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Volume 10 Issue 1
- /
- Pages.10-21
- /
- 2007
- /
- 1226-9719(pISSN)
- /
- 2287-6952(eISSN)
Landscape Analysis of the Forest Fragmentations at Doam-Dam Watershed using the FRAGSTATS Model
FRAGSTATS 모형을 이용한 도암댐 유역의 산림 파편화 분석
- Heo, Sung-Gu (College of Agricul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Ki-Sung (College of Agricul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Ahn, Jae-Hun (National Institute of Highland Agriculture) ;
- Yoon, Jong-Suk (Inha University) ;
- Lim, Kyoung-Jae (College of Agricul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Joong-Dae (College of Agricul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Shin, Yong-Chul (College of Agricul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you, Chang-Won (College of Agricul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허성구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김기성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안재훈 (고령지 농업연구소) ;
- 윤정숙 (인하대학교) ;
- 임경재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최중대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신용철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유창원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Received : 2006.08.30
- Accepted : 2006.11.13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he Doam-dam watershed, located at Kangwon Province, Korea, has been experiencing significant changes in land uses, conversion from forest to agricultural/urban areas, with human involvements. However, no thorough investigation of the landscape impacts of land use changes was performed at this watershed using the scientific analytical tool. Thus, the FRAGSTATS model was utilized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landscape impacts of forest fragmentation in this study. To provide the detailed explanations for 11 landscape indices considered in this study, two artificial and simplified landscapes, before and after fragmentations, were constructed. Using these 11 indices, the landscape impacts of forest fragmentation in 19 subwatersheds of the Doam-dam watershed were analyzed. The S1 subwatershed, one of 19 subwatersheds of the Doam-dam watershed, was found to have experienced the significant forest fragmentation from 1985 to 2000 based on landscape analysis using the FRAGSTATS model.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evaluate the water quality impacts of forest fragmentations/land use changes at watershed scale level, and establish environment-friendly land use planning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using landscape analytical tool, FRAGSTATS.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도암댐 유역은 인간의 개발행위에 따른 산림지역 파편화로 인해 산림지역의 상당부분이 농업/도시 지역으로 변화되어 왔다. 이러한 토지이용변화로 인해 하류 수역에서는 많은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토지이용변화가 도암댐 유역내 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인 분석 툴을 이용하여 수계단위로 분석한 예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림의 파편화가 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경관분석 프로그램인 FRAGSTATS를 이용하였다. 복잡한 계산식으로 구성된 경관지수를 자동으로 산출해주는 FRAGSTATS 프로그램은 경관분석에 많이 이용해 왔으나, 각 경관지수별 설명이 충분하지 않아 FRAGSTATS를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정량적 경관분석을 수행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관 파편화가 발생하기 전과 후의 가상적이면서 단순화된 경관을 구성하여 경관지수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술된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도암댐 유역내에서 산림 파편화가 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총 19개 소유역중 S1 유역이 1985년부터 2000년까지 가장 많은 산림 파편화가 진행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산림지역의 파편화, 이에 따른 토지이용변화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수계단위로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되며, FRAGSTATS과 같은 경관분석 프로그램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환경친화적 토지이용계획 을 수립하는데 매우 유용하리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