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Landcover Change and Temporal Landscape Structure in the Main Ridge Area of the Baekdu Daegan Mountain System

백두대간 마루금 지역의 시계열적 토지피복 변화 및 경관구조 분석

  • Oh, Jeong-Hak (Div. of Forest Ecolog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Young-Kul (Div. of Forest Ecolog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won, Jino (Div. of Forest Ecolog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오정학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과) ;
  • 김영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과) ;
  • 권진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과)
  • Received : 2007.07.25
  • Accepted : 2007.08.21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temporary changes of landcover patterns and landscape structur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and methods for sustainabl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in Baekdu Daegan region using GIS and landscape indices. According to the results based on the pattern analysis of landcover changes using the change detection matrix between 1975 and 2000, addition on $3.6km^2$ became urbanized areas. Otherwise, $85.7km^2$ of forest area shift into agriculture($72.2km^2$) and grass area($10.1km^2$) for the vegetables in highland condition and stock farm. According to the landscape structure analysis using landscape indices, forest areas were unstable forest structures because of fragmentation. Thus, to improve forest ecosystem, significant amount of forest through a new forest management policy considering local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needed. And, the connectivity of forests in local regions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본 연구는 국토의 생태축이라고 할 수 있는 백두대간의 지속가능한 보전 및 주변환경과의 조화로운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GIS 및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시계열적 토지피복 및 경관구조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받은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생성한 change detection matrix를 통해 시계열적 토지피복변화를 살펴본 결과,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은 약 $3.61km^2$로 농경지($2km^2$)와 산림지역($1.36km^2$)에서 더 많은 개발행위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림지역이 다른 용도로 변화된 지역은 약 $85.7km^2$로 농경지($72.2km^2$)와 초지지역($10.1km^2$)으로 전용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관지수에 의한 경관구조를 분석한 결과, 산림지역의 경관구조가 구조적으로도 불안정한 상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 지역에 대해서는 향후 고해상도 위성영상 등을 이용한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지역의 환경조건에 부합하는 생태적 관리를 병행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