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교사 전문성 제고 방안: 교수.학습 측면을 중심으로

The Measure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Geography Teachers: Focusing on Teaching and Learning

  • 발행 : 2007.06.30

초록

본 연구는 지리교사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교수 학습 측면에 주안점을 두어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식론의 변화, 교과중심 교육과정 운영 등으로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요구는 더욱 높아지고 있으나 교과 특성에 기초한 지리교사의 전문성 및 그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지 못하였다. 특히 지리교사와 관련된 선행 연구물들의 경우 주로 교과 내용과 방법이라는 이분법적 구분, 이론적 차원에서 단순히 수업 모형을 적용하려는 사고가 우세하여 통합적 차원에서 지리교사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 제시가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수 학습 측면에서 지리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의 구성 요소를 파악한 후, 거시적 차원에서 지리교사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리교사는 결과로서의 지역이 아닌 과정으로서의 지역을 설계하는 교사, 기술적인 실행에서 벗어난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지리교사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개인적 차원의 교육적 반성과 더불어 협력의 과정을 통한 전문성 신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shown that geography teachers need the professionalism in a Teaching and learning aspect. Together with the transition of epistemology and the operation of the Subject Matter-based curriculum, etc the demand for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s much higher than ever. But the less discussion about what the professionalism of geography teachers based on subject traits and its components are has been mentioned. Especially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with geography teachers usually distinguished the contents from the methods in the geography teaching in a dichotomy and tried to apply to a class model in the theoretical aspects, so they $didn't^{\circ}{\varnothing}t$ present the enough measure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geography teachers in the synthetic aspects. In this study, after I found the components of professionalism required to geography teachers in a teaching and learning, I tried to present measure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geography leathers in the macroscopic aspects. The geography teacher should be a teacher to design a region as a process than a result, and a teacher as a reflective practitioner than a technical practitioner.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should be achieved through the process of cooperation with an educational reflection in the individual aspec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지영, 2006, 고등학교 지리교사의 환경교육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계현아, 2000,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주체자로서의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3. 곽철홍, 2000, '벨지움의 중등학교 지리교육 내용과 교사 양성제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6(3), 101-115
  4. 교육인적자원부, 2006, '학교교육력 제고를 위한 교원 양성체제 개선 방안'(www.moe.go.kr)
  5. 김재기, 2004, '중등 지리교사 임용시험의 출제문항 분석 및 개선방안,' 교원교육, 20(1), 120-136
  6. 김정한, 2003, '수업효과성을 높이는 교사의 자질,' 교육연 구, 23(5), 26-33
  7. 김주훈, 2005, '좋은 수업을 통한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부산교육, 314, 66-75
  8. 남상준, 1996, '지리교육 반세기의 회고와 전망: 연구업적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1(2), 317-328
  9. 박선미, 2006, '협력적 설계가로서 사회과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패러다임 탐색,' 사회과교육, 45(3), 189-207
  10. 박수미, 2006,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과 교육과정 지역화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태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서경혜, 2005, '반성과 실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소고,' 교육과정연구, 23(2), 285-310
  12. 서태열, 2006, '지리교사의 교수행동 및 교수신념에 따른 지리교수유형의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4(1), 13-30
  13. 서태열.심광택.이간용, 2005, '사회과 지리교사의 학생 평가전문성의 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사회과교육, 44(3), 127-150
  14. 소경희, 2003, '교사전문성의 재개념화 방향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과정연구, 21(4), 77-96
  15. 손병노, 1998,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 탐색: 교수 내용 지식의 관점,' 사회과교육학연구, 2, 110-127
  16. 송언근, 2002, '자실적 지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의 논리적 토대,'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0(1), 41-51
  17. 송호열, 2004, '수요자 중심의 지리과 교사자격 연수 프로 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기초과학논집, 18, 217-237
  18. 예경희, 2000, '미국의 지리교사 교육의 개선방향,' 교육과 학연구, 14, 87-120
  19. 옥한석.장현숙, 2005, '생활중심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와 적용: 인구이동과 인구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4), 523-535
  20. 유솔아, 2006, '교사반성에 대한 관점 정립을 위한 재고: 교육과정 실행 주체자로서의 교사역할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4(3), 173-197
  21. 유신영, 2005,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반성적 수업분석 모형 개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유종열, 2006, '사회과 교수.학습에서 인식론적 신념의 역할 논의,' 사회과교육연구, 13(2), 113-136
  23. 유흥식, 1988, '한국 지리교육연구의 발달,' 지리교육논집, 19, 112-123
  24. 이기석, 1992, '지리과 중등학교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관 한 연구,' 지리교육논집, 27, 1-15
  25. 이대성, 2006, '교수내용지식의 관점에서 본 중등 일반사회 교원 임용시험 문항 분석,' 사회과교육, 45(4), 133-162
  26. 이영민, 1999, '지리교육의 기본 개념: 지리교사들의 인식과 재정립 방향의 모색,' 대한지리학회지, 34(3), 281-293
  27. 이용환, 2002, '교육과정 패러다임의 변화와 교사,' 교육과정연구, 27-51
  28. 이윤정, 2006, 고등학교 지리교사의 교수 신념과 수업 실제,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종원, 1999, 지리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종일, 2000, '사회과 교사 자질에 대한 CBTE적 접근,' 사회과교육, 33, 353-378
  31. 이종일, 2003a, '반성적 실행을 통한 사회과 교사 자질 개선,' 사회과교육, 42(2), 5-27
  32. 이종일, 2003b, '사회과 교사자질 교육이론의 변천: 교사 자질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논총, 17-38
  33. 임화자, 2005, '지역 정체성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12(1), 179-198
  34. 정선영.김한종.양호환.이영효, 2001, 역사교육의 이해, 삼지원
  35. 정우진, 1992, 지리교과에 대한 지리교사 및 학생들의 인식: 부산시내 인문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부산대 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정인철.이종원, 2005, '텍사스주 지리교사 양성과정과 성공적인 지리교사의 자질,'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3(1), 53-63
  37. 조 제, 1992, '중국 중등학교 지리과정의 개혁과 지리교사 의 양성,' 지리교육논집, 28, 104-108
  38. 주웅영.조재식, 2007, '교육과정 적용 가능성 검증을 위한 교실수업의 이해,' 사회과교육연구, 14(1), 61- 86
  39. 최춘웅, 1996, 지리교사 연수내용 구성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중등1급 정교사 자격연수를 중심으로, 부산 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최홍규, '고등학교 지리교육의 현황과 운영개선 방향: 강원 도 지역의 지리담당교사를 중심으로,' 지리과교육, 5, 209-219
  4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제7차 교육과정의 성공적 시행을 위한 방안 탐색
  42. 홍미화, 2005,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논의,' 사회과교육, 44(1), 101-124
  43. Birmingham, C., 2004, Phronesis: a model for pedagogical reflec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5(4), 313-324 https://doi.org/10.1177/0022487104266725
  44. Ferrero, D.J., 2004, Why choice: is good for teachers, education next, Journal of Opinion and Research, 57-61
  45. Foucault, M., 1971, The Archaeology of Knowledge and the Discourse of Knowledge, Pantheon Books, New York
  46. Goldhaber, D., 2005, Can Teacher Quality Be Effectively Assessed? National Board certification as a Signal of Effective Teaching, The Urban Institute
  47. Goodson, Ivor F., 2000, The principled professional, in Hargreaves, A. and Lo, L.N.K.(eds.), Open File: Professionalism in Teaching, International Bureau of Education, Geneva, 167-180
  48. Hanushek, E.A., 1992, The trade-off between child quantity and quality,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00(1), 84-117 https://doi.org/10.1086/261808
  49. Hargreaves, A., 2000, Four ages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learning, Teachers and Teaching: History and Practice, 6(2), 151-182 https://doi.org/10.1080/713698714
  50. Lasley II, T.J., Siedentop, D., and Yinger, R., 2006, A systemic approach to enhancing teacher quality the Ohio Mode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7(1), 13-21 https://doi.org/10.1177/0022487105284455
  51. Levin, B. B. and Rock, T. C., 2003,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action reserach on preservice and experienced teacher partner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4(2), 135-149 https://doi.org/10.1177/0022487102250287
  52. Reinfried, S., 2001, Curricular changes in the teaching of geography in Swiss upper secondary schools: an attempt to develop skills for lifelong learning, Journal of Geography, 100, 251-260 https://doi.org/10.1080/00221340108978452
  53. Ryan, D., 2003, No Geographer Left Behind, GENIP, 1-16
  54.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Basic Books, New York
  55. Sloan, K., 2006, Teacher identity and agency in school worlds: beyond the all-good/all-bad discourse on accountability-explicit curriculum policies, Curriculum Inquiry, 36(2),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of the University of Toronto, 119-152 https://doi.org/10.1111/j.1467-873X.2006.00350.x
  56. Smagorinsky, P., 2004, Tensions in learning to teach: accommodation and the development of a teaching identity,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5(1), 8-24 https://doi.org/10.1177/0022487103260067
  57. Stanley, W. B., 1991, Teacher competence for social studies, in James, P.S.(ed.), Handbook of Research on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New York, 249-262
  58. Sunderman, G. L. and Kim, J., 2005, Teacher Quality: Equaliz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Outcomes, Cambridge, The Civil Rights Project at Harvard University
  59. Zuoyu, Z., 2002, The teaching profession: to be or to do,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28(3), 211-215 https://doi.org/10.1080/0260747022000021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