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따른 유역의 물수지 변화

Water Balance Change of Watershed by Climate Change

  • 발행 : 2007.06.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요소의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섬진강댐과 소양강댐 유역의 물순환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난 30년간 기온과 강수량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증발산량은 지역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연평균 기온상승과 연증발산량의 증가가 정의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없었다. Penman-FAO24법에 기초한 기후학적 물수지방법과 실측값은 서로 유의한 것으로 밝혀져 국내 물수지 연구에 사용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연강수량 증대에 따라 연유출량의 증가는 인정되나 연유출률에 대한 변동은 실측값과 계산값 간의 변동이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어 기후변화의 영향이 유역의 유출특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기후변화에 의한 수자원관리와 재난관리에 큰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방안을 강구하기 위해서는 유역의 기후학적 조건과 수문학적 변동성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며 보다 조밀한 수문관측망의 구축과 신뢰도 높은 자료의 축적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and evaluate the effects of Seomjingang Dam and Soyanggang Dam Catchment on water circulation in order to examine water balance change of watershed by climate change. Obviously, ai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showed a gradually increasing trend for the past 30 years; evapotranspiration vary in areas and increasing annual average air temperature is not always proportional to increasing evapotranspiration. Based on Penman-FAO24, climatic water balance methods and measured values are shown to be significantly related with each other and to be available in Korea. It is certainly recognized that increasing annual rainfall volume leads to increasing annual runoff depth; for fluctuation in annual runoff rates, there are some difference in changes in measured values and calculated values. It is presumably early to determine that climate chang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unoff characteristic at dam catchment. It is widely known that climate changes are expected to cause many difficulties in water resources and disaster management.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deeper understanding is necessary for climatological conditions and variability of hydrology and to have more careful prospection and to accumulate highly reliable knowledge would be prerequisites for hydrometric network.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만석, 1984, 'Thornthwaite방법에 의거한 남한의 기후변동경향,' 지리학연구, 9, 507-519
  2. 건설교통부, 1997, 수자원 계획의 최적화 연구: 용수수요 추정시스템 개발 연구, IPD-97-1, 한국수자원공사
  3.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 홈페이지 (WAMIS; http://www.wamis.go.kr/main.aspx)
  4. 고희원.황은.김시원, 1989, 'Penman식의 적용에 있어 서 지역별 일사량 추정을 위한 계수의 산정,' 한국 농공학회지, 31(4), 96-110
  5. 김도정, 1970, '최근에 있어서의 기후변화와 변동에 관하여, 특히 기온변화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5, 69-74
  6. 김병식.김형수.서병하.김남원, 2004, '기후변화가 용담댐 유역의 유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7(3), 185-193
  7. 김병식.김형수.서병하, 2005,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 치는 영향과 평가,' 자연과 문명의 조화(구 토목), 53(4), 30-42
  8. 김승, 1999, '이상기후에 따른 홍수관리대책,' 토목, 47(5), 16-20
  9. 김연옥, 1963, ' Thornthwaite 신분류법에 의한 한국의 기후구분,' 이화여대 한국문화원논업, 3, 235-251
  10. 김연옥, 1970, 'Thornthwaite방법에 의한 한국의 수분수지,' 지리학, 5, 1-29
  11. 김영오, 1999, '기후변화를 고려한 수자원관리 기법,' 토목, 47(5), 29-33
  12. 김은희.김맹기.이우섭, 2005, '최근 30년간 한반도 일 강수강도의 지역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6(5), 404-416
  13. 류상범.김영아, 2000, '광릉수목원에서의 증발산량 변화: 가을에서 초겨울까지,' 한국기상학회지, 36(1), 43- 50
  14. 박병익, 1996, '한국의 기온 경년변화와 이에 대한 도시화 의 영향에 대하여,' 지리.환경교육, 4, 109-119
  15. 백경록.최종남.유철상.김종훈, 2000, '강우-유출관계 의 변동성에 관한 고찰,' 대한토목공학회지, 20(3- B), 377-386
  16. 배덕효, 2005,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과 과제,' 국토, 281, 32-38
  17. 송태용, 1966, 'Thornthwaite 신기후분류에 의한 한국기후,' 경북대학교 논문집, 10, 77-96
  18. 서용원.이승현.김영오.이동률, 2000, '대청댐 운영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2000(3), 427-430
  19. 신경섭, 2003, '물과 기후변화: 한국의 강수량 추이와 전망,' 국토, 259, 14-23
  20. 신영규, 2004, '대관령 지역의 산림 소유역과 농경지 소유역의 수질비교,' 대한지리학회지, 39(4), 544-561
  21. 안상진.김종변, 1988, '소유역의 증발산량 산정방법에 의한 비교 연구,'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6(2), 110- 120
  22. 안재현.유철상.윤용남, 2001, 'GCM결과를 이용한 지구 온난화에 따른 대청댐 유역의 수문환경 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34(4), 335-345
  23. 양해근.김종일, 2004,' 도시화에 수반되는 광주천 유역의 물수지 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1), 192- 205
  24. 이승호.권원태, 2004,' 한국의 여름철 강수량 변동: 순별 강수량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9(6), 819- 832
  25. 이용호.임규호.이수정, 2000, '한반도와 주변 지역 물 수지의 연변화,' 한국기상학회지, 36(2), 257-268
  26. 이현영, 1975, '대구를 중심한 낙동유역분지의 물수지 연구,' 지리학, 11, 65-77
  27. 장기환, 1999, '이상기후현상과 다목적댐 운영,' 토목, 27(5),34-44
  28. 전성우.정휘철.이동근, 2004, 기후변화영향평가모형 개발: 물관리부분을 중심으로, KEI-2004-RE-10,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9. 정현숙.임규호.오재호, 1999,' 서울 지역 강수량의 시계 열에 나타난 시간 변동성 해석,' 한국기상학회지, 35(3), 354-371
  30. 차은정, 2001, '집중호우의 원인은 지구온난화 때문인가?: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량과 물순환의 변화에 대한 개념적 이해,' 한국수자원학회지, 34(6), 62-64
  31. 최영은.권원태, 2005, '지리학에서의 기후 변화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41(2-1), 249-262
  32. 허창희.강인식, 1988, '한국 지역 강수의 변동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24(1), 38-47
  33. 關武.吉野正敏, 1953, '日本の流域別水收支の年變化樣 式,' 地理評論, 26(3), 110-121
  34. 榧根勇, 1969, '水收支觀測値の精度について,' 東京敎育大 學地理學硏究報告, 13, 129-137
  35. 榧根勇.竹內浩, 1971, '本邦における河川の年流出率につ いて,' 地理學評論, 44, 347-355
  36. 新井正, 1976, '日本の水收支: 槪要と問題點,' 立正大學文 學部論叢, 56, 95-125
  37. 新井正, 1979, '東京付近の氣候學的水收支とその都市化に よる影響,' 立正大學文學部論叢, 65, 1-16
  38. 新井正, 2001, '流出率と流出高に關すゐ考察,' 日本水文科 學會誌, 31(1), 3-10
  39. 梁海根, 1996, '小河內貯水池における水收支と流出率,' 地域硏究, 37(1), 1-10
  40. Blaney, H.F. and Criddle, W.D., 1950, Determining Water Requirements in Irrigated Area from Climatological and Irrigation Data, USDA-SCS TP96
  41. Change, L.H., Hunsaker, C.T., and Draves, J.D., 1992, Recent research on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water resources, Water Resources Bulletin, 28(2), 273-286 https://doi.org/10.1111/j.1752-1688.1992.tb03993.x
  42. Choi, Y.E., 2002a, Changes on frequency and magnitude of heavy rainfall ev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4, 269-282
  43. Choi, Y.E., 2002b, Trends in daily precipitation events and their extreme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1, 189-203
  44. Choi, Y.E., Jung, H.S., Nam K.Y., and Kwon, W.T., 2003, Adjusting urban bias in the regional mean surface temperature series of South Korea, 1968- 1999,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3, 577-591 https://doi.org/10.1002/joc.881
  45. Chow, V.T., Maidment, D.V., and Mays, L.W., 1988, Applied Hydrology, McGraw-Hill College
  46. Chung, Y.S. and Yoon, M.B., 1999, Recent climate change and related factors observed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5(3), 310-318
  47. Houghton, J. T., Ding, Y., Griggs, D. J., Noquer, M., Van der Linden, P. J., Dai, X., Maskell, K. and Johnson, C. A.(eds.),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IPCC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ge University Pres
  48. Kayane, I., 1968, Variation in annual runoff ratio, Freiburger Geographische Hefte, 6, 25-32
  49. Lettenmaier D.P. and Burges, S.J., 1978, Climate change: detection and its impact on hydrologic design, Water Resources Research, 14(4), 679-687 https://doi.org/10.1029/WR014i004p00679
  50. Lim, G.H. and Jung, H.S., 1992, Interannual variation of the annual precipitation at Seoul, 1771-1990,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28(2), 125-132
  51. Ludwing, W., Serrat, P., Cesmat L., and Garcia-Esteves, J., 2004, Evaluating the impact of the recent temperature in crease on the hydrology of the Têt River(Southern France), Journal of Hydrology, 289, 204-221 https://doi.org/10.1016/j.jhydrol.2003.11.022
  52. Mohseni, O. and Stefan, H.G., 1998, A monthly stream flow model, Water Resources Research, 34(5), 1287-1298 https://doi.org/10.1029/97WR02944
  53. Penman, H.L., 1948, Natural evaporation from open water, bare soil and grass, Proceedings Royal Society of London, 193(Ser. A), 120-145
  54. Penman, H.L., 1956, Estimating evaporation tra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37(1), 42-50
  55. Rind, D., 1993, Models see hard rain, drought if $CO_2$ doubles, Climate Alert Newletter, 6(2), 120-125
  56. Schwarz, H.E., 1977, Climate change and water supply: How sensitive it the northeast?, Climate, Climate Change, and Water Supply, U.S. Nation Academy of Sciences. Washington, D.C., 111-120
  57. Saua, F., Kenneth, J., Booteb, W., McNair, B., Jonesc, J.W., and Ines Mínguezd, M., 2004, Testing and improving evapotranspiration and soil water balance of the DSSAT crop models, Agronomy Journal , 96, 1243-1257 https://doi.org/10.2134/agronj2004.1243
  58. Thornthwaite, C.W., 1948, An approach toward a rational classification of climate, The Geographical Review, 38, 55-94 https://doi.org/10.2307/210739
  59. Thornthwaite, C.W. and Mather, J.R., 1957, Instructions and tables for computing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and the water balance, DREXEL Institute of Technology, Lab. of Climatology
  60. Trenberth, K. E., 1998, Atmospheric moisture residence times and cycling: Implications for rainfall rates with climate change, Climatic Change, 39, 667- 694 https://doi.org/10.1023/A:1005319109110
  61. Trenberth, K. E., 1999, Conceptual framework for changes of extremes of the hydrological cycle with climate change. Climatic Change, 42, 327- 339 https://doi.org/10.1023/A:1005488920935
  62. Yang, H.K., 2006, Impact of climate change on hydrological disasters,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3(3), 4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