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치위생과학회지)
- Volume 7 Issue 4
- /
- Pages.225-233
- /
- 2007
- /
- 1598-4478(pISSN)
- /
- 2233-7679(eISSN)
Burnout among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Its Coping Behaviors
임상치과위생사들의 직무소진과 대처행동
- Kim, Young-Su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aegu Health College) ;
- Yoon, Hee-Suk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aegu Health College)
- Received : 2007.10.29
- Accepted : 2007.12.05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job burnout and coping behaviors that clinical dental hygienists feel in the work process, has collected 322 clinical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aegu, Kyungbuk province, and Ulsan and had a conclusion as follows. 1. The average of area job burnout and coping behaviors were as follows; emotional burnout, 3.26, cynical manners, 2.63, the declination of job efficiency, 2.58, the total average, 2.82. 2. The average of area were as follows; active coping, 3.36, passive coping, 2.95, and the total average, 3.19. 3. The difference of job burnout relat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hown that the lower education level and age they were in, the significantly higher the declination of job efficiency and burnout area were. The unmarried had significantly higher points at cynical manners, the declination of job efficiency and burnout. Besides, the introspective had significantly higher points at emotional exhaustion, cynical manners, and burnout area. 4. The difference of job burnout related to working circumstance was shown that those with short working experience and those in charge of the general treatment showed significantly high points at the declination of job efficiency. And the less annual salary, the significantly higher points at cynical manners, the declination of job efficiency and burnout area. 5. In the correlation between job burnout and coping method, burnout area has a significantly normal correlation with active coping and coping area, whereas, it has significantly abnormal correlation with passive coping. 6. As for the difference of area burnout relating to coping behaviors, in coping area A group(under average) had significantly higher points than B group(over average) at the declination of job efficiency and burnout area.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proved that the clinical dental hygienists in younger age, with shorter work experience and less annual salary, no marital spouse had higher points at burnout and passive coping.
본 연구는 임상치과위생사들의 직무수행 과정에서 느끼는 직무소진 및 대처행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 울산지역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3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체 대상자들의 영역별 직무소진 평균은 정서적 소진 3.26, 냉소적 태도 2.63, 직업효능감 감소 2.58이었고, 전체 평균은 2.82이었다. 2. 영역별 대처행동 평균은 적극적 대처가 3.36, 소극적 대처 2.95이었고, 전체 평균은 3.19이었다. 3. 일반적인 특성과 직무소진의 차이는 연령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직업효능감 감소와 소진계가 유의하게 높았고, 미혼인 경우 냉소적 태도, 직업효능감 감소, 소진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내성적인 성격은 정서적 소진, 냉소적 태도, 소진계가 유의하게 높았다. 4. 근무환경과 직무소진의 차이는 근무경력이 낮고, 일반직에서 일반진료 담당이 직업효능감 감소가 유의하게 높았고, 연봉이 낮을수록 냉소적 태도, 직업효능감 감소, 소진계가 유의하게 높았다. 5. 일반적인 특성과 대처행동의 차이는 연령이 낮고, 미혼이 소극적 대처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종교가 있는 경우 적극적 대처와 대처계가 유의하게 높았다. 6. 근무환경과 대처행동의 차이는 근무기관이 의원급인 경우 소극적 대처와 대처계가 유의하게 높았고, 근무경력이 낮을수록 소극적 대처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연봉이 낮을수록 적극적 대처는 유의하게 낮았고, 소극적 대처는 높았다. 7. 직무소진과 대처행동간의 관련성에서 소진계는 적극적 대처 및 대처계와 유의한 역상관을 보였고, 소극적 대처와는 유의한 순상관을 보였다. 8. 대처행동에 따른 영역별 소진 차이는 대처계는 A그룹(평균미만)이 B그룹(평균이상)보다 직업효능감 감소와 소진계가 유의하게 높았고, 적극적 대처는 A그룹이 B그룹보다 냉소적 태도, 직업효능감 감소, 소진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소극적 대처는 B그룹이 A그룹보다 정서적 소진, 냉소적 태도, 소진계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치과위생사의 연령, 근무경력, 연봉이 낮을수록, 미혼자가 소진과 소극적 대처가 높았고, 종교가 있는 경우 적극적 대처가 높아 경력이 낮은 치과위생사들의 직무소진을 감소시키고 적극적 대처행동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