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경자 (2001), 한복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 . 미여대 생의 지각반응연구(1) -톤 인 톤 배색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5 (4), pp. 731-742
- 강경자 (2002) 한복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 . 미여대 생의 지각반응 연구( II)-톤 온 톤 배색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314), pp. 443-453
- 강경자, 문주영 (2004). 한복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 . 미여대생의 지각반응 연구(III)-유채색과 무채색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 (7), ,pp 962 -973
- 강경자, 정수진 (2005), 한복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 . 미여대생의 지각반응 연구(IV)-컨트라스트 배색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9(6), pp. 825-836
- 이은미, 강혜원 (1994), 의복단서 및 착용자 연령이 인 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남성정장을 중심으로 . 한국의류 학회지, 18(2), PP. 197-210
- 남미우, 강혜원 (1994). 상황, 의복단서 및 관찰자 변인 이 남자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18(3), ,pp 311-326
- 강경자, 임지영 (1996) 넥타이의 색과 무늬가 남성복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2(3), pp. 312-320
- 이향미, 김재숙 (1998). 남자 고등학교 교사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의복 격식차림, 색 및 맥락의 영향-대전지역 남 . 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2(3), pp. 312-320
- 송선옥, 이인자 (2001). 남자의 인상에 미치는 의복유형, 얼굴형 및 체형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2), PP. 369-37
- 김현진 (2003). 남성 선거입후보자의 옷차림이 유권자들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유진, 이명희 (2004). 남성의 재킷, 와이셔츠, 넥타이 색의 이미지 지각과 선호도 연구. 복식, 54(6), PP. 131-140
- Itten, Johannes (1996). The Art of Color. New York: Reinhold Pub
- Faber Birren (1934). Color Dimensions. Chicago: The crimson press
- 조민정(2004). 패션디자인에 있어서 색채조합에 따른 색채조화 유형과 체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21
- 김현진(2002). 국내 캐쥬얼웨어와 스포츠웨어의 세분 시장별 색채특성과 색채차별의 모색.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지영 (2002). 국내 여성복 브랜드의 세분시장별 활용색과 배색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권혜숙, 심은하 (2004). 현대 여성 패션에 나타난 색채 코디네이션의 유형과 유형별 특성분석.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6(3), .pp 139-152
- 박영실, 권미정, 이정옥, 안옥희 (1994). 문-스펜서의 색채조화론에 의거한 피부색과 복장색의 조화에 관한 연구. 조명전기설비학회지, 8(6), pp. 528-537
- 이정옥, 권미정, 박영실 (1995), 한국도시여성의 얼굴색과 의복색과의 배색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 학회지, 33(2), p. 175
- 조민정. (2004). 패션디자인에 있어서 색채조합에 따른 색채조화 유형과 체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22
- 김윤경, 강경자 (2003). 의복스타일과 색상 . 톤 조합 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3/4), ,pp 395-406
- 內購章江, 橋本令子, 加蘇雪校 (2001). ビヅネススーツの着裝イメーヅと色彩效果. 繊消誌, 42(12), pp. 863-871
- 內購章江, 小林歲雄 (2002). 女性用スーシツの着裝イメージと色彩果. 繊消誌, 43(10), pp. 658-668
- 강경자.(2002) 한복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 . 미여대 생의 지각반응 연구( II)-톤 온 톤 배색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314) ,pp 443-453
- 이경손, 김희섭 (1998). 의생활과 패션 코디네이션. 서울: 교문사, pp. 157-164
- CFT. 04, 05 마켓컬러. http://cft.or.kr/market
- Fashion Center Korea. 04. 05 트렌드컬러. http://fck.or.kr/tr/color
- 실용한국표준색표집 (1991) . 공업진흥청/한국방송공사
- 사이즈코리아 (1997). 국민표준체위조사 from http://sizekorea.ats.go.kr/
- Molloy, J. T. (1978). Dress for Success. N. Y., Warner Book Inc
- Francis. S. Moo & Evans, P. K. (1987). Effect hue, value, and garmant style on college recruiters' assenssments of employment potential. perceptual and Motor Skills, 76, pp. 87-93
- 김영자 (1992). 한국의 복식미. 서울. 민음사, ,p 6
- Granger, G. W. (1955). The Prediction Preference for Color Harmony. J. gen. Psychol,52, pp.213-222 https://doi.org/10.1080/00221309.1955.9920240
- 양지영. 앞의 책, p. 84
- 조민정. (2004). 패션디자인에 있어서 색채조합에 따른 색채조화 유형과 체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63
- 이정옥, 권미정, 박영설( 1995), 한국도시여성의 얼굴색과 의복색과의 배색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2), P. 175
- Asch, S. E. (1946). Forming Impressions of Personavtil.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41(3), pp. 258-290 https://doi.org/10.1037/h0055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