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en's Fashion Trend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통계적 분석을 통한 남성 패션 트렌드 연구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1,098 pieces of photographs($1995{\sim}2002$) of men's suit style have been classified according to fashion images in order to examine features and change aspects with statistical analysis. The findings of examining features of the trend by year with test of homogeneity, correspondence analysis, biplot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a)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fashion images as the trend by yew with test of homogeneity, (b) there are remarkable differences on the fashion trend by year with correspondence analysis and biplots. (c)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for appearance among fashion images by its frequency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d) it is assumed that fashion images are going to be gradually outstanding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남성 패션 트렌드의 특성 및 변화양상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남성복 수트 스타일의 사진 1,098장($1995{\sim}2002$)을 패션 이미지를 중심으로 분류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도별 패션 트렌드의 변화추이를 살펴보기 위해 동일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Sophisticated와 Casual 이미지가 지배적인 패션 트렌드로 나타났다. 대응분석을 통해 연도와 패션 이미지사이의 연관성을 살펴 본 결과, 1995년${\sim}$1998년과 1999년${\sim}$2002년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포되어 있어 1998년과 1999년을 기점으로 서로 다른 패션 이미지들이 패션 트렌드로 부각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상대적으로 낮은 빈도의 패션 이미지에 대한 트렌드로서의 중요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Z점수를 산출하여 행렬도 분석을 한 결과, Marine이나 Colonial, Military, Ethnic 이미지의 부각이 나타났다. 패션 이미지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Sophisticated-Casual, Casual-Military, Classic-Marine, Romantic-Military 이미지 사이에 강한 연관성이 나타났다. 연도별 패션 이미지의 선형성을 통해 다음 시즌의 출현정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 Casual, Military, Sophisticated 이미지의 경우 연도에 따라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Classic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패션트렌드를 통계분석을 통한 객관적인 방법으로 그 특성과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패션 트렌드를 예측하고 디자인을 기획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 졌다.에 따른 홍수류의 유속 변동과 그에 따른 에너지의 변화를 고찰하기 위하여 HEC-RAS를 적용하고 주교천 아지늪 주변의 수리학적 거동을 고찰하였다.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암 환아 가족들을 위해 간호사가 제공해야 하는 호스피스 돌봄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고 생각되며 이를 위해서는 호스피스 관련 기관뿐만 아니라 국가적 차원의 아동 호스피스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양상과 일치하였고 표준조건(water flux 1 cm/일)에서 예측된 이동소요시간에 따라 metolcarb는 most mobile, molinate와 fenobucarb, isazofos는 mobile내지 most mobile, dimepiperate는 moderately mobile이나 mobile, diazinon은 mobile, fenitrothion과 parathion은 slightly mobile 또는 mobile, chloipyrifos-methyl은 immobile이나 slightly mobile 등급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히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브로 출시에 따른 마케팅 및 고객관리와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한다.는 교합면에서 2, 3, 4군이 1군에 비해 변연적합도가 높았으며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복합레진을 간헐적 광중합시킴으로써 변연적합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시장에 비해 주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해 왔다고 볼 수 있다.36.4%)와 외식을 선호(29.1%)${\lrcorner}$ 하기 때문에 패스트푸드를 이용하게 된 것으로 응답 하였으며, 남 여 대학생간에는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다. 응답자의 체형은 ${\ulcorner}$적당하다${\lrcorner}$

Keywords

References

  1. Choi, Y. D. (2002). A study on the fashion planing based on domestic consumer s lifestyle and preference of current fashion trends: Focused on the women:S wear brands T and M.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 Choi, W. C. (1997). Study on the sensitive approach in the product design-Giving emphasis to the materialization of the sound image in the faive sense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3. Fashion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1999). Fashion dictionary. Seoul: Kyomunsa Co. Ltd
  4. Greenwood, K. M. (1987). Fashion innovation and marketing. N.Y.: MacMillan Pub Co
  5. Horn, M. J. (1968). The second skin: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clothing. Boston: Houghton Mifflin
  6. Kim, S. H. (2001). A study on consumers' acceptance of the sportive fashion trends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7. King, C. W. (1963). Fashion adoption: A rebuttal to the trickle down theory. In S. A. Greyser (Ed.), Toward scientific marketing (pp. 108-125). Chicago: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8. Lee, J. E. & Lee, J. H. (2002). A study of golfwear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portswear trend and acceptance of domestic female golfers of it.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Conference, 4, 26-26
  9. Lee, J. J. (2001). Influences of fashion trend information on design plan for women s wear.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0. Nahm, J. K. & Geum, K-S. (2001).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shion trends in 1990s-Focus on the themes of women's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9), 1645-1654
  11. Nystrom, P. (1928). Economics of fashion. N.Y.: The Ronard Press Co.
  12. Oh, J. H., Kim, Y. K., & Park, G. S. (1999). Originals: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98 fashion trend and Korean women's dress in 1998. Journal of life & science researches: Chungnam University, Korea, 11(1),115-134
  13. Park, S. H. (2000). Comparative study on fashion trends between korean and foreign fashion collections in the 1990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4. Popcorn, F. & Marigold, L. (1999). Click! in the future (Cho, E. J. & Kim, Y. S., Trans.). Seoul: Book21. (Original work published 1998)
  15. Shin, H. S. (2001). An analysis of consumer s acceptance and needs for the recent fashion trends in domestic women:S wear market-focused on 1998-2001's fashion trend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Yonsei Unversity, Seoul
  16. Yoon, S. J. (2002).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hybrid of fashion trends-Fashion trends of 1995 S/S-01/02 A/W-.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