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by
- The Effect of Changes in Employment on Health of Work-Related Injured Workers: A Longitudinal Perspectives vol.9, pp.4, 2021, https://doi.org/10.3390/healthcare9040470
DOI QR Code
This study focuses on the possibility that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 is one of the factors for relatively poor employment conditions of the unskilled after the economic crisis. Increasing employment share of skilled workers accompanying with rising wage premium for education since implies that labor demand has shifted toward the skilled. The decomposition of changes in wage share of skilled workers into between-industry and within-industry changes suggests that the increase in the demand for skilled labor has been largely due to within-industry changes, which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effect of the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 Also the regress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employment share of skilled workers has more rapidly increased in the industries with higher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vestment intensity since the mid 1990s, hinting to the possibility that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s may have come from ICT.
경제위기 이후 미숙련 근로자의 고용 상황이 상대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숙련 근로자의 고용비중이 증가하는 가운데 임금의 교육 프리미엄이 상승하는 현상은 숙련 근로자의 상대적 수요가 공급보다 빠르게 증가하였음을 시사한다. 숙련고용비중 변화를 산업 간 변화와 산업 내 변화로 분해한 결과는 숙련 근로자의 수요 증가가 국제교역 확대보다는 기술 변화에 기인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회귀분석 결과는 이러한 숙련편향적 기술 변화가 정보통신기술과 관련이 있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이 경제위기 이후에도 미숙련 근로자의 고용상황을 상대적으로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숙련고용비중이 크게 증가하였던 경제위기 직후 기간에는 정보통신기술투자 집약도와 상관없이 대부분의 산업에서 숙련 근로자의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정보통신기술 이외의 요인도 작용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