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chanical Properties of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s with Marine Dredged Soil

해양준설토를 이용한 유동성 뒤채움재의 역학적 특성

  • 김주득 (경성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이병식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이관호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Plowable fill is generally a mixture of sand, fly ash, a small amount of cement and water. Sand is the major component of most flowable fill mixes. Marine dredged soil was adopted for flowable fill instead of fly ash. Natural sea sand and in-situ soil were used for comparison. The flow behavior, hardening characteristics, and ultimate strength behavior of flowable fill were investigated. The unconfined compression test necessary to sustain walkability as the fresh flowble fill hardens was determined and the strength at 3-days appeared to correlate well with the water-to-cement ratio. The strength parameters, like cohesion and internal friction angle, was determined along the curing time. The creep test for settlement potential was conducted. Also, potable falling weight deflectometer(PFWD) test has been carried out for elastic modulus of each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s(CLSM). The data presented show that marine dredged soil and in-situ soil can be successfully used in CLSM.

일반적으로 유동성 뒤채움재는 모래, 플라이애쉬, 물과 소량의 시멘트를 혼합하여 이용한다. 플라이애쉬는 재활용재료로서 최근에 재활용 활용도가 매우 높아, 이를 대체할 대체제로서 해양준설토를 이용하였다. 해양준설토를 이용한 유동성 뒤채움재의 특성을 비교하기 일반바다모래를 이용한 혼합물을 이용하였다. 해양준설토를 이용한 유동성 뒤채움재의 흐름특성, 경화특성 및 일축압축강도 특성을 평가하였다. 유동성 뒤채움재의 초기 공용성평가를 위해 최적의 배합비에서 3일 양생한 시료의 강도 특성을 이용하였다. 시간에 따른 유동성 뒤채움재의 점착력과 내부마찰각을 평가하였다. 또한 차량하중에 의한 침하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크리프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동용 FWD를 이용하여 혼합재료의 탄성계수를 역산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로부터 해양준설토를 이용한 유동성 뒤채움재의 공학적 특성은 도로하부 지하매설물용 뒤채움재로서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해양수산부 국내준설토 통계연보 (2006)
  2. 김수삼 : 준설토와 EPS를 혼화한 경량혼합처리토의 강도 특성, 한국철도학회지, 제5권 제2호 pp. 61-69 (2002)
  3. 김주철 : 준설토를 사용한 경량기포환화토의 거동에 관한 실험적연구, 단국대학교 공학 박사학위논, (2002)
  4. 윤길림, 김병탁 : 준설토를 활용한 경량혼화토의 역학적 특성연구, 한국지반공학회, 학술논문집, 제18권 제4호, pp. 75-83 (2002)
  5. 권용규 : 섬유혼합 보강경량토의 거동 특성분석, 부경대학교 공학 석사학위 논문 (2006)
  6. 박재헌 : 유동성 채움재를 이용한 지하매설관의 변형특성 연구. 경성대학교 공학 석사학위 논문 (2004)
  7. 이관호, 이인모, 조재윤, 윤여준 : 유동성 뒷채움재로 사용하기 위한 플라이애쉬-폐주물사 혼합재료의 특성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정기 봄학술발표회, pp. 489-496 (1999)
  8. 이관호, 조재윤, 신현무, 김남호 : 폐주물사 및 방식사를 이용한 유동성 채움재의 최적배합설계 및 다짐특성연구, 폐기물학회지, 제18권 4호, pp. 389-396 (2001)
  9. 이관호, 조재윤, 조윤호 : 폐주물사를 이용한 유동성채움재의 절토구간 옹벽 뒤채움시 사일로 토압 및 토압경감효과 연구, 한국도로포장공학회논문집, 제4권 2호, 통권 12호, pp. 19-32 (2002)
  10. 조재윤, 이관호, 이인모 : 유동특성을 이용한 폐주 물사 혼합물의 옹벽뒷채움재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Vol. 16, No. 4, pp. 17-30 (2000)
  11. Lee, K., Cho, J., Rodrigo, S. & Lee, I. : Retaining Wall Model Test with Waste Foundry Sand Mixture Backfill, ASTM Geotechnical Testing Journal, Vol. 24, No. 4, pp. 401-408 (2001) https://doi.org/10.1520/GTJ11137J
  12. Peindl, R.D., Janardhanam, R., and Burns, F. : Evaluation of Flowable Fly Ash Backfill. Part I: Static loading, Journal of Geotech. Engrg., ASCE, Vol. 118, No. 3, pp. 449-463 (1992) https://doi.org/10.1061/(ASCE)0733-9410(1992)118:3(449)
  13. Peindl, R.D., Janardhanam, R., and Burns, F. : Evaluation of Flowable Fly Ash Backfill. Part II: Dynamic loading, Journal of Geotech. Engrg., ASCE, Vol. 118, No. 3, pp. 464-474 (1992) https://doi.org/10.1061/(ASCE)0733-9410(1992)118:3(464)
  14. Naik, T.R. & Singh, S.S. : Permeability of Flowable Slurry Materials Containing Foundry Sand and Fly Ash, ASCE, Vol. 123, No. 5, pp. 446-452 (1997)
  15. Nantung, T.E. : Design Criteria for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s, Ph. D. Thesis, School of Civil Engrg., Purdue University, Aug., pp. 334 (1993)
  16. Carl Cro Pavement Consultants : User's Manual PRIMA :.00, Carl (2001)
  17. Masaki Kamiura & Etsuo Abe : Stiffness evaluation of the subgrade and granular aggregates usung the Portable Fwd, Unbound Aggregates in Road Construction, Dawson, pp. 217-223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