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ioration and Preservation Technique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Part I) -Biodeterioration of Wooden Round Columns, Janggeongpanjeon, Built in 15 century-

목조문화재 열화 및 보존기술에 관한 연구(제1보) -장경각 구조부재중 큰기둥의 생물적 열화 특성 -

  • Received : 2006.09.11
  • Accepted : 2006.12.28
  • Published : 2007.01.25

Abstract

The biodeterioration behaviors of wooden parts in the Janggeongpanjeon built in 15 century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types of wood species, positions and parts of wooden colum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t was found that a high differences of deterioration in the progressing levels of wood decay, according to the types of wood species, positions and parts of wooden colum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decay levels were high in the contacted areas with stone foundation which are about up to 8~40 cm above it, although it was shown the many of wooden parts of the round columns are still good condition. In the case of decay type, it was shown the brown-rot in many of the columns at outside of building which made of hardwoods. The decay in position of the columns was most serious in the directions of east-north, west-north and north. It was also indicated that the durability of Zelkova serrata was higher than other wood species of the round columns, while it was in inferior anti-insects.

국보 제32호인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으며 UNESCO가 정한 세계문화유산이기도 한 장경판전의 목재 구조부재중 큰기둥에 대한 생물인자에 의한 열화 특성을 조사 연구하였다. 장경판전의 법보전과 수다라장의 목재부재를 대상으로 연구 검토한 결과, 목재 부재 및 부위 그리고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한 열화 현상이 있음이 밝혀졌다. 부재의 주요 열화는 미생물에 의한 부후현상으로 밝혀졌으나, 부후가 나타난 부분들은 하나의 부재에서 매우 국부적으로 발생하고 있었으며 이들을 잘 조치하면 대부분의 부재는 건전한 상태로 더 유지 할 수 있는 상황으로 고찰되었다. 수다라장 큰기둥의 부후지수가 더 심했다. 큰기둥의 소재로 사용된 수종의 내구성은 소나무, 전나무 및 상수리나무보다는 느티나무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느티나무의 경우 일부 기둥에서 해충의 피해가 발견되었다. 기둥 위치에 따른 생물적 열화는 동북, 서북, 북향에 위치한 기둥이 다른 방향에 위치한 기둥에 비해 심한 경향을 보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과학재단

References

  1. 김광철, 배문성, 이전제. 2003. 노출환경에 따른 목조 고건축물 기둥의 열화 차이. 목재공학, 31(2): 58-68
  2. 김광철, 정인수. 2003. 곤충에 의한 목조 고 건축물 기둥의 손상에 대한 연구 목재공학, 31(2): 69- 76
  3. 김영숙, 한상미. 2000. 고목구조물의 열화 특성에 관한 연구, '2000 추계학술발표논문집, 104-108, 한국목재공학회
  4. 김윤수, 김규혁, 김영숙. 2004. 목재보존과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5. 박상진, 안희균. 1982. 화암사 고목재의 구조와 수종. 전남대 연습림보고, 5: 87-102
  6. 박상진. 1983. 범어사 및 무량사고건축재의 구조와 수종 보존과학연구, 4: 59-69
  7. 박상진. 1997. 삼국사기에서 본 옛 나무. 산림,6: 132-139
  8. 박상진, 강애경, 김유정. 1993 출토고목재의 수종과 조직 구조에 관한 연구(I) -출토목관재의 수종. 보존과학회지, 2(2): 3-14
  9. 박상진. 1998. 팔만대장경판의 수종과 보존현황, 숲과 문화, 제7권 1호, 8-13
  10. 박상진. 1999. 다시보는 팔만대장경판 이야기, p95, p102, (주)운송신문사
  11. 박상진, 정기호, 김재우. 1999 고려대장경 경판전 기둥의 재질. 목재공학, 27(1): 1-8
  12. 이용희. 1997. 저습지 출토 목재유물의 보존과 현황. 보존과학회지, 6(2): 126-140
  13. 이재창, 장경호, 장충식. 1993. 해인사 대원사
  14. 이태영. 1996 고려대장경파 보존을 위한 기초학술 연구, 해인사 고려대장경 연구소
  15. 이화형, 이종신. 2001 扶餘 陸山理 寺址 출토 목재 수종식별(1). 한국가구학회지 12(2), 40-47
  16. 정인수, 이양수, 이희권. 2003. 목조 고건축물에서 채집된 곤충의 분류. 목재공학, 31(2): 52-57
  17. 최광남 1986 신안침몰선체의 구조적 특정과 과학적인 보존처리. 보존과학연구, 5: 140-145.
  18. Singh, Adya P., Kim, Y. S., and Wi, S. G. 2002. Inhomogeneity in the composition of vesture walls in an archaeological wood. IAWA Journal, Vol. 23(1),77-82 https://doi.org/10.1163/22941932-90000290
  19. Kohdzuma, Y., Minato, K, and Katayama. Y. 1996. Relationships between Some Properties of Waterlogged Woods. Mokuzai Gakkaishi Vol. 42(7): 681-687
  20. Takei. T., Hamajima. M, and Kamba. N. 1997.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ic Anlysis of the Degradation of Structural Lumber in Horyu-ji Temple. 木材學會誌, Vol. 43(3): 285-294
  21. Kim, Y. S. 1989. Micromorphology of degraded archaeological pine wood in waterlogged situation. Maturial u. Organismen 24: 271-286
  22. Kim, Y. S. 2000.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Wood biodegradation in wet environments: A Review, IAWA Journal, Vol. 21(2), 135-155 https://doi.org/10.1163/22941932-90000241
  23. Doi, Shuichi. 1992 Dry rot Damage of a Cowshed, an Important Cultural Property in Hokkaido University, and Its Repairs.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nal Conferenceon Biodeterioration of Cultural Property 2, 498-504
  24. www.insectimages.org
  25. 日本家屋害蟲學會編. 1984. 家屋害蟲. p28-31
  26. 鈴木憲太郎、松岡昭四郎,壓司要作,井上衡. 1981.各種 防腐慮理小丸たの野外における被害經過と耐用年數裁, 日本 林試年報, Bull. For. Prod. Res. No. 315, 105-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