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Harmony Range and the Disharmony Range According to Types of Coloration in Men's Shirts and Neckties

셔츠와 넥타이의 배색방법에 따른 조화 영역과 부조화 영역

  • 임지영 (신라대학교 패션산업학부)
  • Published : 2007.06.29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armony range and the disharmony range by evaluating the degrees of harmony in terms of types of coloration in men's shirts and neckties. In addition, the study aimed to examine perceptional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towards degrees of harmony affected by types of coloration; tone on tone coloration(64), tone in tone coloration(96), contrast coloration(128), achromatic-chromatic coloration(96), and achromatic-achromatic coloration(16). The 4,032 male and 4,032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five types of coloration, the harmony range and disharmony range were identified. Tone on tone and achromatic-chromatic coloration had a more wide range than tone in tone and contrast coloration from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male students had a more wide range of harmony on all color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자 (2001), 한복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 . 미여대 생의 지각반응연구(1) -톤 인 톤 배색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5 (4), pp. 731-742
  2. 강경자 (2002) 한복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 . 미여대 생의 지각반응 연구( II)-톤 온 톤 배색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314), pp. 443-453
  3. 강경자, 문주영 (2004). 한복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 . 미여대생의 지각반응 연구(III)-유채색과 무채색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 (7), ,pp 962 -973
  4. 강경자, 정수진 (2005), 한복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 . 미여대생의 지각반응 연구(IV)-컨트라스트 배색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9(6), pp. 825-836
  5. 이은미, 강혜원 (1994), 의복단서 및 착용자 연령이 인 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남성정장을 중심으로 . 한국의류 학회지, 18(2), PP. 197-210
  6. 남미우, 강혜원 (1994). 상황, 의복단서 및 관찰자 변인 이 남자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18(3), ,pp 311-326
  7. 강경자, 임지영 (1996) 넥타이의 색과 무늬가 남성복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2(3), pp. 312-320
  8. 이향미, 김재숙 (1998). 남자 고등학교 교사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의복 격식차림, 색 및 맥락의 영향-대전지역 남 . 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2(3), pp. 312-320
  9. 송선옥, 이인자 (2001). 남자의 인상에 미치는 의복유형, 얼굴형 및 체형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2), PP. 369-37
  10. 김현진 (2003). 남성 선거입후보자의 옷차림이 유권자들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최유진, 이명희 (2004). 남성의 재킷, 와이셔츠, 넥타이 색의 이미지 지각과 선호도 연구. 복식, 54(6), PP. 131-140
  12. Itten, Johannes (1996). The Art of Color. New York: Reinhold Pub
  13. Faber Birren (1934). Color Dimensions. Chicago: The crimson press
  14. 조민정(2004). 패션디자인에 있어서 색채조합에 따른 색채조화 유형과 체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21
  15. 김현진(2002). 국내 캐쥬얼웨어와 스포츠웨어의 세분 시장별 색채특성과 색채차별의 모색.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송지영 (2002). 국내 여성복 브랜드의 세분시장별 활용색과 배색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권혜숙, 심은하 (2004). 현대 여성 패션에 나타난 색채 코디네이션의 유형과 유형별 특성분석.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6(3), .pp 139-152
  18. 박영실, 권미정, 이정옥, 안옥희 (1994). 문-스펜서의 색채조화론에 의거한 피부색과 복장색의 조화에 관한 연구. 조명전기설비학회지, 8(6), pp. 528-537
  19. 이정옥, 권미정, 박영실 (1995), 한국도시여성의 얼굴색과 의복색과의 배색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 학회지, 33(2), p. 175
  20. 조민정. (2004). 패션디자인에 있어서 색채조합에 따른 색채조화 유형과 체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22
  21. 김윤경, 강경자 (2003). 의복스타일과 색상 . 톤 조합 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3/4), ,pp 395-406
  22. 內購章江, 橋本令子, 加蘇雪校 (2001). ビヅネススーツの着裝イメーヅと色彩效果. 繊消誌, 42(12), pp. 863-871
  23. 內購章江, 小林歲雄 (2002). 女性用スーシツの着裝イメージと色彩果. 繊消誌, 43(10), pp. 658-668
  24. 강경자.(2002) 한복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 . 미여대 생의 지각반응 연구( II)-톤 온 톤 배색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314) ,pp 443-453
  25. 이경손, 김희섭 (1998). 의생활과 패션 코디네이션. 서울: 교문사, pp. 157-164
  26. CFT. 04, 05 마켓컬러. http://cft.or.kr/market
  27. Fashion Center Korea. 04. 05 트렌드컬러. http://fck.or.kr/tr/color
  28. 실용한국표준색표집 (1991) . 공업진흥청/한국방송공사
  29. 사이즈코리아 (1997). 국민표준체위조사 from http://sizekorea.ats.go.kr/
  30. Molloy, J. T. (1978). Dress for Success. N. Y., Warner Book Inc
  31. Francis. S. Moo & Evans, P. K. (1987). Effect hue, value, and garmant style on college recruiters' assenssments of employment potential. perceptual and Motor Skills, 76, pp. 87-93
  32. 김영자 (1992). 한국의 복식미. 서울. 민음사, ,p 6
  33. Granger, G. W. (1955). The Prediction Preference for Color Harmony. J. gen. Psychol,52, pp.213-222 https://doi.org/10.1080/00221309.1955.9920240
  34. 양지영. 앞의 책, p. 84
  35. 조민정. (2004). 패션디자인에 있어서 색채조합에 따른 색채조화 유형과 체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63
  36. 이정옥, 권미정, 박영설( 1995), 한국도시여성의 얼굴색과 의복색과의 배색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2), P. 175
  37. Asch, S. E. (1946). Forming Impressions of Personavtil.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41(3), pp. 258-290 https://doi.org/10.1037/h0055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