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patial Elements of Flexible Apartments - Focusing on Local and Foreign Flexible Apartments -

가변형 공동주택의 공간 요소 특성 연구 - 국내외 가변형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In this study, by comparing the development and the space types of local and foreign flexible apartments, basic data will be derived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flexible types of apartments in Korea. A total of 60 unit plans, including 30 domestic cases and 30 overseas cases of flexible apartments, are analyzed for this study. In terms of the unit plan types, Korean apartments usually had a wide front bay with shallow depth, placing more rooms on the front bay; whereas foreign apartments tend to have various unit plan types: (1) a narrow front bay with deep depth, (2) a wide front bay with shallow depth, and (3) variegated open-plan types. Many apartments in foreign countries had a double-layered structure with the. upstairs and downstairs areas. In terms of the flexible types, many Korean apartments achieved interior flexibility using non-bearing wall or sliding doors; whereas foreign apartments had a flexible space by separating the support elements and the infill elements. There was found to be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 of support elements and the variability of unit plans. Support elements can be placed largely into three locations: (1) Between the front side bay and the rear side bay, (2) in the center bay of a unit plan, and (3) other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support elements, various types of flexible unit plans can be create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apartments,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developing various flexible unit plans was derived.

Keywords

References

  1. Makoto Shin Watanabe+Yoko Kinoshita 集合住宅をコこツトカ考える, 2006, 新建築社
  2. Next 21 編輯委員회 編著, Next 21, 2005
  3. Oliver Heckmann 외 2인, Floor Plan Manual Housing, Birkhauser. 2004
  4. Stephen Kendall외 1인 , Residential Open Buiding, E&FN SPON. 2000
  5. 공동주택연구회, 강부성 외 5인, 도시집합주택의 계획 11+44 발언, 1997
  6. H. 다일만, J.C 킷센맨, H.파이퍼 공저, 현대집합주택의 구성, 이민섭 역, 기문당, 1977
  7. 김수암, 공동주택의 가변형주호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한양대 박사 학위논문, 1992
  8. 김수암, 오픈하우징의 이론과 실무. 한국건설 기술연구원 책임연구과제 보고서, 서울 : 한국 건설 기술 연구원, 2004
  9. 김수암 외 3명, 외국 공동주택의 가변형 평면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 13권 12호 통권 110호, 1997. 12
  10. 김정제, 집합주택의 주동내부 진입체제에 따른 주동의 구성에 관한 연 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0
  11. 김진균 외 1명, 융통성을 고려한 소규모 라멘조 아파트의 평면 모델계 획, 대한건축학회 18권 12호(통권 170호), 2002. 12
  12. 김용선 외 2인, 사용자 참가형 공공주택의 거주후 평가에 관한 연구 - 당산 강변 시범 아파트의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 표논문집 제18권 제2호, 1998
  13. 대한주택공사, 일본의 Flexible Housing, 해외연구귀국 보고서, 1988
  14. 모정현․이연숙, 지속가능한 주거 개발을 위한 가변성 개념의 유형학적 분석, 한국생태환경 건축학회 논문집, 2003. 9
  15. 세진기획, 아파트 백과: 서울특별시 상권(강남편), 2006
  16. 세진기획, 아파트 백과: 서울특별시 하권(강북편), 2006
  17. 신중진, 외 3인, 최근 초고층 아파트의 단위세대 평면 계획 특성에 관 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 18권8호, 2002. 8
  18. 정세라, 한국건설기술원 연구보고서, 1998
  19. 조일아, 단위평면 형태요인에 따른 내부공간 가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5권 5호 통권 58호, 2006, 10
  20. 조일아, 공동주택 단위세대의 가변형 평면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2권 제12호, 2006. 12
  21. 조효숙, 공동주택 단위주거공간의 공간적 전위에 관한 연구, 서울시 40 평형대 이상 아파트의 선호도분석을 중심으로, 홍익대, 석사학위논문, 2005
  22. 황은경 외 5인, 공동주택의 공간 가변성 향상을 위한 서포트 계획방법 연구, 대한건축학회 21권 4호, 200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