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o-Temporal Dynamics of Estuarine Wetlands Related to Watershed Characteristics in the Han River Estuary

유역특성에 따른 한강하구 습지의 공간분포 및 변화분석

  • Rho, Paik-Ho (Environmental Management Division,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노백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Estuarine wetlands for 33 watersheds in the Han River estuary were delineated on topographic maps from the 1910s, 1970s, and 2000s. Then, these data were used to address the issue of spatial distribution and temporal variation. Watershed characteristics such as drainage density, location, watershed size, slope, and elevation were identified for each watersh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shed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estuarine wetlands. The analysis of estuarine wetlands indicated that wetlands in the estuary had declined gradually between the 1910s and the 1970s, although most wetlands were lost since the 1970s mainly caused by the large development projects related to urban expansion in metropolitan Seoul. The sediment composition and formation processes of the wetlands differed with watershed location; mud flats dominate in the lower part of the estuary, and relatively more sandy and emergent-plant wetlands occur near the main channel and tributaries of the Han River. Relatively more estuary wetlands occur in large watersheds, which have high slopes and low elevations. Estuarine wetlands have been lost dramatically in the densely populated watershed regions (i.e., Han River Seoul, Han River Goyang, West Han River), while relatively more wetlands have remained in undeveloped regions, including the Lower Imjin River and Lower Han River. In particular, anthropogenic disturbance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loss of wetland through the conversion of wetland into agricultural and developed land.

본 연구는 한강하구역에 위치한 33개 표준유역을 대상으로 1910년대, 1970년대, 2000년대 지형도를 이용하여 하구습지를 추출하여 공간적 분포특성과 시기별 변동추이를 분석한 것이다. 또한 하계밀도, 유역의 위치 및 크기, 경사도, 평균표고 등 유역특성이 하구습지 분포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 개발사업 등 인위적 교란이 하구습지 훼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지형도 분석결과, 하구습지는 191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수도권이 팽창하기 시작한 1970년대 이후 한강하구의 습지는 급속하게 훼손되었다. 표준유역의 위치에 따라 하구습지를 구성하는 퇴적물 구성비율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해안에 인접한 유역에서는 갯벌(펄)의 구성비율이 높고 한강본류 및 지류에 인접한 유역에서는 사구나 습지(식생군락)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역면적이 넓고 경사가 급하며 평균표고가 낮은 지역에서 하구습지는 광범위하게 분포하였다. 1970년대 이후 하구습지는 인위적 교란이 높은 한강서울, 한강서해, 한강고양 권역에서 크게 훼손된 반면 군사적 이유로 민간인의 출입이 제한된 임진강하류 및 한강하류 권역에서는 감소폭이 낮았다. 특히 지난 30여년 동안 인구증가율이 높으며 인공적인 토지피복 구성비율이 높아진 유역에서 하구습지의 훼손이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지리정보원, 2006, 1/25,000 지형도 도식적용규정, 국토지리정보원
  2. 권혁재, 2001, 지형학, 법문사, 서울
  3. 노백호.이창희.남정호.김선희.김홍상.유승훈.이장룡.황진환.안소은.장원근.강상규.박주영.최희정.한은진.강수진.최유진, 2006, 지속가 능한 하구역 관리방안 (I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4. 박경, 2004, 우리나라의 하구지형 및 경관변화. 하구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워크샵,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5. 박의준, 2000, '해안습지 성장률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6(3), 153-168
  6. 박의준.김성환.윤광성, 2005, '우리나라 대하천 상류 하천습지의 지형경관,' 지리학연구, 39(4), 469-478
  7. 박희두, 2005,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의 습지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2(1), 1-12
  8. 서종철.박경, 2005,' 지형을 고려한 해안습지 분류,'지리 학연구, 40(3), 339-351
  9. 신영규.윤광성, 2005, '한강하구역의 수질 및 퇴적물 특성의 공간적 분포,' 한국지형학회지, 12(4), 13- 23
  10. 양태진, 1998, (근세)한국 오만분지일 지형도, 경인문화사
  11. 유재원, 1998, 서해중부 갯벌 저서동물 군집의 공간분포와 장기변동 패턴,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이민부.한욱.김남신.한주연.신근하.강철성, 2003, '다시기 위성영상을 이용한 두만강 하류지역의 농경지 개간의 공간적 특성분석,' 대한지리학회지, 38(4), 630-639
  13. 이삼희.황승용, 2006, '한강하구 장항습지의 형성 과정,' 건설기술정보, 272, 17-22
  14. 이창희.구도완.노태호.문현주.전성우.허경미, 2003, 하구역 환경보전 전략 및 통합환경관리방안 수립,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5. 정진순, 2004, '낙동강 하류의 습지 환경 변화 연구,' 지리과교육, 7, 179-197
  16. 제종길.이재학.고철환, 1998, '갯벌연구: 현재와 미래,' 해양연구, 20(2), 57-61
  17. 한강유역환경청, 2007, 한강하구 습지보전계획 수립 연구 보고서
  18. 홍사욱.신경식. 1978. '한강하류계의 수질과 니토에 관한 이화학적 조사연구,'한국육수학회지, 16, 43-51
  19. 환경부.국립환경연구원, 2005, 하구역 생태계 정밀조사 보고서
  20. Bedford, B., 1996, The need to define hydrologic equivalence at the landscape scale for freshwater wetland mitigation, Ecological Applications, 6, 57-68 https://doi.org/10.2307/2269552
  21. Bedford, B., 1999, Cumulative effects on wetland landscapes: links to wetland restor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ern Canada, Wetlands, 19, 775-788 https://doi.org/10.1007/BF03161784
  22. Forman R.T.T., and Godron, M., 1986, Landscape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23. Johnston, C.A., Detenbeck, N.E., and Niemi, G.J., 1990, The cumulative effect of wetlands on stream water quality and quantity: a landscape approach, Biogeochemistry, 10, 105-141
  24. Mitsch, W.J., and Gosselink, J. G., 2000. Wetland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