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교육에 있어서 '노닐음(遊)'에 대한 필요성 연구 - 동양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Needs of 'Strolling (Yu)' at the Fine Arts Education - Focused on Oriental Painting -

  • 발행 : 2007.12.31

초록

본 논문은 도가(道家)의 대표적 철학자인 "장자(莊子)"의 "소요유(逍遙遊)"에 제시된 '유(遊)'란 개념이 미술교육에서 필요한 것인지를 연구하였다. 우선 장자의 '유(遊)' 개념과 미술교육의 배경 및 필요성을 정의하고, 동양미술에서 활용된 '유(遊)'의 의미를 미학적으로 분석하여 오늘날 '유(遊)' 개념이 현대동양미술교육에 응용되고 표현될 수 있는지 탐색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논문의 전개 중 제2장은 장자의 철학적 '노닐음(유(遊))'의 개념 및 사유, 제3장은 미술교육의 배경 및 필요성을 연구하였다. 제4장은 장자의 노닐음(유(遊))'을 통한 동양화실기교육 접근을 연구하였다. 우선 노닐음(유(遊))'을 통한 동양화실기교육 접근을 2장에서 연구된 사유방법으로서 공간개념인 '허실(虛實)'과 표현기법으로 '필묵(筆墨)', 작가의 정신적 화면의 경지는 '사의(寫意)'로써 각각 분석 연구하였다. 첫째, '유(遊)'와 동양화의 상호관계성을 허실(虛實)의 조형이념으로 고찰 했을 때, 허(虛)는 그외 대상이 본질로 드러난 실(實)의 부분으로 하여금 감상자들에게 연상과 암시, 상상을 불러일으켜 예술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잊음(유(遊))의 경계를 뜻하므로 '허(虛)'는 '유(遊)'와 서로 같은 경계의 맥락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허(虛)와 실(實)은 조형 활동의 경험을 통하여 표현 및 감상 능력을 길러, 창조성을 계발하고 정서를 함양시켜 미술교육에서 필요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필묵으로 음(陰)과의 양(陽)의 걍약으로 신(神), 기(氣)(심제(心齊)), 전신(傳神), 사의(寫意)등을 각각의 예술적 경지를 표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필묵은 형사(形似)와 사의적(寫意的)적인 예술형상의 창조까지 연계되어 있는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정신적 '노닐음'의 경계를 통한 자유로움은 사유에 의한 표현 할 수 있는 창조력과 자연 감상능력 및 미적 문화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교육을 탄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미적 안목의 육성, 창의성 계발, 감성능력의 함양, 조형능력의 함양 등의 인성교육으로 복합적인 미적 논리가 다양한 현대미술 속에서 동양미술교육의 정체성을 지킬 수 있는 하나의 방법론이라 본다.

The paper examined whether the fine arts education needed concept of 'Yu' that was suggested by, 'Soyoyu' of Jangja, a representative philosopher of Doka. At first, the paper defined concept of 'Yu' of Jangja as well as background and needs of the fine arts education, and investigated values of 'Yu' of the Oriental painting in aesthetic way to examine whether today's Yu concept can be applied to modern Oriental fine arts education to express. Chapter 2 examined concept and thought of 'strolling (Yu)', and Chapter 3 did background and needs of the fine arts education. Chapter 4 examined an access to practical technique education of the Oriental painting through 'strolling (Yu)': At first, the chapter investigated 'Heosil' of space concept that was researched at Chapter 2, 'Pilmuk' of expression technique, and 'Saeui' of state of spiritual canvas of painters. The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ly, when relation between Yu and Oriental paintings was investigated based on formative idea, 'Heo' reminded appreciators of association of ideas, hint and imagination, etc by, 'Sil' that other objects disclosed intrinsic attributes so that it indicated border of positive forgetfulness expressed by artists to have same border between 'Heo' and 'Yu'. Therefore, both 'Heo' and 'Sil' could build up expression as well as appreciation ability by experiencing formative idea to develop creativity and to build emotion and to cognize needs of the fine arts education. Secondly, the artistic state of 'Shin', 'Ki (Simjae)', 'Jeonshin' and, Saeui', etc could be expressed with strength and weakness of both Yin and Yang of Pilmuk. Therefore, the Pilmuk were linked even with creation of both Hyeongsa and artistic form of Saeui. Therefore, freedom at border of spiritual 'strolling' could produce creative power being expressed by thinking, natural appreciation ability, and education that could judge values of aesthetic culture. Therefore, cultivation of aesthetic eye, development of creativity, build up of formative ability and education of human nature, etc could keep identity of the Oriental fine arts education at various modern fine arts.

키워드