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Korean House Prices Movements with Asset Pricing Models

자산가격 결정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 주택가격 분석

  • Received : 2007.03.13
  • Accepted : 2007.05.25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Korean house prices have risen rapidly since year 2001 and there have been some worries that the recent house price hikes are too excessive.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movement of Korean house prices and derives some implications from it, based on three different theoretical asset pricing models; long-run supply demand model, present value model and general asset pricing model. The results from the analyses show that recent house prices are overall higher than the theoretical prices, thus requiring measures to stabilize house prices hikes.

우리나라 주택가격은 2001년 이후 빠르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주택가격의 급등에 대한 우려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주택가격을 주택시장 수급의 장기균형모형, 현재가치모형 및 일반 균형자산 가격모형 등의 이론적 자산가격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에 따르는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주택가격이 경제의 기초적인 여건을 반영한 균형가격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 주택가격의 안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Cited by

  1. Time Variation of the Permanent and Transitory Shocks in Seoul's Apartment Markets vol.15, pp.2, 2007, https://doi.org/10.35527/kfedoi.2016.15.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