 2007
- /
- 2163-9159(pISSN)
- /
- 2163-9167(eISSN)
The Effects of Item Parceling on Causal Parameter Testing and Goodness-of-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항목묶음이 인과 모수의 검정과 적합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
- Cho, Hyun-Chul (Hanyang University) ;
- Kang, Suk-Hou (Hanyang University)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tem parceling on the consistency of significance testing of the causal parameters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evant constructs, as well as the effects of the item parceling on the goodness-of-fit indices of LISREL's general models. Most of the researchers' major purpose of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s to test their research hypotheses associated with the causal parameter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ree general models of LISREL, rather than the frequently used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CFA) models by many other resear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high level of consistency in the calculated test statics of causal parameters between the item-parceled solutions and the item-level solutions, and that the item-parceled solutions had better goodness-of-fit indices, such as GFI, AGFI, CFI, and NFI, than the solutions at the item level. However, in terms of RMSEA, there was no such tendency.
본 연구에서는 3개 일반모델(general models)의 실증분석을 통해 항목묶음(item parceling)이 구성개념간의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모수의 유의성 검정 결과 및 모델의 적합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개별항목을 적용한 분석과 비교할 때 항목묶음을 통한 분석을 적용해도 모델 인과모수의 검정통계량은 그다지 변하지 않으므로 유의성 검정 결과에도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반적 적합도지수의 측면에서는 RMSEA를 제외한 주요 모델 적합도 지수, 즉 GFI, AGFI, CFI 및 NFI의 값들이 상당히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주요 모델 적합도 지수들의 값이 높아진 것은 항목묶음을 이용하여 분석을 한 결과가 개별항목을 통한 분석의 결과에 비해 다변량 정규(분포)성의 개선 등으로 인해 높아진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항목묶음을 적용함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사항은 적용하기 전에 구성개념의 단일차원성(unidimensionality)을 우선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목묶음을 이용하여 분석을 할 경우 실제 구성개념간의 인과적 관계를 나타내는 모수의 유의성 검정과 모델의 적합도 지수들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 지를 세 개의 일반모델을 대상으로 파악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