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동전기토목섬유를 이용한 연약지반개량

Soft Ground Improvement using Electrokinetic Geosynthetics

  • 이명호 (한양대학교 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
  • 한중근 (중앙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이재영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 투고 : 2007.07.23
  • 심사 : 2007.08.14
  • 발행 : 2007.09.30

초록

동전기토목섬유를 이용한 초연약지반의 개량은 일반적인 압밀공법에 비해 신속하게 저투수성 점토지반을 탈수시키며 강도증가를 유발하게 된다. 본 연구는 동전기토목섬유의 적용성을 조사하고자 스코틀랜드지방의 자연점토를 이용하여 일련의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자중에 의한 압밀에 비해 전기삼투압에 의한 압밀이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으며, 공급전압이 높을수록 신속하게 간극수의 탈수가 이루어졌으나 최종침하량은 적었으며, 동전기적 효과로 양극부근에서 산성화($pH{\simeq}3$)가 음극부근에서는 알칼리화($pH{\simeq}11$)가 일어났다.

The major reason to employ electrokinetic geosynthetics is to take advantage of its ability to densify very low permeability materials in shorter time periods than ordinary seepage consolidation. A number of laboratory scale experiments was carried out with acrylic column using natural clayey soil. The testing results indicate that (1) the electrically induced settlement was faster than the gravitational one, (2) the higher the voltage, the faster the dewatering but the less final settlement, and (3) the pH extended as low as 3 in the anode section and as high as 11 near the cathod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