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ifying the Voluntariness of the Location of Drunk Driving Accidents

음주운전사고 발생위치의 임의성 검증

  • Nam, Kwang-Woo (Dept. of Urban Design & Development, Kyunsung University) ;
  • Kang, In-Joo (Graduate School, Dept. of Urban Design & Development, Kyunsung University)
  • 남광우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
  • 강인주 (경성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07.05.23
  • Accepted : 2007.06.14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e cases of drunk driving accidents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every year. The number of accidents was quadrupled from 7,303 cases in 1990 to 25,150 cases in 2004.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drunk driving accidents to total traffic accidents was 2.9% in 1990 but it increased to 13.0% in 2003. Studies of drunk driving accidents have been focusing on analyzing psychological decisive factors, classifying drivers' individual characters and types of drunk driving accidents by considering the location of drunk driving accidents. This study assumed that drunk driving accidents would have regular characteristics in respect to spatiality and analyzed its relation with spatial factors such as, accident black spot, the location of bars, the distance of drivers' houses, and spatio-temporal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drawing density distribution and connecting the time of acci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e individual location information was organized and drawn as types of GIS data. From the result of density distribution using Kernel Density Mapping and analysis through the coefficient of areal correspondence, it was understood that drunk driving accidents correlates with some spatial factors.

음주운전사고는 1990년 7,303건에서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2004년에 25,150건으로 1990년에 비해 4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며 음주운전사고가 전체교통사고에서 차지하는 비율 또한 1990년 2.9%에서 2003년 13.3%로 증가하였다. 특히, 이로 인한 사상자 비율도 매년 증가추세에 있다. 지금까지의 음주운전사고 관련 연구들은 심리적 결정요인 분석과 음주운전자 개인 특성 및 음주운전사고의 유형분류에 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어 음주사고의 발생위치에 대해서는 임의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간적 관점에서 음주운전사고가 일정한 요인들과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사고다발지역, 주점위치, 자택과의 거리와 같은 공간적 요인과의 상관성 분석 및 음주운전사고의 밀도분포도 작성, 사고발생시간 정보 결합 등을 통해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자료의 개별위치정보를 구축하여 GIS데이터 형태로 작성한 후 커널 밀도함수를 활용한 밀도 분포도 작성 및 지역일치도 계수 산출 등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음주운전사고가 공간적 요인들과도 일정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경성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