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제37권sup2호
- /
- Pages.385-396
- /
- 2007
- /
- 2093-2278(pISSN)
- /
- 2093-2286(eISSN)
전산화단층영상을 이용한 이상적 임플란트 수복 위치에 따른 상악 전치부 치조제의 새로운 분류
New maxillary anterior ridg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ideal implant restorative position determined by CAT
- 박영상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생체재료공학교실 및 연구소) ;
- 조상춘 (뉴욕대학교 치과대학 치주 및 임플란트과) ;
- 김경남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생체재료공학교실 및 연구소) ;
- 김광만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생체재료공학교실 및 연구소) ;
- 최성호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문홍석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철과학교실) ;
- 이용근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생체재료공학교실 및 연구소)
- Park, Young-Sang (Department and Research Institute of Dental Biomaterials and Bio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Dentistry) ;
- Cho, Sang-Choon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and Implant Dentistry, New York University College of Dentistry) ;
- Kim, Kyoung-Nam (Department and Research Institute of Dental Biomaterials and Bio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Dentistry) ;
- Kim, Kwang-Mahn (Department and Research Institute of Dental Biomaterials and Bio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Dentistry) ;
- Choi, Seong-Ho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Dentistry) ;
- Moon, Hong-Seok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Dentistry) ;
- Lee, Yong-Keun (Department and Research Institute of Dental Biomaterials and Bio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Dentistry)
- 발행 : 2007.08.15
초록
손상된 부분 무치악제는 임플란트 식립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한다. 이런 치조제의 손상은 외상성 발치, 안면 외상, 치근단 수술, 만성 치주염으로 인한 발거, 임플란트 실패 등에 기인하며, 특히 상악 전치부의 경우는 큰 좌절을 유발할 수 있다. 치조제 손상의 분류 및 임상 처리 방법에 대한 많은 보고가 있었으나, 수술에 앞서 방사선 영상을 통해 경조직을 평가하여 심미적이고 연조직과 조화로운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임플란트의 이상적인 수복 위치에 따른 분류법은 소개된 적이 없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컴퓨터 단층촬영 분석을 이용하여 이상적 임플란트 수복위치에 따른 상악 전치부 치조제의 손상을 분류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뉴욕대학교 치주
This study proposed a new classification system for maxillary anterior alveolar ridge deformities based on CAT-scan implant simulation as a useful concept in order to more precisely predict treatment outcomes and the necessity for ridge augmentation prior to implant place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a high number of cases in the maxillary anterior area would require augmentation procedures in order to achieve ideal implant placement and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