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고모산성에서 발굴된 신라시대 지하식 목구조물의 목재 식별

Wood Identification in Underground Wooden Structure of Shilla Period Excavated at Mungyeong Gomo Sanseong Fortress

  • 엄영근 (국민대학교 삼림과학대학 임산공학과) ;
  • 허광수 (국민대학교 삼림과학대학 임산공학과)
  • Eom, Young Geun (Department of Forest Products, College of Forest Science, Kookmin University) ;
  • Xu, Guang Zhu (Department of Forest Products, College of Forest Science, Kookmin University)
  • 투고 : 2007.09.11
  • 심사 : 2007.10.22
  • 발행 : 2007.11.25

초록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하고 있는 고모산성에서 발굴된 5세기 무렵 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지하식 목조구조물의 부재 시료 12점을 대상으로 광학현미경 기법을 사용하여 수종 식별을 실시한 결과 참나무과에 속하는 활엽수 목재 8점 그리고 소나무과에 속하는 침엽수 목재 4점이 확인되었다. 활엽수 목재 8점 가운데 5점이 상수리나무류, 2점이 졸참나무류 그리고 1점이 밤나무인 것으로 식별되었다. 한편, 침엽수 목재는 4점 모두 소나무인 것으로 식별되었다.

A large underground wooden structure of Shilla period which was presumably built in the 5th century A.D. was excavated at Gomo Sanseong Fortress, Mungyeong, Gyeongsangbuk-do. Of 12 wood member samples obtained on the site, 8 hardwoods under family Fagaceae and 4 softwoods under family Pinaceae were separated through light microscopy. Among hardwoods, 5 were found to be Cerris section, 2 Prinus section, and 1 Castanea crenata. On the other hand, 4 softwoods were all identified as Finns densiflora.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태욱. 1994. 원색도감 한국의 수목. 교학사
  2. 박병수, 박정환. 2005. 주요 목조문화재의 수종구성. 연구보고 05-14. 국립산림과학원
  3. 박상진, 이원용, 이필우. 1981. 목재조직의 도해. 정민사
  4. 박원규. 2004. 목가구의 수종식별과 연륜연대. 국립민속박물관
  5. 박원규, 김지은, 심재용. 2004. 김해 봉황동 가야시대 집터 유적지 출토 목재의 수종 분석. 한국목재공학회 2004 춘계학술발표논문집. 서울대학교. 서울 33-37 (A-9)
  6. 박원규, 이광희. 2007. 우리나라 건축물에 사용된 목재 수종의 변천. 건축역사연구. 16(1): 9-28
  7. 이원용. 1997. 주사전자현미경도설 한국산 목재의 조직구조. 향문사
  8. 이창복. 1982. 수목학. 향문사
  9. (재)중원문화재연구원. 2007. 문경 고모산성 2차 발굴조사: 현장 설명회의 자료집 (3)
  10. 伊東隆夫. 1995.日本産廣葉樹材の解剖學的記載 I. 京都大學 木質科學 硏究所 木材硏究. 資料. 31: 81-181
  11. 林 昭三.1991.日本産木材 顯微鏡寫眞集.京都大學 木質科學硏究所
  12. Eom, Y. G., H. S. Kim, and G. Z. Xu. 2005.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structural members of the Beomeo Temple. Mokchae Konghak. 33(2): 1-7
  13. Kim, H. S. and Y. G. Eom. 2006. Microscopic patterns of decay caused by Tyromyces palustris and Gloeopbyllum trabeurn in Korean red pine and radiata pine woods. Mokchae Konghak. 34(5): 1-10
  14. Lee, P. W. and Y. G. Eom. 1987. Wood identification of the veneer species that grow in Korea. II: Wood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by the microscopic features. Mokchae Konghak. 15(1): 22- 55
  15. Schweingruber, F. H., A. Borner, and E.-D. Schulze. 2006. Atlas of woody plants: Evolution, structure, and environmental modifications. Spri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